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동아권동화총서』, 소환되는 트랜스 동아시아 문화의 기억-『공자님과 거문고 소리(孔子さまと琴の音)』를 중심으로 - (The Great Asian Fairy Tales Collection, Recalled Memories of Trans East Asian Cultur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22.09
30P 미리보기
『대동아권동화총서』, 소환되는 트랜스 동아시아 문화의 기억-『공자님과 거문고 소리(孔子さまと琴の音)』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비교일본학 / 55권 / 177 ~ 206페이지
    · 저자명 : 한채민, 허일륜

    초록

    본 논문은 1940년대 생성된 대동아권동화총서(大東亞圈童話叢書)의 제2권으로 간행된 중 국 동화집인 공자님과 거문고 소리(孔子さまと琴の音)를, 단순히 ‘대동아공영권’ 사상이 반영 되었는지 그 여부를 판단하는 단선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트랜스 동아시아를 회고하며 문화 공동체로서의 동아시아를 상상한 현재적 의미를 지닌 텍스트으로서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그 내용과 의의를 고찰하였다. 중국 동화집은 표면적으로 중국의 특성과 세계관을 소개하고자 한 특징이 있고, 일본의 유・불・도 사상의 원류로서 중국을 존중하는 태도가 엿보인다. 둘째로, 태평양전쟁기임을 감안하여, 일본의 소국민들이 중국 동화집을 통해 국가 중심적인 사고, 충 효 사상, 무사 정신을 습득하도록 작가가 신중히 이야기를 선별하고 표현을 다듬은 것이 확 인된다. 셋째로, 작가는 일본과 중국의 문화적 유사성을 강조하기 위해 세심히 원전을 선별하 고 개작했으며, 특히 모노노아와레(ものの哀れ)라는 ‘일본의 고유성’으로서 알려진 사항을 작 품 곳곳에 배치함으로써 중국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아동들에게 기대했던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content and significance of Confucius and the sound of Geomungo published in the second volume of The Great East Asian Fairy Tale Series in the 1940s to confirm the possibility that the text had a relevant meaning associated with the cultural imagination of East Asia as a cultural community and recalling Trans-East Asian Memories. On the surface, the Chinese fairy tale collection is characterized as an introduction to Chinese characteristics and worldview and presents an attitude of respecting China as the origin of Japanese Confucian, Buddhist, and Taoist ideas. Second, considering that it was during the Pacific War, the author carefully selected and refined the stories so that small Japanese citizens could acquire state-centered thinking, loyalty ideas, and warrior spirit through Chinese fairy tales. Third, the author seems to have expected children to understand and “sympathize” with China by finding cultural similarities between Japan and China and placing what is known as the “uniqueness of Japan”, Mono-no-aware throughout the work.
    In conclusion, the Chinese fairy tale collection recalls the Trans East Asian memory that Japan embraced through cultural exchanges with China in the past and argues that a similar and differentiated Japanese culture was formed as a result in hopes that Japan and China will build a strong relationshi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일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