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수치심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문학 기반 정서 리터러시 수업 방법 -『고맙습니다 선생님』, 『까마귀 소년』, 『강아지똥』을 중심으로 (Literature-based Emotional Literacy Teaching Method to Improving Shame Resilience - Focusing on 『Thank You, Teacher』, 『Crow Boy』, 『Dog Poop』)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22.02
27P 미리보기
수치심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문학 기반 정서 리터러시 수업 방법 -『고맙습니다 선생님』, 『까마귀 소년』, 『강아지똥』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교육학회(since1969)
    · 수록지 정보 : 국어교육연구 / 78호 / 291 ~ 317페이지
    · 저자명 : 이현아, 최인자

    초록

    이 논문은 수치심 회복을 목적으로 한 독서 교육 방안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수치심 회복탄력성 이론을 적용할 수 있는 문학 작품을 발굴하고, 독서 수업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수치심은 학습자들이 학업, 적응, 발달 과정에서 자주 경험하면서도 개인에게는 파괴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기에 교육적 개입이 필요한 감정이다. 특히 이 정서는 사회적인 특성이 강하여, 외부 문화와 기대를 개인이 내면화함으로써 발생하기에 교육이 필요하다. 비록 수치심은 자기 파괴적 정서이지만 수치심을 유발하는 경험에서 배움을 얻으면 수치심 회복탄력성을 기를 수 있다. 수치심 회복탄력성은 ‘수치심 촉발제 파악’, ‘비판적 인식 실천’, ‘유대감 네트워크’, ‘수치심 말하기’로 구성된 4가지 요소의 실천을 통해 두려움, 비난, 단절과 같은 수치심의 부작용에서 벗어나고 용기, 연민, 유대감으로 수치심을 이겨내는 것이다. 그 핵심 요소는 자기 고백과 공감적인 연대적 공동체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다룰 수 있는 텍스트로 페트리샤 폴라코의 『고맙습니다, 선생님』과 야시마 타로의 『까마귀 소년』, 권정생의 『강아지똥』을 제시하고 분석하였다. 이들 작품은 수치심 회복 탄력성의 특성이 작품 내적으로 잘 드러나며, 사회적 수치심으로 인해 공동체 안에서 두려움, 비난, 단절의 부작용을 겪던 주인공이 타인의 도움으로 수치심으로부터 회복되는 과정이 담겨 있어, 독자들에게 정서적, 인지적 모델링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특징을 바탕으로 정서 리터러시 수업 모델을 구성하고, 실제 학습 독자의 정서 변화 과정을 기록하여 수업 모델의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With the aim on recovery of shame, this study discovers literary works that can apply the theory of shame resilience as a reading education method and seeks the direction of reading class.
    Shame resilience means being freed from the side effects of shame such as fear, blame, and disconnection, and overcoming shame with courage, compassion, and bonding by practicing these four behaviors : ‘Identifying Shame Triggers’, ‘Critical Cognitive Practice’, ‘Connecting Network’, ‘Speaking Shame’. A key elements of shame resilience is self-confession and an empathetic solidarity community. In 『Thank You, Teacher』 by Patricia Polaco and 『Crow Boy』 by Yashima Taro, and Kwon Jeong-saeng’s 『Dog Poop』, the feature of Shame Resilience is clearly revealed within the work. They contain the process of recovering from the shame of the protagonists, who suffered the side effects of fear, criticism, and disconnection due to social shame.
    This study analyzes 『Thank You, Teacher』, 『Crow Boy』, 『Dog Poop』 through the theory of shame resilience as an educational method to improve emotional literacy. This also presents the reader’s emotional change process as shown in the emotional literacy instructional model and the 3rd cla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어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