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석 류영모의 “없이 계신 하느님”으로서의 신 이해와 Robert C. Neville의 존재론적 신 이해 비교 연구 (Comparison between Yǒng-mo Yu's Understanding of God as Ŏpshi-gyeshin-Haneunim and Robert C. Neville's Ontological Understanding of God)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5.06
39P 미리보기
다석 류영모의 “없이 계신 하느님”으로서의 신 이해와 Robert C. Neville의 존재론적 신 이해 비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조직신학논총 / 41호 / 305 ~ 343페이지
    · 저자명 : 김찬홍

    초록

    이 소고의 주목적은 네빌(Robert C. Neville)과 다석(多夕) 류영모의 신 이해를 비교 연구하는 것으로, 한편으로는 미국 현대 철학적 신학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네빌 신학의 근본이 되는 그의 신론을 논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자기 수양적 영성가로 알려진 류영모의독특한 신 이해를 동아시아 특유의 존재론적 관점에서 살펴볼 것이다.
    네빌은 기독교의 전통적 창조 이론인 “무로부터의 창조” (creation ex nihilo) 개념을 빌어 신의 초월성과 내재성을 설명한다. 이런 네빌의신 이해는 유불선(儒佛仙)으로 대표되는 동아시아 종교 사상의 존재론적 신 이해와 유사한 점들이 있다.
    류영모의 기독교 신 이해인 “없이 계신 하느님”은 존재와 비존재를 초월하고, 통합하는 개념으로서 네빌과 마찬가지로 신 혹은 절대적실재(the ultimate reality)의 초월성과 내재성을 동시에 내포한다. 특히류영모는 유교의 무극이태극(無極而太極), 절대적 무(無)의 개념으로서의 불교의 공(空)사상, 만물의 근원이자 우주의 원리로서의 도교의 도(道) 등을 통해 자신이 이해한 기독교의 신을 초월적이면서 동시에 현존적인 실재로 설명한다.
    한국 기독교의 주류 신학에서는 배제되어있지만, 서양의 종교다원주의 혹은 비교종교학 보다 한 발 앞서 다원주의적 신 이해의 기틀을 마련했다고 평가받는 류영모와 오늘날 종교 간의 대화나 타종교 이해에 있어 중요한 철학적, 신학적 틀을 제공한 네빌의 비교 연구는, 한국적 신학을 모색하고 있는 오늘날 한국 기독교의 상황과 동양의 존재론적 신학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서구 신학 양쪽 모두에 의미가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e main goal of my dissertation is to first compare Robert C.
    Neville’s understanding of the ultimate reality and Yǒng-mo Yu’s understanding of God.
    For Neville who is a philosophical theologian and ex-Dean of Boston University School of Theology, God or the ultimate reality is necessary to explain all beings of the world and the order of beings because it is impossible to explain the world and the world order only through the determinate beings of the world. Neville proposes his God-world relationship theory by the traditional view that God creates the world ex nihilo, and tries to maintain both of God’s transcendence and immanence through his creation theory.
    Yu (1890-1981) is known as a supporter of religious pluralismin Korea, advocating for a syncretistic conception of God; and for interfaith spiritual renewal. Yu’s own definition of God as “Ŏpshi-gyeshin-Haneunim”(없이 계신 하느님, God who exists as Non-Being) is an ont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ultimate reality, which is very different from conservative Korean Protestantism’s understanding of God.
    Yu’s understanding of God is very similar to Neville’s understanding of God as the creator in that both of them define the ultimate reality as absolute Nothingness (無) or Emptiness (空) transcending both being and non-being. Yu’s understanding of God was also based on the East Asian religious traditions which are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herefore, Yu defines Christian God as T’ai-chi(太極) and Wu-chi(無極), sūnyatā(空), and Tao(道) which are concepts or symbols that Yu borrows from the East Asian religions.
    I expect that my dissertation, which compares Yu’s and Neville’s understanding of God, will contribute to not only our theological context which wants to find a distinct Korean Christianity, but also the western theology which is much interested in the East-Asian ont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ultimate re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조직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