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요한복음의 하나님’에 대한 퍼포머티브-내러티브 비평적 분석: ‘아버지’(πατήρ) 용어 사용을 중심으로 (The God of the Gospel of John : Focusing on John’s Term ‘Father’(πατήρ) from a Performative-Narrative Critical Viewpoint)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6.06
39P 미리보기
‘요한복음의 하나님’에 대한 퍼포머티브-내러티브 비평적 분석: ‘아버지’(πατήρ) 용어 사용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신약학회
    · 수록지 정보 : 신약논단 / 23권 / 2호 / 331 ~ 369페이지
    · 저자명 : 유지운

    초록

    본 연구는 ‘요한복음의 하나님’이 갖는 함의를 요한이 유독 많이 사용하고 있는 ‘아버지’(πατήρ) 용어를 중심으로 탐색한다. 접근 방법론에 있어서 ‘성서 퍼포먼스 비평’이라는 최근 새로이 일어나고 있는 방법론을 ‘제한적으로’ 적용한다. 요한 내러티브 자체를 1세기 후반에 구연되었거나 구연을 위해 작성된 ‘퍼포머티브 내러티브’로 인식하면서 주로 내러티브 비평적 분석을 다룬다. ‘요한복음의 하나님’에 대한 선도적 내러티브 비평가들(컬페퍼, 톰슨, 톨미, 스티비 등)의 연구들을 비교, 종합, 평가하면서 ‘요한복음의 하나님’이 갖는 함의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다. 이들의 연구들에서 미흡하게 다루었던 부분이 요한 내러티브가 갖는 ‘대립과 갈등’이라는 ‘플롯’(Plot)이해였음을 지적하고, 아울러서 요한 내러티브가 갖는 ‘우주적 차원’에 대한 이해를 상기시킨다. 요한복음을 ‘퍼포머티브 내러티브’로 인식하면서 분석한 결과는 ‘요한복음의 하나님’은 모든 사람을 ‘하나님(아버지)의 자녀들’이라는 친밀한 사랑의 관계성에로 부르는 분이시며, 동시에 1세기 후반 당시 로마황제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거짓 하나님들’에 대하여 그들과 같은 수준이 아니라 차원이 다르게 높은 수준에서 그들을 향해 ‘아니오’(No)를 선언하시는 분으로 정리된다. 본론 마지막 부분에서는 퍼포먼스 비평적 한 관점에서 ‘아버지’ 용어의 내러티브 전반에 걸친 반복적 사용이 가져다 줄 수 있는 수사적 효과를 간략히 정리한다. 결론에서는 요한 내러티브에 대하여 가장 보편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고 여겨지는 하나의 ‘퍼포먼스 시나리오’를 제시해 보면서, ‘요한복음의 하나님’에 대한 위의 퍼포머티브-내러티브 분석의 결과가 어떻게 요한공동체로 불리는 ‘집합적 청중’에게 구체적으로 경험되었을 것인지에 대해 다양하면서도 적법한 여러 가지 해석의 가능성들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lluminates the God of the Gospel of John focusing on John’s term “Father”(πατήρ) from a performative-narrative critical perspective. Biblical Performance Criticism is an emerging discipline in the New Testament Studies that seriously considers the 1st century oral/aural context of the writings in the New Testament. This study tries to show how a narrative critical study relates with a performance critical study in a way to introduce Biblical Performance Criticism. From a performative-narrative critical perspective, John’s God appears the One who wants to have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all human beings as “Father” while at the same time, the One who says “No” to all the “false gods” including the Roman emperor(s) at the end of the first century CE. John’s God says “No” to these “false fathers” not disputing with them at the same earthly level but standing in a much higher cosmic dimension. At the ending part of the Body of this paper, the author briefly adds the rhetorical effects of John’s term “Father” from a performance critical viewpoint in order to show how a performance critical perspective can make a narrative understanding more lively. A performance scenario of the Gospel of John proposed at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indicates that various interpretations about the rhetorical impacts of John’s term ‘Father’ can be possible and legitimate according to the social locations of individual community members and/or the ideal “collective audi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약논단”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