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랑, 사랑의 신학 그리고 한국인의 정 - 몰트만의 사랑의 하나님 이해를 중심으로 (Love, Theology of Love and Korean Jeong : Based on Moltmann’s Understanding of the Compassionate God)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4.12
38P 미리보기
사랑, 사랑의 신학 그리고 한국인의 정 - 몰트만의 사랑의 하나님 이해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조직신학논총 / 40호 / 275 ~ 312페이지
    · 저자명 : 김정두

    초록

    이 논문은 사랑의 신학의 관점과 방법론을 바탕으로, 새로운 구성적 사랑론과 세계의 현대 위기 상황 속에서 정의와 평화를 위한 기독교 신학과 실천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한다. 신학은 하나님의 사랑을 드러내고 나누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는 학문이다. 이해를 추구하는사랑으로서의 사랑의 신학은 개념이나 추상보다는 사랑의 경험과 실천과 함께 출발하는 신학이다. 사랑이 지식을 선행하고 사랑이 지식을 가져오는 것이라는 이해를 바탕으로, 사랑의 인식론이 사랑의 신학의 토대로 제안된다.
    본 논문은 몰트만의 신학을 현대 세계를 위한 사랑의 신학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제시한다. 그의 신학은 희망의 신학으로 특징 지워진다. 그러나 그는 그 자신의 사랑의 신학을 발전시키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그에게 사랑은 삼위일체적 상호순환침투적 사귐, 신적인 선의 자기 소통, 세계 속에 있는 각각의 자아 안에서 혹은 자아를 통해서 흐르고 있는 우주적 쉐키나의 여정 혹은 흐름, 그리고 자기 제한으로서의 케노시스이다. 그의 사랑론에서 가장 독특한 주제들 중 하나는 하나님이 세계와 함께 고통을 당한다는 것이다. 몰트만은 하나님이 사랑의 하나님 혹은 공감의 하나님임을 논하고 강조한다. 인간에게 있어서는 하나님의 사랑에 대한 응답과 참여가 요청된다. 그의 사랑 이해에서 서양 전통의 담론들에서의 아가페와 에로스의 이원성 혹은 이항 대립성이 해체되고 극복되고 있다. 몰트만은 근대철학이 주장했던 분리된 주체들 대신에 간주체성의 관점에서 주체들을 이해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몰트만은 새로운 사랑 이해를 발전시킨다.
    한국인의 정 개념은 몰트만의 사랑론과 깊고 큰 공명함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정은 독특한 한국인의 사랑 개념이다. 그것은 아가페, 에로스 그리고 기타 다른 사랑의 형식들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그것은 가족적인 끈끈한 관계성이다. 그것은 주체와 객체, 애정과 미움, 또는 억압자와 피억압자 간의 분리와 경계를 넘어서 타자에게 열려있는 상호의존적이고 상호침투적인 주체들 사이에서 형성되는것이다. 정은 특정한 시간과 공간 속에서 함께 존재하며 기쁨도 고난도 나누면서 고운정과 미운정을 통하여 깊어진다. 이것은 신체화된,성육화된, 그리고 케노시스적 사랑이다. 이 사랑 속에서 한국적 사랑의 신학의 가능성을 발견해 낼 수 있다.

    영어초록

    Based on the perspective and method of a theology of love, this article seeks a constructive notion of love and a new direction of Christian theology and practice for justice and peace in the contemporary context of the crisis of the world. Theology is a discipline whose purpose is to disclose and share the love of God. A theology of love as love seeking understanding is that which begins with the experience and practice of love rather than a concept and abstraction. Based on the idea that love precedes and brings knowledge, the epistemology of love is suggested as grounds for the theology of love.
    This essay interprets and presents Moltmann’s theology as a theology of love for the contemporary world. His theology is characterized by a theology of hope. However, one can find he develops his own theology of love. For him, love is a trinitarian perichoretic fellowship; God’s self-communication of the good; the odyssey or stream of the cosmic Shekinah within or through each self in the world; and kenosis as self-limitation. One of the most distinctive theses in his notion of love is that God suffers with the world. Moltmann argues and highlights that God is the compassionate God. For human beings, the response to and participation in God’s love is required. In his understanding of love, the dichotomy or binarity of agape and eros in the Western traditional discourses is deconstructed and overcome. Moltmann understands subjects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subjectivity instead of the separated subjects that modern philosophy has assumed. In this way, Moltmann unfolds a new understanding of love.
    One can find that the Korean concept of jeong has deep and great resonance with Moltmann’s notion of love. Jeong is a unique Korean concept of love. It entails the dimensions of agape, eros, and other forms of love. It is a familial, sticky relationality which is formulated among interdependent and interpenetrating subjects who are open to the other beyond the separation and boundary between subject and object, affection and hate, or the oppressor and the oppressed. Jeong is deepened through go-eun jeong and mi-eun jeong while existing together in a certain time and place and sharing joy and suffering. It is an embodied, incarnated, and kenotic love. In this love of jeong, one can discern the potentiality of a Korean theology of lo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조직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