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간은 자신의 길을 알 수 있을까? — 하나님의 계획에 대한 지혜문학적 답변 시도 (Does a person Know his/her way? —A try to response of wisdom literature about God’s pla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5.10
28P 미리보기
인간은 자신의 길을 알 수 있을까? — 하나님의 계획에 대한 지혜문학적 답변 시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98호 / 5 ~ 32페이지
    · 저자명 : 이용호

    초록

    지혜문학은 인간의 삶을 관찰함으로써 나타나는 현상에 대하여 질서 와 규칙을 발견하려는 노력의 산물이다. 그리고 지혜자들은 관찰한 결론 을 잠언이나 교훈으로 만들어 공동체와 개인의 안녕을 도모했다. 그 방법 은 행위–결과의 관련성이다. 그러나 본 논문은 행위–결과의 관련성에 대 한 이론적 확립을 위한 글이 아니다. 본 논문의 첫 번째 의도는 지혜문학적인 관점에서 인간의 계획과 하나 님의 계획에 차이가 있음을 지적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였다. 행위–결과 의 관련성은 명백하게 예측 가능한 결과에 있어서 아주 탁월한 이론이지 만, 그러나 우리의 삶은 항상 행위–결과의 관련성대로 나타나지 않는다. 이스라엘 지혜자와 예언자 역시 이 점에 있어서 많이 당황한 듯하다. 그들 은 선한 행위가 항상 선한 결과로 나타나지 않을 때, 예를 들면, 악인의 성 공과 장수함, 성공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의 실패 등, 이로부터 지혜자들 은 인간의 행위에서 발생하는 우연적인 사건이 아니라, 오히려 인간의 행 위를 주관하는 무엇인가가 있다는 것을 감지한 것 같다. 그들은 그 배후의 인도자를 야훼 하나님으로 보았다. 그 때문에 본 논문의 두 번째 주제는 다음과 같은 질문에서 시작한다: 사람이 자신의 길을 알 수 없다면, 어떻게 사람의 길을 인도하시는 하나님 의 뜻과 계획을 알 수 있을까? 구약성서의 지혜자들은 이 문제의 해답을 사람의 외부적인 종교 활동이 아니라, 내부적인 각성과 깨달음에서 보았 다. 우리는 지혜자들이 이성적으로 사람의 행위를 객관적인 증거와 가시 적인 현상으로 다루지는 않지만 인간의 삶을 변화시키는 신앙고백의 차원 으로 나아가려는 그들의 노력을 인식할 수 있다. 먼저 지혜자는 인간이 하나님의 계획을 알기 위해서는 자신의 한계를 인식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그 자신의 한계에 대한 인식은 인간에게 겸손(Demut)을 요구하고 마음을 비우게 한다. 그 후에 사람은 하나님의 계획과 뜻을 듣는 것이 아니라, 깨닫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욥의 변화와 고백에 집중하여 이를 증명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Does a person Know his/her way? —A try to response of wisdom literature about God’s plan

    Wisdom literature is the fruit of sheer labor to find out the order and the rule about phenomenon by observation of human’s lives. And the wise men made conclusions based on observation into Prov- erbs or lessons, so they would aim to maintain peace in individual and in community. The method is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But the present study isn’t supposed to establish a theory of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First, the present study seeks to begin to point out the difference between human’s plan and God’s plan from the perspective of wis- dom literature.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is a remarkable theory when we are able to predict, but our lives don’t definitely take place in accordance with cause and effect relation. The wise men and the prophets of Israel were confused by this result. When they saw good deed always didn’t lead to good result, for example success and lon- gevity of the wicked, failure in inevitable success, and so on, they didn’t think it of accidental event by human’s action but rather some- thing controling human’s action. They saw that guide behind as YHWH God. So the second theme of the present study begins as follows; If a person don’t know his/her way, how we could know God’s will and plan guiding our way? Wise men of old Testament realized that this answer to the question isn’t related to human’s outside religious activities, but human’s inside spiritual awakening or enlightenment. We noticed that the wise men didn’t reasonably deal with human’s act as objective evidence and visible phenomenon but that they tried to extend to a confession of faith changing human’s lives. Most of all, the wise men considered that a person should recognize the limit of own’s action to know God’s plan at first. And then the recognition of the limit of own’s action called for humble and empty mind. Finally, a person didn’t hear God’s plan and will but realized. According to this view, the present study seeks to attest by focusing on Job’s alteration and confes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