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리지외의 성녀 데레사 안에 나타난 부모의 모습과 하느님의 형상과의 관계성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al Figure and the Image of God in St. Therese of Lisieux)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09.11
32P 미리보기
리지외의 성녀 데레사 안에 나타난 부모의 모습과 하느님의 형상과의 관계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철학 / 15호 / 35 ~ 66페이지
    · 저자명 : 정인숙

    초록

    본 논문은 인간이 세상에서 체험하는 부모의 모습(figure)과 그가 인식하는 하느님의 형상(image) 간에는 어떤 연관성이 있다는 것에 대한 연구이다. 더구나 하느님을 “아버지”로 부르는 그리스도교에서는 자신이 체험한 부모의 모습이 상징이 되어 영성생활 안에서 하느님께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열어주기도 하고, 또는 장애가 되기도 한다. 그리고 영적 체험을 이해하고 서술할 때에도 ‘아버지’나 ‘어머니’의 상징을 사용하기도 한다. 리지외의 성녀 데레사는 “비할 데 없는” 부모님을, “지상에 보다 천상에 더 합당한” 부모님을 모셨기에 하느님께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갖는데 문제가 없었다. 그러나 예수 그리스도 외에는 그리고 그분이 성부를 드러내 보여 주려는 사람 외에는 아무도 성부를 알지 못한다(마태 11,27). 성녀의 영성생활이 진보함에 따라 하느님께 대한 전체적인 전망을 열어주시는 분은 예수 그리스도이심을 보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이 지상에서 아무리 훌륭한 부모를 모셨다 해도 인간은 하느님을 보여주는 완전한 상징이 되지 못한다.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보는 것에 따라 하느님 아버지를 보게 되는 것이다(요한 14,9).

    영어초록

    This essay aims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al figure as experienced in daily life and our conceived image of God. In a religion that invites us to call God "Father", Christianity converts the human parental figure into a powerful symbol with a particular spiritual perspective. This parental figure lends itself to either a positive or negative interpretation given the experiences one has behind this human reality. Nevertheless, the human symbol of "father" and "mother" are used in order to understand and describe the experiences in the spiritual life. Because St Therese of Lisieux had the "best parents" who, in her own words, were "more worthy of Heaven than of earth", she did not have any difficulty as regards maintaining a very positive image of God. But no one knows the Father except the Son (Jesus Christ) and to whosoever He wishes to reveal Him." (Mt 11, 27) We can see that it is Jesus Christ who opens for us an encompassing vision of God in and through the developing phases in the spiritual life of St Therese of Lisieux. Consequently, any parent, even if they may be the "best", cannot be a perfect symbol that reveals God. It is only when one sees Jesus Christ that we see the Fat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