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임상목회경험을 통한 하나님 이해 - 칼 바르트의 유비적 계시론에 기초한 임상목회신학 - (Knowing God through Clinical Pastoral Experiences: Clinical Pastoral Theology based on Karl Barth’s Analogical Understanding of Revelation)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6.11
29P 미리보기
임상목회경험을 통한 하나님 이해 - 칼 바르트의 유비적 계시론에 기초한 임상목회신학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52호 / 747 ~ 775페이지
    · 저자명 : 이재현

    초록

    이 논문은 “우리의 임상목회경험이 하나님에 대한 이해를 깊어지게 하는가?”라는 질문으로부터 출발한다. 다시 말해 임상목회경험이 신학의 자원이 될 수 있는가는 질문에서 시작한다. 안톤 보이슨(Anton Boisen)이 임상목회경험을 통한 신학방법을 제안한지 어언 한 세기가 지났지만 임상적 경험 신학의 방법은 아직 구체화되지 못했다. 필자는 그 원인을 두 가지 문제에서 찾는다. 첫째, 인간상호간의 경험과 하나님 경험을 연결시키는 신학적 논의가 충분하지 못했다. 둘째, 여전히 서구이성중심주의 전통의 영향아래 인간의 감정이나 심리적 역동 등 비언어적 매체를 통한 신학의 방법이 정립되지 못했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칼 바르트(Karl Barth)의 유비적 계시론과 위르겐 몰트만(Jűrgen Moltmann)이나 미하엘 벨커(Michael Welker)의 성령론을 참조하면서 위 두 가지 문제의 해법을 모색한다. 필자의 기본주장은 목회상담자인 우리가 내담자와의 관계에서 현존하신 그리스도를 발견하고 그 실천에 참여할 때 하나님께서 그러한 두 사람 사이의 관계적 역동을 통해 자신을 유비적으로 계시하신다는 것이다. 나아가 이 논문에서 필자는 두 사람 사이에 일어나는 감정이나 심리적 이미지와 같은 비언어적 요소들 역시 그처럼 하나님께서 자신을 나타내시기 위해 사용하는 매체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즉 목회상담자가 내담자와의 관계에서 그리스도의 실천에 적극적으로 동참할 때 성령의 마음과 목회상담자의 감정은 상호침투하고 상호조응하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임상목회의 경험은 살아 계신 하나님을 알아가는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이와 같이 성령과 성경의 조명 아래 임상적 경험을 통해 하나님을 더 깊이 알아가는 임상적 경험신학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starts from the question, “Can our understanding of God be furthered through clinical pastoral experiences?” This is the question whether pastoral experience can be a proper source for theology. It has already passed a century since Anton Boisen suggested an empirical approach to theology that starts from the exploration of the inner world. However, its method has not been sufficiently developed yet. I think there are two reasons. First, there is still no clear theological explan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the God-human relationship and the pastoral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cond, there is still no sufficient clarification on the way how to register human feelings and psychological dynamics as the source of theology. In this study, I have suggested solutions for these problems on the basis of Karl Barth’s analogical understanding of revelation and Jürgen Moltmann’s and Michael Welker’s understandings of the function of the human spirit and the Holy Spirit. My basic argument is that God reveals himself through our interpersonal relationship when we participate and bear witness to the Christ present with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My argument is also that human feelings and psychological dynamics between the two human persons can work as mediation for God’s revelation of his own heart and mind for them. When people participate in Christ’s presence and action through the pastoral relationship, the Holy Spirit’s heart and their feelings for one another interpenetrate and resonate with each other. Consequently, the experiences of pastoral relationship can be an important source of knowing God. In this way, I explore the possibility of clinical empirical theology that seeks to know God through the present experiences of pastoral practice under the guidance of the Bible and the Holy Spir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