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宗敎界諸名士講演集』(1922)에 나타난 ‘하나님의 형상’에 관한 논지 분석 (An Analysis of Arguments of the Image of God in Sermons Collection by Prestigious Pastors and Teachers of Christian Group(1922))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23.04
41P 미리보기
『宗敎界諸名士講演集』(1922)에 나타난 ‘하나님의 형상’에 관한 논지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생명과말씀 / 35권 / 1호 / 186 ~ 226페이지
    · 저자명 : 안수강

    초록

    본 연구는 1922년에 출판된 『宗敎界諸名士講演集』에 나타난 하나님의 형상과 관련된 논점들을 분석하려는 데 목적을 두었다.
    주요자료들로서 이기풍(李基豊), 김필수(金弼秀), 이만집(李萬集), 원익상(元翊常), 김창준(金昌俊), 이홍주(李泓周) 등이 저술한 여섯편의 설교문들을 중점적으로 고찰했다.
    본 연구자는 이 여섯 편의 설교문들에 진술된 하나님의 형상과관련된 의미심장한 관점들을 다음과 같이 숙고했다. 첫째, 이기풍의 설교문 “新造의 人”에서는 ‘하나님의 형상’과 ‘새 사람’ 양자사이의 논리적 연계성을 다루었다. 둘째, 김필수의 설교문 “球上 無比의 紀念”에서는 ‘하나님의 형상’과 ‘성찬식’ 양자 사이의 논리적 연계성을 다루었다. 셋째, 이만집의 설교문 “第二國民의 養成”에서는 ‘하나님의 형상’과 ‘제2국민 영육(靈育)’ 양자 사이의논리적 연계성을 다루었다. 넷째, 원익상의 설교문 “사람의 本位” 에서는 ‘하나님의 형상’과 ‘성화의 과업’ 양자 사이의 논리적 연계성을 다루었다. 다섯째, 김창준의 설교문 “最大의 模範”에서는‘하나님의 형상’과 ‘그리스도의 모범’ 양자 사이의 논리적 연계성을 다루었다. 여섯째, 이홍주의 설교문 “良心의 威力”에서는 ‘하나님의 형상’과 ‘양심의 개혁’ 양자 사이의 논리적 연계성을 다루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analyze arguments of the image of God in Sermons Collection by Prestigious Pastors and Teachers of Christian Group(1922), focusing on six sermons written by Gi-Pung Lee, Pil-Su Kim, Man-Jip Lee, Ik-Sang Won, Chang-Jun Kim, and Hong-Ju Lee.
    The author points out the prominent viewpoints of the image of God in these six sermons as follows. Firstly, the article treats with the logical relevance between ‘the image of God’ and ‘new man’ in Gi-Pung Lee’s “New Man”. Secondly, the article treats with the logical relevance between ‘the image of God’ and ‘the Christian eucharist’ in Pil-Su Kim’s “The Greatest Commemoration”. Thirdly, the article treats with the logical relevance between ‘the image of God’ and ‘spiritual education’ in Man-Jip Lee’s “Christian Spiritual Education for Christian Children”. Fourthly, the article treats with the logical relevance between ‘the image of God’ and ‘the tasks of sanctification’ in Ik-Sang Won’s “Human Responsibility”. Fifthly, the article treats with the logical relevance between ‘the image of God’ and ‘the example of Christ’ in Chang-Jun Kim’s “The Greatest Model”.
    Sixthly, the article treats with the logical relevance between ‘the image of God’ and ‘the reformation of conscience’ in Hong-Ju Lee’s “The Power of Consci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