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탈근대- 여성신학 담론에서의 하나님 이해: 성장 이후의 신학으로서의 여성신학 (A Post-modern Feminist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God)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08.06
30P 미리보기
탈근대- 여성신학 담론에서의 하나님 이해: 성장 이후의 신학으로서의 여성신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조직신학논총 / 20호 / 191 ~ 220페이지
    · 저자명 : 김수연

    초록

    여성신학의 관점을 가지고 이제까지의 신학 담론
    에서 배제된 귀중한 가치들을 구성해 보는 것은 현재에 한국의 기독교
    가 처한 위기의 상황을 극복하는 가능성을 열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
    로‘셋이 하나되는 하나님,’‘가려졌던 성령 하나님,’‘몸이 되신 하나
    님’등의 의미를 다시 살펴보는 가운데, 형이상학의 이분법적 가치가
    투사된,‘전근대적이고 근대적인’하나님의 모습들을 돌이켜 보게 될
    것이다. 특히, 억압되고, 착취된, 여성, 몸, 땅 등이 치유될 수 있도록 하
    는, 보다 개방적인 신학적 체계를 발견하게 될 수 있을 것이다. 서구 형
    이상학의‘동일성 혹은 획일성(Oneness or Sameness)’의 논리에 의해
    억압된 것들을 발견하려는 것이 물론 탈근대주의 신학만의 작업은 아
    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통적 신학에 배어있는 기존의 신학적 입
    장에 해체라는 구체적인 방식으로 대응하기에,‘탈근대적’이라 이름 붙
    여 그러한 관점에서 전통적 신학을 검토하려 한다. 이러한 탈근대- 여
    성신학의 작업은 결국 여성만을 위한 일이 아니며 이제껏 남성- 중심적
    인 가치관에 기대어 있던 기독교 신학이 드러낸 전지구적 문제까지도
    치유할 수 있는 것으로 기독교의 잃어버린 귀중한 가치들을 회복하게
    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eks to articulate a feminist postmodern understanding
    of God through a re-reading of materiality, maternity, and its relation
    to God. In actuality, the dualistic understanding of body and spirit that
    is embedded in the traditional theology proffers the oppression and
    exploitation of women and nature, privileging the metaphysics of
    substance, essence, and truth. Thus, grappling with the (m)other
    erased and effaced within the traditional theological understandings,
    this explores fluidity, plurality, and maternity, pertaining to the
    images of God. The traditional and conventional imges of God lead to
    the oppression of body and women. Further, a western metaphysical
    understanding of transcendent Being overshadows the redemption of
    God within the theological discourses. This article therefore inflects
    Christian theology with recent postmodern and poststructuralist
    theories, in order to propose at once the material/maternal
    representations of God and the open-ended system of theology.
    In theorizing a feminist theological God-talk, this study rely
    especially on the form of postmodern and postcolonial theories both
    to criticize traditional theologies and to create a constructive feminist
    understanding of God. To my knowledge, the recent theoretical
    findings have not yet been applied systematically to the problem of
    patriarchal and imperialistic theologies. Indeed, the western logic of
    dualism have assumed a divine reality above and beyond all
    materiality and maternity. The name of God however does not signify
    a higher being, a Super-being, to redeem the bodily things, but rather
    a behind-being, a beneath-being, releasing space for the (m)other not
    from above but within inside. In this regard, this feminist understanding
    of God resists traditional metaphysics’ tendency to appropriate
    the endless and ceaseless representations of God as a being
    with such names as origin, beginning, and telos. To maintain metaphysical
    concepts would be to mistake the relationship that human
    beings can have with the divinity.
    Toward an alternative understanding of God, this study attempts
    not only to deconstruct traditional theological assumptions but also to
    develop a postmodern feminist theological perspective. As a
    constructive and contextual theology,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admitting at once women and nature disregarded and disparaged
    within the previous theological discours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조직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