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나님 나라의 사회 변혁적 성격을 이해하기 위한 기독교교육의 과제 (The Task of Christian Education to Understand the Social Transformational Nature of God's Kingdom)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21.08
30P 미리보기
하나님 나라의 사회 변혁적 성격을 이해하기 위한 기독교교육의 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사회 / 35권 / 3호 / 63 ~ 92페이지
    · 저자명 : 한경미

    초록

    기독교교육의 주요 과제는 예수가 전한 하나님 나라 복음을 그리스도인들에게 가르치고, 하나님 나라 운동에 참여하도록 교육하는 것이다. 그러나 기독교 역사에서 하나님 나라는 희랍적 관념 체계 따라 사후 개인의 영혼이 구원받아 이르는 ‘천국’ 개념으로 이해되었다. 기독교는 히브리인들이 고백했던 하나님의 통치가 모든 억압과 지배를 폐지하는 사회 변혁적 성격이 있다는 사실을 망각함으로써, 이 땅에 실현되는 하나님 나라에 대한 희망을 기독교 신앙으로 뿌리내리지 못하였다. 이 땅에 실현되는 하나님 나라를 증언하지 못했던 교회는 하나님 나라의 도구로서 역할을 상실하였고, 하나님 나라 실현을 저해하는 상황에서도 침묵의 길을 걸어왔다. 그 결과 현재 우리는 하나님 나라 실현만이 희망인 상황, 즉 분열과 갈등, 지배와 억압이라는 비평화적 상황과 생태계 파괴라는 생존 위기상황 속에 살아가고 있다.
    그러므로 기독교교육은 하나님 나라의 사회 변혁적 성격에 대한 이해를 통해 그 나라 실현에 참여하는 성숙한 그리스도인을 양육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성서가 증언하는 하나님 나라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희랍적 관점에서 벗어나 ‘히브리신앙 전승’ 맥락에서 교육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히브리인들은 ‘출애굽 사건’을 통해 하나님은 역사와 무관한 초월자가 아니라 역사 속에서 인간구원을 위해 일하는 살아계신 하나님으로 고백하였다. 하나님은 인류가 저지른 억압과 착취, 평화 부재를 극복할 ‘샬롬’을 약속하였다. ‘유대인 예수’는 히브리신앙 전승 위에서 이러한 하나님의 약속을 구현하고자 하였으며, 그의 삶과 가르침은 하나님 나라를 위해 투쟁하는 ‘참 혁명가’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하나님 나라를 재발견하기 위하여 노력한 라가츠(Leonhard Ragaz), 칼 바르트(Karl Barth), 헬무트 골비처(Helmut Gollwitzer)의 통찰들은 하나님 나라 복음이 현세의 사회를 변혁하는 ‘혁명성’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들에게 자본주의 체제는 하나님 나라 운동을 저해하는 근본 원인으로서 인식되었다. 기독교교육은 이러한 통찰의 근원을 이루는 히브리신앙 전승을 토대로 성서, 하나님, 예수에 대해 새롭게 학습함으로써 하나님 나라의 사회 변혁적 성격을 이해하고, 오늘날 하나님이 우리 사회에서 무엇을 변혁해 나가고자 하는지를 발견하여 그 일에 참여하는 기독교 신앙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main task of Christian education is to teach Christians the gospel of the kingdom of God preached by Jesus and to educate them to participate in the movement for the kingdom of God. However, in Christian history, the kingdom of God has been understood as the concept of ‘heaven’, where individual souls are saved and reached after death according to the Greek conception system. Christianity lost the socially transformative character of the reign of the living God that the Hebrews confessed, and the hope for the kingdom of God realized on this earth failed to take root in the Christian life. The church, which failed to testify to the realization of the kingdom of God on this earth, lost its role as an instrument of the kingdom of God and walked a path of silence even in situations that hindered the realization of the kingdom of God. As a result, we are currently living in a situation in which the realization of the kingdom of God is our only hope, that is, in a non-peaceful situation of division and conflict, domination and oppression, and a survival crisis of destruction of the ecosystem. In this crisis situation, Christian education faces an urgent task of nurturing mature Christians who participate in the realization of the kingdom of God through an understanding of the socially transformative nature of the kingdom of God.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kingdom of God that the Bible testifies, it is necessary for Christian education to break away from the Greek point of view and educate it to understand it in the context of “tradition of the Hebrew faith.” Through the “Exodus Event,” the Hebrews came to have faith in a living God who works for human salvation in history, not in a transcendental God unrelated to history. God promised “Shalom” to overcome the oppression, exploitation, and absence of peace committed by mankind. “Jewish Jesus” tried to embody this promise of God based on the tradition of the Hebrew faith, and his life and teachings showed the image of a “true revolutionary” fighting for the kingdom of God. The insights of Leonhard Ragaz, Karl Barth, and Helmut Gollwitzer who worked to rediscover the kingdom of God assert that the gospel of the kingdom of God has the ‘revolutionary’ that transforms the present world, not the afterlife. To them, the capitalist system was perceived as the root cause of hindering the movement for the kingdom of God. Christian education needs to learn anew about the Bible, God, and Jesus based on the tradition of the Hebrew faith that forms the source of this insight. This can help us understand the socially transformative nature of God's kingdom and discover what God is trying to transform tod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사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