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용운의 『님의 침묵』에서의 ʻ苦諦ʼ의해결 방식과 그 의미 (The Solution of ʻGoje(苦諦, Truth of suffering)ʼ in Han Yongunʼs The Silence of My Love and its Meaning)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4.12
42P 미리보기
한용운의 『님의 침묵』에서의 ʻ苦諦ʼ의해결 방식과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비교한국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22권 / 3호 / 271 ~ 312페이지
    · 저자명 : 정효구

    초록

    이 논문은 한용운의 시집 『님의 침묵』을 ʻ苦諦ʼ 혹은 ʻ苦聖諦ʼ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본 글이다. 이와 같은 시각에서 『님의 침묵』을 탐구하게 된 것은 ʻ苦厄ʼ의 문제야말로 불교 성립의 출발점이자 『님의 침묵』이 창작된 시발점이라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불교는 세속적 차원과 다른 차원에서의 의미를 가진 이른바 ʻ離苦得樂ʼ의 삶을 지향한다. 그럼으로써 無明 속에서 고통스러운 삶을 영위하고 있는 사람들로 하여금 수행과 正覺을 통하여 참다운 자유와 행복의 삶을 살도록 이끌고자 한다. 한용운의 시집 『님의 침묵』 또한 이와 같은 불교의 지향성과 목적성을 근저에 담고 있는, 이른바 보살심이 낳은 원력의 산물이라 여겨진다.
    한용운이 『님의 침묵』에서 ʻ고제ʼ 혹은 ʻ고액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보여준 대표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이다.
    첫째는 중생들이 처한 고액의 현실을 투철하게 자각하고 연민심을 내는 것이다.
    둘째는 지혜의 다른 이름인 見性 혹은 正見을 성취하는 일이다.
    셋째는 견성과 정견의 성취에서 더 나아가 대승적 보살심으로 ʻ님ʼ을 창조하여 품고 사는 일이다.
    넷째는 위의 세 가지 성취를 ʻ지금, 이곳ʼ의 현실 속에 온전히 ʻ廻向ʼ하여 ʻ님ʼ은 물론 우주만유를 無我的 사랑, 大我的 사랑으로 살려내는 일이다. 무아적 사랑, 대아적 사랑이란 말할 것도 없이 깨친 자가 구현할 수 있는 ʻ지혜 위의 사랑ʼ이며 ʻ지혜와 한몸을 이룬 사랑ʼ이다.
    苦諦에 초점을 맞추고 『님의 침묵』 읽기를 다시 해보니 시집 읽기가 조금 더 선명해진 느낌이다. 그리고 『님의 침묵』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좀더 전문적인 불교적 안목에 의하여 파악할 수 있게 된 느낌이다. 苦諦는 궁극적으로 苦滅聖諦를 꿈꾸고 있다. 『님의 침묵』이 지닌 이와 같은 불교적 측면을 활용할 때 『님의 침묵』은 한 존재의 삶을 苦諦에서 苦滅聖諦로, 다시 말하면 고통에서 치유의 세계로 이끄는 훌륭한 안내서가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focuses on the matter of ʻGoje(苦諦, The truth that life in this world is suffering)ʼ with Han Yongunʼs poem collection, The Silence of My Love. It is because the issue regarding suffering is considered to be the starting point for the establishment of Buddhism and also the creation of The Silence of My Love.
    In brief, Buddhism pursues ʻIgodeukrak(離苦得樂, Departing from suffering and attaing pleasure)ʼ. Of course, the concepts of ʻGo(苦, suffering)ʼ and ʻRak(樂, pleasure)ʼ referred to here differ from those in the mundane world. ʻGo(苦)ʼ and ʻRak(樂)ʼ in the secular world are the concepts determined by whether the ego (Small I)ʼs subjective needs are satisfied or not whereas in Buddhism, the subjective, relative, and temporary ʻGo(苦)ʼ and ʻRak(樂)ʼ in the mundane world are all defined as ʻsufferingʼ, and the world of nirvana created at the state of selflessness beyond the secular world is called as ʻRak(樂)ʼ. Therefore, the problem is how we can transform the ego or selfʼs life into egoless (Big I) or selfless life. If a person thinks the former life is the only thing we have, it will be like ʻignorant, worldly lifeʼ, but if a person acquires and achieves the latter life, it will be like ʻbright, enlightened lifeʼ.
    Han Yongun takes the path to ʻIgodeukrak(離苦得樂)ʼ as the ground for Jungsaengjedo(衆生濟度, Instructing all beings) in his The Silence of My Love and comes up with some of the noticeable solutions to get rid of pain as below:First, one should realize thoroughly the reality of so-called ʻGoje(苦諦)ʼ which means worldly life is full of suffering and feel sympathized.
    Second, to be freed from suffering in reality, it is basically needed to achieve either ʻGyeonseong(見性, Viewing truth)ʼ or ʻJeonggyeon(正見, Right view)ʼ.
    Third, to acquire ʻGyeonseong(見性)ʼ or ʻJeonggyeon(正見)ʼ, one has to be reborn through broad ʻBosalsim(菩薩心, Bodhisattva mind)ʼ, and each one should lead their life embracing ʻloveʼ created by ʻBosalsim(菩薩心)ʼ in their heart.
    Fourth, ʻGyeonseong(見性)ʼ or ʻJeonggyeon(正見)ʼ, ʻBosalsim(菩薩心)ʼ, and ʻloveʼ all should work realistically in the way of ʻHoehyang(廻向, changing directions)ʼ in the real world of ʻhere, nowʼ, and the best way to do it is ʻselfless loveʼ. Here, selfless love is ʻlove based on wisdomʼ which only an enlightened person can practice, and it is love unified with wisdom.
    According to the Buddhistic view, worldly pain is all the hardships we have caused for ignorance; in other words, it is the pain that we create ourselves by being obsessed to the phenomenal world grounded on discrimination. This also corresponds to the view to pain found in Han Yongunʼs poem collection, The Silence of My Love. In order to guide worldly beings to go over that pain and go into the world of permanent freedom, peace, and happiness, Han Yongun suggests several paths. And one thing particularly interesting out of them is that he emphasizes ʻBosal(菩薩, Bodhisattva)ʼs pain different from worldly pain. They may look the same as the kinds of pain, but the former is heteronomous pain while the latter is voluntary pain. Heteronomous pain bears resentment whereas voluntary pain leads to advancement. The reason why the speaker in Han Yongunʼs The Silence of My Love could offer unconditional, endless love to his love and keeps the love forever all through his life is that he could achieve that advancement by managing that voluntary pain.
    Reading The Silence of My Love again focusing on Goje(苦諦), the researcher finds it is much clearer. And it is also possible to figure out what The Silence of My Love is intended to talk about from a more specialized Buddhistic point of view. Goje(苦諦) dreams of Gomyeolseongje(苦滅聖諦) ultimately. If that Buddhist aspect of The Silence of My Love is employed, The Silence of My Love can turn out to be a great guidebook that leads a being from Goje(苦諦) to Gomyeolseongje(苦滅聖諦), say, the world of heal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