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나님의 창조질서와 자연에 대한 생태신학적 고찰 (An Ecotheological Study on God's Creation Order and Natur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9.12
32P 미리보기
하나님의 창조질서와 자연에 대한 생태신학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직신학연구 / 33권 / 10 ~ 41페이지
    · 저자명 : 김경철

    초록

    근대와 현대의 역사에서 인류는 지금껏 경험해 보지 못한 엄청난 문명의 발달과 놀라운 과학의 발전을 이루어 냈다. 그러나 이러한 문명과 과학의 발달은 필연코 환경오염과 생태계의 훼손을 가져왔다. 오늘날 인류는 지구를 단숨에 파멸시킬 수 있는 핵무기를 가지고 있고, 생태계의 문제는 이제 어느 국가, 지역의 문제가 아니라 전 지구적인 문제가 되었다. 이러한 불합리한 현실 속에서 우리는 지금까지 인류가 이루어 낸 “문명과 과학과 기술의 발달이 우리에게 주는 가치가 무엇인가” 라는 근본적인 물음에 직면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근본적인 질문에 근거하여 『하나님의 창조 질서와 자연』의 관계를 생태 중심적인 입장에서 생태신학적으로 연구하려고 하였다.
    인간은 자연과 더불어 하나님이 창조하신 피조물의 일부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피조물과는 구별되는 하나님의 형상(Imago Dei)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하나님이 인간에게 허락하신 ‘하나님의 형상’은 창조세계에 대한 인간의 특별한 책임과 헌신을 전제함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자연을 파괴의 대상, 정복의 대상으로 인식해왔다. 그 이유는 먼저 자연이 인간의 죄성의 결과 타락했기 때문이다. 저자가 이 논문에서 주장하는 모든 생태신학적 주장은 이를 대전제로 해서 전개되는 것이다. 본래 하나님의 창조는 사랑과 평화에 근거한 창조 질서이었다.. 그러나 하나님의 창조질서는 인간의 죄성으로 깨어지고 인간은 에덴 동산에서 추방당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특히 그 어느 시대보다 더 인간의 타락한 죄성의 모습을 담고 있는 근대와 현대의 인간중심적인 세계관은 하나님의 창조질서 속에 창조된 인간과 자연을 둘로 나누는 ‘이분법적’ 신학관을 공고히 했고, 인간의 자연에 대한 지배를 정당화 하고 자연을 돌보지 못했다. 그 결과 오늘날 인류 멸망의 첫 번째 원인은 더 이상 핵무기가 아니라 생태계의 파괴가 가져 올 지구의 멸망이다. 하나님이 인간에게 허락하신 자연에 대한 청지기적 사명을 감당하지 못한 결과가 가져온 산물이다.
    본 논문에서는 하나님의 창조질서와 자연에 대한 생태신학적 고찰을 통해 타락한 죄성에 근거한 인간중심적 세계관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인간중심적인 세계관”에서“하나님 중심적인 세계관”으로의 전환 , 그리고 궁극적 목표인 “삼위일체적 생태신학”으로 가는 대안을 제시함을 통해 하나님이 인간에게 맡겨주신 자연에 대한 청지기적 사명을 회복하고자 하는 학문적 연구를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I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mankind has made tremendous developments in civilization and marvelous science that we have never experienced before. However, the development of civilization and science inevitably brought environmental pollution and damage to the ecosystem. Mankind today has nuclear weapons that can destroy the earth at once, and the problem of ecosystem is now a global problem, not a country or region. In this irrational reality, We are faced with a fundamental question, "what is the value of the development of civilization, science and technology to us?" Based on these fundamental questions, this study attempted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God's Creation Order and Nature” from an ecotheological point of view.
    Humans have Imago Dei, distinct from other creatures, even though they are part of the creature that God created with nature. However, even though God's permission for man, “Imago Dei,” presupposes man's special responsibility and commitment to creation, humans have recognized nature as the object of destruction and of conquest. The reason is first that nature has fallen as a result of human sinfulness. All the ecotheological claims that the author make in this study are developed with these presuppositions. Originally God's creation was a creation order based on love and peace. But God's creation order is broken by the sinful nature of man and results in man being expelled from the Garden of Eden. In particular, modern and contemporary human‐centered worldviews that contain the fallen sinfulness of man more than ever strengthened the “dichotomous” theology that divides man and nature created in God's order of creation, and man did not justify man's dominion over nature and care for nature. As a result, the first cause of the destruction of mankind today is no longer nuclear weapons, but the destruction of the earth that will result from the destruction of ecosystems. This is a product of the result of not being able to afford the stewardship of nature that God has given to man.
    Through the ecotheological examination of God's creation order and nature, this study discovered the problems of a human‐centered worldview based on fallen sinfulness, and presented a scholarly study to restore the stewardship of nature God has entrusted to man through the transition from a “human‐centered worldview” to a “God‐centered worldview” and to the ultimate goal of “trinitarian ecological the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