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팔라르도의 『라자르 선생님』에 나타난 다시쓰기 연구 (Une étude sur la réécriture dans Monsieur Lazhar de Falardeau)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4.03
28P 미리보기
팔라르도의 『라자르 선생님』에 나타난 다시쓰기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호학회
    · 수록지 정보 : 기호학 연구 / 38권 / 37 ~ 64페이지
    · 저자명 : 김도훈

    초록

    필립 팔라르도의 『라자르 선생님』의 텍스트를 이전의 텍스트들과 맺는 상호텍스트적 결합체로 간주할 수 있다. 독자 관객은 자신의 문화적 소양에 따라 여러 가지 이전 텍스트들을 간파할 수 있다. 한 편으로 『라자르 선생님』의 텍스트를 팔라르도의 이전 작품 텍스트들과의 관계 속에 위치시킬 수도 있고, 다른 한 편으로는 퀘벡 영화사의 맥락 속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아버지 찾기라는 테마에 비추어 『라자르 선생님』의 텍스트를 읽을 수 있다. 이 영화가 교실 내의 어린이들을 다룬 작품이기에 교실 영화의 코드에 비추어 이 텍스트를 해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하이퍼텍스트의 망이 형성되면 독자 관객은 다양한 해석의 틀을 얻게 된다. 반면 작가는 독자 관객이 해석의 미로에 빠지지 않기 위해 여러 겹의 메타 텍스트를 구비한다. 이 영화에서는 팔라르도가 트뤼포의 영화를 다시 쓰기 함으로써 해석의 실마리를 제공한다. 팔라르도는 『400번의 구타』에 나오는 글과 이미지의 대립관계를 다시 쓴다. 『400번의 구타』에서는 이 대립관계에 어린이와 성인의 갈등 관계가 겹쳐 있다. 성인들은 정서법의 이름으로 글이라는 공식 영역을 좌지우지한다. 반면 외설적인 그림을 돌려 보는 어린이들은 어른의 글을 더럽히거나 훔치거나 한다. 팔라르도는 『400번의 구타』와 『포켓머니』를 암시하는 여러 장면을 사용한다. 글과 이미지의 대립관계를 발전시켜 팔라르도는 두 종류의 텍스트에 대한 이야기를 전달한다. 하나는 주인공 바시르 라자르가 받아쓰기를 위해 사용하는 텍스트이고, 다른 하나는 학생들에게 채점하라고 바시르가 작성한 텍스트이다. 받아쓰기라는 일방적 관계의 지주가 되었던 텍스트가 다원적 관계의 지주가 되는 하이퍼텍스트로 바뀌는 것이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은 자신의 아이를 잃은 라자르와 아버지가 없는 알리스 사이에 부녀관계에 준하는 관계가 성립함을 보여준다. 작가의 다시 쓰기를 간파한 독자 관객은 텍스트를 다시 읽게 된다. 이 영화에서 텍스트의 속성이 변한다는 사실은 퀘벡의 아버지 담론 및 정체성 담론의 변화와 밀접한 관계에 있다. 아버지의 이미지를 받치고 있던 퀘벡 민족의 신화도 함께 흔들리게 된다. 부자 관계와 마찬가지로 토박이 퀘벡인과 이주민 사이에도 혈연과는 다른 새로운 관계가 성립된다.

    영어초록

    Le texte de Monsieur Lazhar de Philippe Falardeau est un champ intertextuel qui se constuit comme la combinaison des différents textes antérieurs. Le lecteur d'un texte est susceptible de déceler la trace de tel ou tel texte antérieur par rapport à son aptitude culturelle. Nous pourrions situer le texte de Monsieur Lazhar, d'une part dans le contexte de ses œuvres entières, et d'autre part dans le contexte de l'histoire du film québécois, et cela nous amène à interpréter le texte de Monsieur Lazhar selon le thème de quê̂te de père. Enfin, étant donné qu'il s'agit d'un film qui parle des enfants dans leur classe, rien n'empê̂che que nous interprétions le texte du film suivant le code du film de la classe. Nous avons donc affaire à un réseau hypertextuel dans lequel les chances multiples de l'interprétation sont garanties. Par contre, l'auteur aménage des couches de métatexte pour empê̂cher ses lecteurs de tomber dans le labyrinthe de l'interprétation. En l'occurence c'est par la réécrirue du film de Truffaut que Falardeau nous laisse saisir le fil d'Ariane ; il réécrit l'opposition de l'écrit et de l'image développée dans Les 400 coups où le conflit entre l'enfant et l'adulte se superpose à cette opposition binaire. L'écrit est du cô̂té de l'adulte qui contrô̂le, au nom de l'orthographe, tout le sphère officiel, tandis que l'image obscène est du cô̂té de l'enfant qui ne fait que souiller ou voler l'écrit de l'adulte. Falardeau réécrit Truffaut tout en utilisant quelques scènes qui font allusion à Les 400 coups ainsi qu'à L'argent de poche. Falardeau développe l'opposition de l'écrit à l'image. et il nous donne à voir deux sortes de texte ; l'un est celui que Bashir Lazhar, le protagoniste du film, utilise pour la dictée, tandis que l'autre est celui que ce dernier a rédigé pour le soumettre à ses élèves pour qu'ils le corrigent à leur tour. Ainsi, le texte qui était le support d'un rapport unilatéral de dictée, devient-il un hypertexte, support des rapports multilatéraux. Le film se clô̂t avec la scène où entre Lazhar qui a perdu ses enfants et son élève Alice qui n'a pas de père s'établit un rapport quasi-parental. La reconnaissance de la procédure de réécriture permet au lecteur de relire le texte. Le changement du statut de texte est en relation étroite avec le changement du discours du père ainsi que celui du discours identitaire québécois. Le mythe fondateur d'une nation monolithique sous-jacent à l'image du père laisse désormais sa place à un nouveau discours paternel ; tout comme entre le père et les enfants, entre les Québécois de souche et les Québécois immigrants s'établit un rapport familial qui n'a rien à voir avec la logique du sa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호학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