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성스러움과 영성. 우리 시대 하느님과의 소통 방법 (Holiness and Spirituality. How to communicate with God in the Age of Globalization)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09.11
34P 미리보기
성스러움과 영성. 우리 시대 하느님과의 소통 방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상학회
    · 수록지 정보 : 현상학과 현대철학 / 43호 / 101 ~ 134페이지
    · 저자명 : 이기상

    초록

    나는 이 글에서 동서 통합적인 시각으로 우리가 사는 현대인 지구촌
    시대, 지식정보화의 시대, 문화다양성의 시대에 하느님과 소통하는 길을 찾아보
    기로 한다. 먼저 현대를 신이 떠나버린 칠흑 같은 어둠의 시대로 규정하면서 기
    술의 굴레 속에 부품화의 길을 가고 있는 현대인에게 ‘오직 신만이 우리를 구원
    할 수 있다.’고 외친 하이데거의 문제의식을 논의의 출발점으로 삼아본다. 하이
    데거는 로고스 중심, 이성 중심, 인간 중심의 세계관이, 아울러 존재[자] 중심의
    존재이해가 신이 있을 성스러움의 자리를 제거해서 신을 우리의 생활세계에서
    쫓아냈다고 말한다. 그래서 떠나버린 신을 다시 모셔오려면 무엇보다도 성스러
    움의 영역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성스러움을 경험할 수 있기 위
    해서는 존재[자]가 아닌 무[없음]와 관계맺을 수 있는 새로운 [존재의] 지평이 요
    구된다고 이야기한다. 우리는 아래에서 서양의 철학과 학문이 논의의 장 밖으로
    몰아낸 무에 대해 새롭게 접근하면서 무를 경험할 수 있는 길이 있는지 알아본
    다. 그리고 무 또는 없음[텅빔]에 대한 경험이 성스러움에 대한 경험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살펴본다. 그 다음 서양과는 다른 존재이해 속에서 하느님을
    체험하며 개념으로 파악한 한국인의 독특한 신에 대한 체험과 이름지음을 살펴
    보기로 한다. 존재(있음)의 지평이 아닌 없음(무ㆍ공ㆍ허)의 지평 속에서 어떻게
    신을 만나고 있는지를 류영모의 논의를 따라가며 고찰해 보기로 한다. 마지막으
    로 이러한 새로운 신에 이르는 길들이 지시하고 있는 시대적 징표를 읽어내려
    시도해 본다.

    영어초록

    Here, I am going to probe the way of communicating with God
    in the integral perspective that unites the East and the West in the
    modern period of global village, information technology, and cultural
    diversity where we are living. The clue of discussion could be
    found in the problematic of Heidegger who said “only God can
    save us” to modern people who have been walking the road to
    becoming a part of machines in the shackles of modern technology,
    naming the modern period as a pitch-dark period God left.
    According to Heidegger, God has been banished from our life-world
    [lebenswelt] as the world view centered upon logos, reason,
    humanism have got rid of the space of holrid o for God. He ho, he
    asserts that we should, above all, secure the space of holrid o in
    order to bring back God who could not but have left. He says that
    we need a new horizon [of being] for relationship with nd. He ho,
    [the non-existent] rather than with existence [the existent] in order
    to eace of holthe holy. Below, we are going to probe whether there
    might be yet a way to approach and eace of holanew nd. He ho,
    that had been thrownlaway out of the boundary of discussion in the
    Western philosophy and general learning. And we are going to
    ascertain that the experience of nothingness or non-existence
    [voidness] is closely related with the experience of the holy. Then,
    we are going to examine Korean people’s unique experience and
    conceptualization of God in perceiving and naming God through
    understanding of being different from the West. Here, following Ryu
    yeongmo’s description, we are going to examine the process of
    meeting God not on the horizon of existence [being] but on the
    non-existence [nothingness, emptiness, and voidness]. Finally, we
    will attempt to rea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suggested by those
    new ways toward G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상학과 현대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