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용운의 ≪님의 침묵≫에 대한 대승 보살 사상 (Great Bodhisattva Thought on Han Yongun's ≪The Silence of Love≫)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22.09
24P 미리보기
한용운의 ≪님의 침묵≫에 대한 대승 보살 사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인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인문학 / 60호 / 63 ~ 86페이지
    · 저자명 : 권성훈

    초록

    이 글은 대승불교 보살 사상이 한용운의 문학적 세계관을 형성하고 있다는 것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님의 침묵≫에 나타난 보살 사상은 만해의 중심사상으로서 불교적 관념에서 거치지 않고 바라밀의 실현으로 구축된다. 거기에 육바라밀행의 보시행은 만해의 시편에서 중생이 가져야 할 진정한 언행으로서 그가 사유했던 실천적 깨달음의 원천이 되고 있다.
    그것은 만해의 ≪님의 침묵≫에서 대승 보살 사상이 무의식적으로 구현되고 있으며 자유와 민족 해방 그리고 유신사상의 확고한 신념으로 작용했다. 만해의 문학은 현대문학사의 궤적으로 거치는 것이 아니라 일제강점기 종교개혁가, 독립운동가, 민족주의자 등으로 활동하는데 정신적 토대가 되었다. 이에 대승 보살 사상이 만해 의식의 기저에서 대사회적 변혁을 주도할 수 있는 당위성을 제공했다는 것이다.
    이같이 만해가 문인으로서 독립운동가로서 위상을 펼칠 수 있었던 것은 그의 신분이 승려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오늘날 만해가 역사 속에서 살아있게 한 근본적인 것이 종교이며 그가 추구했던 불교 사상이 그의 문학 속에 반영된다는 점이다. 이처럼 만해가 승려로서 불교적 신념이 있었기에 불후의 의지로 당대 현실을 극복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다. 그것은 분열된 이념과 종파를 범사회적 차원에서 화합할 수 있는 매개체로서 대승 보살사상이 만해의 전 생애를 관통한다.
    만해의 시의식을 대승 보살 사상으로 살피기 위해 이 시집에 두드러지게 나타난 육바라밀 중에서 첫 번째인 보시행을 연구방법으로 했다. 육바라밀을 형성하고 있는 보시행은 대승 보살 사상의 중심축을 이루고 있으며 만해 시편에서 현시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보시행에서 말하는 세 가지 유형으로 만해 시편이 구축하고 있는 보살 사상을 들여다보았다. 요컨대 재시와 법시 그리고 무외시는 보시의 세 가지 유형이며 논의할 만해의 시편에서 이와 함께 불교의 유심설과 무아설 그리고 인연설이 문학적 근간을 이룬다. 이로써 만해의 확고한 세계관으로서 대승 보살 사상이 구체적이고 실천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밝혔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entence is to clarify that the bodhisattva idea of Great Buddhism forms Han Yongun's literary worldview. The Bodhisattva thought that appeared in ≪The Silence of Love≫ was constructed through the realization of Paramita without going through the Buddhist idea as Man Hae’s central thought. In addition, the Boshi(布施) of the Six Brahmi(六波羅蜜) is the source of his privately owned practical enlightenment as the true words and deeds that humankind must have in Man Hae’s Psalms.
    It unconsciously embodied Great Bodhisattva thought in Man Hae's ≪The Silence of Love≫, and worked as a firm belief in freedom, national liberation, and theistic thought. Man Hae's literature did not follow the trajectory of modern literary history, but became a spiritual foundation for the activities of religious reformers, independence activists, and nationalist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other words, Great Bodhisattva Thought provided justification that could lead the great social change on Man Hae consciousness’s basis.
    It should be noted that Man Hae was able to expand his position as a literary figure and independence activist because of his status as a monk. Today, the fundamental thing that kept Man Hae alive in history is religion, and the Buddhist thought he pursued is reflected in his literature. In this way, Man Hae, as a monk, had Buddhist convictions, and with his undying will, he became the driving force to overcome the reality of the times. As a mediator capable of reconciling divided ideologies and sects on a pan-social level, Great Bodhisattva thought permeated Man Hae's original life.
    In order to investigate Man Hae's poetic consciousness in terms of Great Bodhisattva thought, I used the first Boshi in Six Brahmi, which prominently appeared in this collection of poems, as a research method. It is a fact that the Boshi that forms Six Brahmi is the central axis of Great Bodhisattva thought and is manifested in Man Hae's Psalms. I looked into the bodhisattva thought built up in Man Hae's Psalms by looking at the three types mentioned in Boshi. In short, Jaesi(財施), Beopsi(法施), Muuisi(無依施) and Non-Seeing are the three types of Boshi, in Man Hae's psalms, which will be discussed, along with the Buddhist doctrines of theistic thought, selflessness thought, and relationship thought, form the literary backbone.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Great Bodhisattva Thought works concretely and practically as Man Hae's firm world vie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