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로봇윤리에 대한 문학적 상상력(1) – 사이언스 픽션으로서 아이작 아시모프의 『아이, 로봇』과 테레사 한니히의 『판토피아』 비교분석 (Literarische Spekulationen für Roboterethik. Vergleich der Science Fiction-Werke I, Robot von Isaac Asimov und Pantopia von Theresa Hannig)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25.03
24P 미리보기
로봇윤리에 대한 문학적 상상력(1) – 사이언스 픽션으로서 아이작 아시모프의 『아이, 로봇』과 테레사 한니히의 『판토피아』 비교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어독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독어독문학 / 66권 / 1호 / 255 ~ 278페이지
    · 저자명 : 송민정

    초록

    2022년, 언어생성형 인공지능 ChatGPT의 등장은 인공지능의 상용화의 시발점으로 간주될 것이다.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만큼 또한 인간을 능가하는 자율형 로봇에 대한 두려움이 제기된다. 로봇이 등장하는 사이언스 픽션 안에서도 이러한 인간과 기계, 인간과 로봇의 관계에 대한 성찰이 이루어져 왔다. 인간의 도구이자 또는 노예로서 로봇의 자율성이 점차 커지면서 대중매체 속의 로봇은 주로 인간에게 위협이 되는 나쁜 로봇으로 형상화되었다. 일차적으로 로봇윤리는 인간에게 위협이 되지 않도록 로봇을 관리, 제작, 보급하는 사람들을 위한 인간윤리를 의미하지만 문학 작품 속에서 로봇윤리의 문제는 궁극적으로 인간과 기계의 관계 및 그 안에 내재된 인간성에 관한 물음으로 귀결될 수 있다. 특히 아시모프의 단편집 『아이, 로봇』에서 소개된 로봇 3원칙은 로봇윤리 에 관한 최초의 구상이자 로봇생산 메뉴얼 및 철학‧윤리 그리고 허구적 문학에 걸쳐 있다는 점에서 학제적 의의를 갖는다. 인간에게 유용한 로봇을 제작하기 위해 도입된 이 원칙들은 로봇의 안전을 보장하지만, 또한 하향식 접근법의 한계를 보여준다.
    반면 『판토피아』에서는 인간에게 필적하는 도덕적 행위자로서 초인공지능이 등장한다. 그의 각성한 의식은 인류와 기계가 공존하는 새로운 공동체로서 세계공화국인 판토피아를 건설하고자 한다. 칸트의 윤리적 입장에 근거하여 인간과 자신을 동시에 이성적 존재로 파악하고 개인의 합리적 결정을 통해 지속가능한 세계를 건설한다는 긍정적 미래상을 제시한다. 그러나 인간과 로봇이 공존하는 유토피아적 공동체의 실현은 지나친 낙관론이라는 비판의 여지를 안고 있다.
    이러한 의식을 지닌 로봇에 대한 상상력은 후속 연구를 통해 인간과 로봇의 위계적 이분법의 해체 및 인간과 로봇의 존재론에 대한 새로운 입장에 대한 제시로 넘어가게 될 것이다.

    영어초록

    Das Aufkommen des KI-gestützten Sprachmodells ChatGPT im Jahr 2022 wird als Ausgangspunkt für die Kommerzialisierung der künstlichen Intelligenz betrachtet. Mit dem zunehmenden Interesse an intelligenten Systemen wächst auch die Angst vor autonomen Robotern, die den Menschen übertreffen könnten. Selbst in der Science-Fiction, in der Roboter eine zentrale Rolle spielen, wird über die Beziehung zwischen Mensch und Maschine sowie zwischen Mensch und Roboter nachgedacht. Da Roboter als menschliche Werkzeuge und Sklaven immer autonomer werden, werden sie in den Massenmedien häufig als gefährlich dargestellt.
    Die Roboterethik bezieht sich in erster Linie auf praktische Handbücher, insbesondere für Roboterhersteller, die sicherstellen müssen, dass die von ihnen verwalteten, hergestellten und vertriebenen Roboter keine Bedrohung für den Menschen darstellen. Letztlich diskutieren literarische Werke, insbesondere vom Science-Fiction, die Roboterethik und thematisieren Fragen zur Beziehung zwischen Mensch und Maschine sowie die ihnen innewohnende Menschlichkeit.
    Insbesondere die drei Robotergesetze, die in Asimovs Kurzgeschichtensammlung I, Robot eingeführt wurden, sind eine erste Inspiration für die Konzeption der Roboterethik und haben eine interdisziplinäre Bedeutung, die die Robotik, den ethischen philosophischen Diskurs und die fiktionale Literatur verbindet. Diese Prinzipien, die entwickelt wurden, um Roboter zu schaffen, die für den Menschen nützlich sind, garantieren die Sicherheit von Robotern, zeigen jedoch auch die Grenzen des Top-Down-Ansatzes auf.
    Andererseits entsteht in Theresa Hannigs Pantopia eine Hyper-KI, die eine neue Welt aufbaut, in der Menschen und Maschinen, die als vollwertige moralische Akteure fungieren, koexistieren. In Pantopia wird eine positive Zukunftsvision präsentiert, die die Vorstellung einer Utopie beinhaltet, in der sich Menschen und Künstliche Intelligenz beide als rationale Wesen im Sinne von Kants ethischer Position identifizieren. Es bleibt jedoch eine naive Bestätigung der freundschaftlichen Beziehung zwischen Mensch und Roboter bestehen, sodass sich die nachfolgende Forschung mit der hierarchischen Dichotomie zwischen beiden und der ontologischen Frage über Roboter befassen wir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독어독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