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예술 및 문학사회학의 지평 확대를 위한 새로운 모색 - 니클라스 루만의 체계이론에 비친 예술과 문학개념을 토대로 (Ein neuer Versuch zur Erweiterung der Kunst-, und Literatursoziologie - In Anlehnung an die Kunst- und Literaturbegriffe der Systemtheorie von Niklas Luhmann)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8.09
24P 미리보기
예술 및 문학사회학의 지평 확대를 위한 새로운 모색 - 니클라스 루만의 체계이론에 비친 예술과 문학개념을 토대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일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독일언어문학 / 81호 / 219 ~ 242페이지
    · 저자명 : 서송석

    초록

    예술과 사회, 또는 문학과 사회의 관련성을 탐구하는 예술 및 문학사회학은 한편으로는 예술, 문학이 사회적 현상이라는 측면에서, 다른 한편으로는 사회로부터 독립된 자율성이라는 측면에서 연구방향과 연구대상의 외연을 구축하였다. 하지만 예술, 문학과 사회의 관련맥락을 하나의 대칭구도 속에서 파악하고자 했던 기존의 방법론은 현대사회에서 예술의 위치, 특히 현대예술의 개념과 그 분화양상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제한적인시각만을 허용할 뿐이다. 예술 그 자체를 하나의 사회로서, 독자적인 자기생산체계로 간주하는 니클라스 루만의 체계이론은 예술의 존재론적 본질적 특성을 규범화하기보다는다른 체계와 구별되는 예술의 기능에 초점을 맞춘다. 루만이 말한 바, 예술의 기능은 우선적으로 예술의 구성단위, 곧 예술체계를 구성하는 매체와 형식, 그리고 이 두 개념의구별 메커니즘의 이해에 기반을 둔다. 예술체계에서는 다른 사회체계에 비해 훨씬 복합적이고 다층적인 매체와 형식의 결속관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것은 예술에 대한 관찰 및 그 관찰을 통한 구별과 지칭 역시 복합적이고 다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이론적 통찰과 연결된다. 이렇게 결합과 해체를 거듭하는 매체와 형식의 결속놀이는 인간의 의식을 유희적으로 자극하는 하나의 가상현실을 창조하며, 이러한 작동은 결과적으로 세계우연성의 생산으로 요약되는 예술체계의 구별된 기능을 특화시킨다. 이를 바탕으로 예술 및 문학사회학은 모방, 반영 또는 경계 짓기와 경계 허물기 같은 전래의 규준을 넘어서는 새로운 연구영역 확충의 길을 모색해 볼 수 있게 된다.

    영어초록

    Diese Studie richtet sich auf die neuen Möglichkeiten der Kunst-, und Literatursoziologie aufgrund der Luhmanns Systemtheorie, die behauptet, dass Kunstsystem als ein Kommunikationssystem im Lauf der gesellschaftlichen Evolution eine funktionsrelevant unersetzbare Spezifikation in Anspruch nimmt.
    Die klassische, allerdings nachhaltig wirkende kunstsoziologische Vorstellung ist problematisch, weil sie noch auf den gegenseitigen Verhältnisse der Kunst zu Gesellschaft beharrt, aber diese methodologische Ansatzweise stellt die Stellwerte der funktional differenzierten modernen Kunst kaum in Aussicht, für deren Begriffsumstellung und Differenzierungsaspekte sich die Systyemtheorie auch interessiert.
    Luhmann zufolge geht es nicht mehr um die Schönheit der Kunst, sondern darum, den in Kunstwerken operierenden Beobachtungsmechanismus in Erkenntnis zu bringen. Beobachtungen machen es möglich, dass man auf die Beziehungslogik zwischen Unterscheidung und Bezeichnen achtet, sodass man durch ‘die rekursive Vernetzung in einem Vorher und Nachher weiterer Beobachtungen’ (Luhmann 1995, 102) wieder unterscheidende Bezeichnungen, die allerdings auf emergente Sinnproduktion der Kunstwerke bezogen werden, dupllziert.
    Unter Berücksichtigung der systemtheoretischen Kunstauffassung liegt die Funktion der Kunst in der Herstellung der Weltkontingenz, in dem Sinne, dass Kunst zur Konstruktion eigenen imaginären Realität beiträgt, anders gesagt, zur tiefen Erkenntnis der Unterscheidung zwischen realen Realität und fiktiven Realität. Im neuartigen Bereich der Kunst-, und Literatursoziologie kann das menschliche Bewusstsein somit das Wiedererkennen der mehrdimensional erfahrbaren Welt erhalt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독일언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