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화에서 풍경, 그 기억의 전이에 관한 연구 - 안토니오니의 <붉은 사막(Il Deserto Rosso)>과 아피찻퐁의 <열대병(Tropical Malady)>을 중심으로 (A Research on the Landscape in the Films - A Study on the Landscape of and )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6.02
22P 미리보기
영화에서 풍경, 그 기억의 전이에 관한 연구 - 안토니오니의 &lt;붉은 사막(Il Deserto Rosso)&gt;과 아피찻퐁의 &lt;열대병(Tropical Malady)&g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상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영상학회논문집 / 14권 / 1호 / 5 ~ 26페이지
    · 저자명 : 서정아

    초록

    본 논문은 영화 속 유사한 풍경이미지들의 ‘이주’에는 어떤 사유가 내재하는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영화 속 풍경은 프레임 내에서 인물과 서사의 맥락에 따라 구성되어, 그 의미가 결정되었다. 그러나 영화사에서 풍경은 배경, 표현성, 감정의 생성으로 변화하면서 서사와 분리되어 비 재현적이 된다. 이러한 풍경이 잘 나타나는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의 <붉은 사막>과 아피찻퐁 위라세타쿤의 <열대병>을 분석하면서, 전자는 인간존재의 ‘불안’이란 상태를, 후자는 존재의 시원에 대한 사유를 가능하게 하는 ‘사유 공간’이라는 점이 드러난다. 비 재현적인 풍경이미지는 인간과 세계와의 관계에 대해 물음을 던지는 존재론적인 의미를 획득하게 된다. <붉은 사막>과 <열대병>의 풍경이미지들은 안토니오니의 풍경이 세계의 ‘나타남’으로, 아피찻퐁의 풍경은 ‘그저 있음’의 세계로 ‘이주’하면서 변형되어 나타난다. 그런데 이 풍경의 상이성에도 불구하고, 파편화되고 불연속적인 이미지들의 ‘이주’에 유사성이 있으며,그 근저에 어떤 기억이 자리하고 있는데, 그것은 ‘있음’에 대한 기억이다. 아비 바부르크(Aby Warburg)는 이를 ‘므네모진느(Mnemosyne)’ 즉, 인간문화에 대한 ‘무의식적인 기억’이라 불렀다. 바부르크에 따르면, 그리스시대와 르네상스시대 회화의 신체에 관한 유사한 이미지들은 파편적이고 비 연대기적이지만, 시간의 흐름에서 ‘살아남아(Nachleben)' ‘파토스의 형식(Pathosformel)’이 되어 인간문화의 기억의 흔적을 드러낸다. 바부르크의 ‘므네모진느’의 내재적인 ‘힘’이 기억을 불러들이는 역량인 것처럼, 풍경 역시 이미지 자체가 갖는 내재적인 ‘힘’ 으로 인해, ‘있음’에 대한 기억이 ‘살아남게’ 된다. 바부르크가 ‘므네모진느’를 통해 예술사에서 예술이미지가 인간에게 남긴 흔적에 대해 사유했다면, 영화사에서 풍경이미지는 영화가 끊임없이 세계에 대해 사유하는 사유-이미지를 밝히고자 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ttempts to illuminate the memories that underlie the 'migration' of similar landscape images in a movie. A landscape image is separated from the narrative and plays the role of a non-representative image. Two of the most outstanding examples of a landscape as a non-representative image are well represented in Antonioni's Il Deserto Rosso and Apichatpong Weerasethakul's Tropical Malady. Their landscape images seek to acquire ontological meaning and to ask questions about one’s relationship with the world,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in the form of image-thoughts. As image-thinking, the landscape in Il Deserto Rosso shows the anxiety of human space-relationships, expressing the world as 'appearance', while the landscape in Tropical Malady remind of viewer of the origin of human expression to see the world as 'as it is'. What memory does is to operate the 'migration' of images. Warburg defines memory using the Mnemosyne (unconscious memory). Similar images of the body in Greek and Renaissance paintings are fragments and non-chronological, surviving the interval of time. Like the Mnemosyne, landscape images from Il Deserto Rosso to Tropical Malady, with the 'migration', contain the memory of 'Being'. Like the Mnemosyne, the quest of 'Being' is an intrinsic 'force' with a landscape image itself. As the 'force' of the image in the history of art allows one to search for traces of human beings, the force of the landscape image in the film history reveals that the essence of the image appears as a thought proc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영상학회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