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나찌께따스 황금판자(sṛṅkā)의 메타포 분석 __『까따 우빠니샤드』에 나타난 죽음과 제식의 해석적 함의__ (Metaphoric Analysis of the Naciketās’ sṛṅkā(golden disc): The Hermeneutic Implications of the Death and the Ritual in the KU)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8.08
27P 미리보기
나찌께따스 황금판자(sṛṅkā)의 메타포 분석 __『까따 우빠니샤드』에 나타난 죽음과 제식의 해석적 함의__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철학 / 53호 / 5 ~ 31페이지
    · 저자명 : 김진영

    초록

    KU는 죽음의 신 야마(Yama)와 소년 나찌께따스(Naciketās)가 죽음에 관해 대화하는 ‘죽음’의 우빠니샤드다. 일명 나찌께따스 에피소드라고 부르는데, 여기서 다루는 죽음은 KU만의 독창적인 주제는 아니며 TB에서도 발견된다. 두 판본 모두 아버지에 의해 죽음을 경험한 어린 소년이 죽음의 신에게 하사받는 3가지 소원(vara)과 관련된 동일한 이야기 구조를 갖는다.
    야마는 하늘의 불 태양, 제식의 불 제화, 심장의 불 아뜨만이 결합하는 제식적 삼위일체의 비밀을 알려주면서 나찌께따스의 독창적인 제단을 허락한다. 나찌께따스에게 죽음의 본질적 문제는 TB판본에서는 재사(再死)로 나타나며, KU에서는 이를 초월하는 지식으로 전환된다. 이로써 베다에서의 죽음의 철학은 반복되는 죽음을 극복하고 영원한 해탈로 방향을 전개하게 된다.
    나찌께따스 제단의 건축에서 TB는 루끄마(rukma), KU는 스링까(sṛṅkā)를 사용하는데, 이를 통해 브라흐만과 아뜨만이라는 절대 개념을 표상하고 있다. 특히 KU만의 독창적인 용어인 스링까는 야마가 소년에게 선물한 황금판자로, 베다의 제식주의에서 지식주의로 전환되는 세계관을 상징하면서 우빠니샤드의 제식과 지식을 함축한 불멸의 메타포로 기능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영어초록

    Kaṭha-upaniṣad(KU) is famous for upanishad of death theme of Yama and Naciketas. But this episode is also found in TB. Both episodes consist of three wishes for a god that a young boy experiences death by his father. Yama allows Naciketas’s unique altar to reveal the mystery of the Trinity that the sun, fire altar, and Atman combine.
    In this paper, we try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concept of sṛṅkā, focusing on Bodewitz and Olivelle’s hermeneutical views,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Vedantic translation, which is the mainstream of Upanishad interpretation. This method of study is an analytical methodology to look at KU in the ideological context of the comprehensive Veda Samhita, Brahmana and Upanishad as a methodology of Vedic hermeneutics that interprets Upanishad as the final conclusion of Vedas. In this process, a gold necklace symbolizing wealth and prosperity, a round golden plate hanging on the neck of yajamana, and a spiritual identity of Naciketās as a golden disc buried under the foundation of the ritual(yajña, 祭式).
    However, as the wishes of re-death(punarmṛtyu, 再死) in TB and the knowledge of immortality(amṛta, 不滅) in KU emerge as a wish, the problem of death in Veda overcomes repeated deaths and leads to a philosophical direction with eternal liberation. The episode of Naciketas revealing this change is a golden disc called sṛṅkā, representing Atman and Brahman. KU’s unique term, sṛṅkā, shows that Yama’s golden disc presented to the boy implies ‘knowledge’(vidyā, 知識), functioning as a immortal metaphor symbolizing the transformation of Upanishad’s intellectualism in Veda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도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