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바리공주」와 「니샨샤먼」비교 연구: ‘여자’이면서 ‘샤먼’으로 사는 운명적 패러독스를 중심으로 (Princess Bari and Nishan Shaman Comparative Study: Focusing on the paradoxical perspective of their being a ‘woman’ and ‘shaman.’)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6.03
26P 미리보기
「바리공주」와 「니샨샤먼」비교 연구: ‘여자’이면서 ‘샤먼’으로 사는 운명적 패러독스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20권 / 1호 / 55 ~ 80페이지
    · 저자명 : 이정훈

    초록

    본고는 한중 여성신성담의 대표작인 「바리공주」와 「니샨샤먼」의 비교연구다. 니샨은 저승여행을 하여 죽은 영혼을 살려온 만주족의 샤먼이다. 바리공주는 딸로 태어나 비참한 삶을 살지만 순종과 자비심, 헌신을 통해 무조신으로 등극한 한국의 무당이다. 두 작품의 비교연구는 90년대부터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본고는 기존의 연구성과를 확장하여, 서사구조와 주제의식을 중심으로 두 작품의 상동성을 밝혀내고자 한다. 이와 같은 접근은 샤먼의 본풀이나 무조신화라는 전제로 두 작품을 파악했던 것보다는 고전적 보편성에 역점을 두고 심층적인 분석을 시도한 것이다.
    특히 본고에서는 두 작품의 미학이 발생하는 지점을 ‘여자’이면서 ‘샤먼’이라는 역설적 관점이라고 본다. 여기서 ‘여자’라는 설정은 사회적 관계이자 사적 관계망을 상징하는 것이며, ‘샤먼’은 사회적 직능 혹은 자아실현으로서의 직업세계를 대변하는 것이다. 「니샨샤먼」과 「바리공주」의 연관성은 ‘직관’적으로 포착되지만, 실제로 작품구조를 분석해보면 두 작품의 차이점이 역으로 부각되는 결과가 부각된다. 실제 「니샨샤먼」은 성인샤먼의 저승여행담이 주된 내용이지만, 「바리공주」는 딸이기 때문에 버려진 여자아이의 일대기다. 니샨이 주도적이고 자율적인 여자인 반면에, 바리공주는 순종적이며 헌신적인 일생을 살았다.
    이러한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필자는 서사구조와 주제의식을 중심으로 분석하면서 두 작품의 동일한 비극적 보편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니샨샤먼」은 샤먼으로서의 최고의 직능을 이루지만 저승에서 만난 남편을 구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우물에 갇혀 죽고, 「바리공주」역시 아버지를 위한 결혼을 감행하며 아버지를 살리지만, 이승에서의 영화를 거부한다. 필자는 이점에서 두 작품이 여자로 태어나 이생(이승)의 규칙에 편입하기 위해 치러야 할 대가를 다루고 있다고 본다. 즉 여자의 의무와 샤먼으로서의 삶은 역설적 모순관계로 연결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은 현재에도 유효한 여성들의 딜레마이다. 이 역설적 모순은 두 작품의 고전적이며 보편적인 미학을 형성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compares Princess Bari with Nishan Shaman, two representative female mythical stories of Korea and China. Nishan was a shaman of Manchuria, who traveled the other world and saved ghosts. Princess Bari is a Korean shaman who was born as a baby girl, lived a miserable life, but acceded to the Shaman Ancestor Goddess through obedience, mercy and devotion. Studies of comparison of the two works have continued since the 1990s. This study extends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and attempts to reveal the homogeneity between the two works, focusing on narrative structure and thematic consciousness. This approach is an attempt of an in-depth analysis with a focus on classical universality rather than understanding under the presumption that the two works are an oral mythic epic of a shaman or a shaman ancestor myth.
    Especially, this study notes that the point where aesthetics of the two works is produced is the paradoxical perspective of their being a ‘woman’ and ‘shaman.’ Here, the setting of being a ‘woman’ symbolizes a social relationship and private network while a ‘shaman’ represents a social function or the vocational world as self-realiz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Nishan Shaman and Princess Bari is ‘intuitively’ captured, but concrete studies of the actual works result in bringing into relie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works, reversely. Actually, Nishan is mainly involved with a story of an adult shaman’s travel in the other world, but Princess Bari is a story of a girl who was abandoned because of her being a girl. While Nishan is an active and autonomous woman, Princess Bari lived an obedient and devoted life.
    In spite of these differences, this study notes that the two works obtain the same tragic universality when they are analyzed, focusing on their narrative structure and thematic consciousness. Nishan Shaman reaches her peak as a shaman, but is locked in a well and dies because she did not save her husband that she saw in the other world, and Princess Bari, too, saves her father by getting married for him, but refuses prosperity in this world. In this sense, the two works deal with the cost women should pay in order to assimilate into the rules of this life, born as a woman. In other words, woman’s duties and life as a shaman connect to each other as a paradoxical contradictory relationship. Also, this circumstance is a woman’s dilemma, which still subsists in the present. In addition, this constitutes a classical and universal aesthetics of the two wor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이론과 비평”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