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시습의 『매월당집(梅月堂集)』 소재 비구니 관련 자료 고찰 - 자료 소개를 겸하여 (A Study on Materials Related to Buddhist Nuns Found in Kim Si-seup's Maewoldangjip - With an Introduction to the Materials -)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7 최종저작일 2024.11
49P 미리보기
김시습의 『매월당집(梅月堂集)』 소재 비구니 관련 자료 고찰 - 자료 소개를 겸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학연구 / 61호 / 445 ~ 493페이지
    · 저자명 : 차충환

    초록

    본고에서는 조선시대 김시습이 남긴 비구니 관련 자료 두 편, <정암도인시권서(正菴道人詩卷序)>와 <정암도인실적찬병인(定菴道人實蹟讚幷引)>의 내용과 가치를 고찰하였다. 이 두 편은 김시습이 1471년 봄에 서울에 올라갔을 때, 당시 정업원 주지였던 해민(海敏)을 만나 그의 부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정암도인시권서>는 『정암도인시권(正菴道人詩卷)』의 서문이고, <정암도인실적찬병인>은 『정암도인실적(定菴道人實蹟)』의 찬(讚)과 인(引)이다.
    <정암도인실적찬병인>의 ‘정암도인(定菴道人)’은 법명이 묘법(妙法)이고 자(字)가 정암(定菴)이며, 속성은 구씨(丘氏)이다. 그리고 생몰연대는 1374년〜1449년이다. 생전에 죽은 태종을 위해 설법을 하였고 의빈 권씨(懿嬪 權氏)를 비구니로 인도하였으며, 금강산을 유람하면서 불교시를 남기기도 했다.
    <정암도인시권서>의 ‘정암도인((正菴道人)’은 해민이다. 해민은 그동안 실록 자료를 통해 1463년경에 정업원 주지를 했고 1473년경에 죽었다는 것은 알려져 있었는데, <정암도인시권서>를 통해서 새로운 사실을 더 알게 되었다. 해민은 자가 정암(正菴)이고 태안(泰安) 이씨이다. 13세에 앞에서 언급한 구씨에게서 불법을 배웠으며, 1457년에는 세조의 명으로 복설된 정업원의 초대 주지가 되었다. 그 후 세조와 정희왕후 등 왕실 구성원들로부터 고명한 불법의 소유자로 극진한 예우를 받았다. 『정암도인시권』과 『정암도인실적』은 각각 해민과 구씨의 저술로 볼 수 있는바, 학식이 높고 수행의 정도가 깊을 경우, 이처럼 비구니도 저술을 편찬했음을 알 수 있었다.
    조선 전기 비구니와 정업원 주지에 대한 정보는 실록 자료가 거의 전부라고 할 수 있고, 그것도 대부분 단편적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김시습이 남긴 상기 두 편의 자료는 조선 전기 비구니의 생애와 정업원 주지의 현황을 좀 더 심도 있게 이해하는 데 일정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후속 논의를 위해서 두 편 자료의 원전 영인본과 현대 활자화본, 그리고 국문 번역문을 부록으로 실었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we have examined the content and value of two pieces of literature related to Buddhist nuns written by Kim Si-seup during the Joseon Dynasty. Those two pieces are ‘Jeongamdoinsigweonseo’ and ‘Jeongamdoinsiljeokchanbyeongin’.
    These two works were written when Kim Si-seup traveled to Seoul in the spring of 1471 and met Haemin, who was the chief monk at Jeongeupwon at the time. Haemin requested Kim Si-seup to write them. ‘Jeongamdoinsigweonseo’ is the preface to Jeongamdoinsigweon, and ‘Jeongamdoinsiljeokchanbyeongin’ consists of the praise (‘chan’) and postscript ('in') of Jeongamdoinsiljeok.
    ‘Jeongamdoinsiljeokchanbyeongin’ refers to ‘Jeongamdoin’ whose Dharma name was Myobeop, courtesy name was Jeongam, and family name was Gu. His lifetime spanned from 1374 to 1449. In his life, he preached for the deceased King Taejong, led Lady Yi-bi Kwon to become a Buddhist nun, and composed Buddhist poetry while touring Mount Geumgang.
    In ‘Jeongamdoinsigweonseo', ‘Jeongamdoin' refers to Haemin. It was previously known through the records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at Haemin served as the chief monk of Jeongeupwon around 1463 and died around 1473. The recent study of ‘Jeongamdoinsigweonseo' has revealed new facts about him. Haemin, whose courtesy name is Jeongam, belonged to the Yi clan of Taean. He learned Buddhism at the age of 13 from the aforementioned Gu clan, and in 1457, by the order of King Sejo, he became the first chief monk of the restored Jeongeupwon. After that, he received great respect as a renowned possessor of Buddhist teachings from royal family members including King Sejo and Queen Jeonghui. Jeongamdoinsigwon and Jeongamdoinsiljeok are works that can be attributed to the authorship of Haemin and Gu, respectively. From such cases, it is evident that nuns, like monks, engaged in compiling writings when they possessed high levels of scholarship and deep commitment to practice.
    Information on nuns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the chief monk of Jeongeupwon is almost entirely derived from the Annals and is mostly fragmentary. In this context, the two aforementioned texts left by Kim Si-seup could contribute significantly to a mor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lives of early Joseon nuns and the status of the Jeongeupwon chief monk. For further discussion, the original manuscript facsimiles, modern typographic editions, and Korean translations of the two texts have been included in the appendix.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