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안과 연극성이 표현된 회화 연구 - 호크니의 작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Expressed Painting for Anxiety and Theatricality - Focused on David Hockney's Painting -)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7 최종저작일 2016.06
26P 미리보기
불안과 연극성이 표현된 회화 연구 - 호크니의 작품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서미술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미술문화학회 미술문화연구 / 8권 / 8호 / 199 ~ 224페이지
    · 저자명 : 정미정, 조기주

    초록

    본 연구는 불안이 일상의 구조와 연관되어 있음으로부터 시작하고자 한다. 불안에 대한 문제의식은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불안이 아직 일어나지 않은 막연한 망상, 허상과 같은 공포증이 아니라 일상의 현실로부터 그리고 타자와의 관계로부터 발생한다는 것에 주목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불안의 상황은 위기에 빠져있는 연극하는 자아를 작품을 통해 원상태로 되돌릴 수 있는 원동력을 제공한다는 점을 밝히고자 했다. 이는 하이데거가 일상의 평균성 안에서 불안을 감지하는 것이 곧, 본래적 자기를 찾을 수 있는 최적의 상태-빠져있음의 상황으로 언급한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또한 사르트르의 관점에서 불안이나 부끄러움은 타자의 시선 속에서 발견되는데, 나의 세계를 훔쳐가는 존재인 타자의 등장과 함께 불안을 감지하며, 이것이 나를 원상태로 되돌릴 수 있는 반성의 계기를 마련해 준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불안의 성격을 토대로 회화에서는 어떠한 방식으로 표현되는지와 불안과 연극성의 상관성을 연구했다. 이와 같은 특성과 함께 본 연구는 적극적인 현실 개입이라는 문제와 관련하여 자신의 존재를 잃지 않으면서 적극적으로 현실 안에 개입하거나 현실을 생성시키고 있는 작가 중 호크니의 작품세계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데이비드 호크니는 자신의 정체성과 관련한 불안을 작품으로 분석하듯이 현실을 묘사하고 있다는 점과 회화는 연극이라 언급하며 현실에 연출을 더하는 재현 방식과 함께 회화를 연극의 무대처럼 인식하는 구조를 제공했음을 알 수 있었다. 불안, 연극성과 호크니의 작품세계 연구는 현실의 결핍이나 불안이 작가에게 현실을 분석하고자하는 태도를 부여하며, 이는 이미지의 서사성이나 구상성으로 표현된다는 관련성을 찾아낼 수 있었고, 이러한 과정은 타자와 공존하는 일상에서 존재기분으로서 불안이 어떠한 예술적 표현방식으로 드러나는지 보여주었다. 이는 기분이나 감정에 대한 표현 방식에 관해 새로운 지향점을 보여주었으며, 앞으로 존재론적 불안, 즉 감정표현의 더 다양한 표현 방식의 연구에 의미가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starts from a hypothesis that anxiety is closely related to the structure of daily life. It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issue related to anxiety is not from fear caused by delusional thoughts or illusion that would not happen, but from daily life and the relation with others. Such state of anxiety could go back to normal through an artwork as it could be the momentum. This goes hand in hand with Heidegger's argument that sensing anxiety in daily life is the perfect condition to a search for one's self. Furthermore, in Sartre's view, anxiety and shame are discovered through others' eyes; the very presence of others, who takes away one's own world, leads to the state of anxiety. This gives one a chance to reflect oneself and provides momentum to go back to the non-anxiety state. Based on this characteristic of anxiety, this research looks at how the relation between anxiety and histrionics is expressed in paintings. In relation to the matter of intervention of reality, David Hockney's paintings are chosen for the research for they actively involve in reality or create one without losing identity. He illustrates reality as if he is analyzing his anxiety related to his identity. His comments that paintings are like theater are well depicted in his pieces where he adds dramatic aspects along with structure as if the frame of the painting is the performing stage. The study on anxiety and histrionics in Hockney's paintings enables to find a connection between deficiency and anxiety in reality; that anxiety inspired the painter to analyze the reality, which in turn made him express images in narrativity and concreteness. The study also shows that how anxiety as one of the emotions of daily life could be expressed artistically. Overall, the study suggests the new directional point in terms of expressing emotions or feelings in the perspective of art and has the potential to contribute diversified expressive methods of emotions, such as existential anx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미술문화학회 미술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