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 한국 비구니의 禪修行 문화와 선맥 전승 연구 (A study of the Seon practice Culture and transmission of the Seon’s Lineage(SeonMac) of bhikkhuni in modern Korea)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7 최종저작일 2020.06
46P 미리보기
근대 한국 비구니의 禪修行 문화와 선맥 전승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 수록지 정보 : 禪文化硏究 / 28호 / 209 ~ 254페이지
    · 저자명 : 임홍경, 홍상욱

    초록

    근대 한국 비구니는 교단의 구성원으로서의 숫자나 역할이 비구에 비해 아주 미약한 수준이었다. 조선후기에 이르러서 지방의 비구 고승이 수행하는 산중에 딸린 암자를 중심으로 비구니들의 수가 차츰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비구니 수행도량이 점차 늘어나면서 비구니교단의 수행가풍과 수행환경이 점차 체계를 갖추기 시작했다.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비구니의 역할이 교육, 도량불사, 포교, 복지 등 여러 분야에서 크게 확대되어 가는데도 불구하고 종단내에서 비구니에 대한 제대로 된 평가나 대우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근대 비구니의 禪修行과 선문화를 살펴봄으로써 대한불교 조계종의 비구니 수행자로서의 정체성 확립과 종단에 대한 비구니의 역할과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개화기 이후 일본불교가 조선에 밀려들어오는 가운데서도 한국 선불교는 중흥을 맞이하였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한국불교의 전통이 왜색화 되어 가는 경향은 계속 되었다. 급기야 만공스님을 비롯한 당대의 고승들을 중심으로 교단의 정통성을 지키고자 하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1921년 선학원이 설립되자 선학원은 불교 전통을 지키는 중심지가 되었다. 특히 당시 비구니들도 이러한 수행전통을 따랐으며 그 가운데 일부의 비구니들은 선학원의 안거에 함께 수선(修禪)하거나 불교전통 수호 운동에 동참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비구니 대중이 모여서 수행하는 도량이 차츰 설립되었는데 대표적인 비구니 암자로는 해인사의 비구니암자, 수덕사의 견성암, 월정사의 지장암, 대승사의 윤필암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비구니들은 수선안거의 전통과 가풍을 형성하면서 다수의 비구니가 비구 선지식에게 인가를 받음으로써 비구니도 선맥을 전승하기에 이르렀다.
    앞으로 비구니들은 선대 비구니의 수행가풍과 전승을 통해서 신심과 지혜를얻고, 다양하게 변화하는 시대를 살아가는 비구니로서 정체성 재확립이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더욱 수행 원력을 굳건히 하여 현시대에 적합한 수행정진의 모습을 보여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Modern Korean Bhikkhunis (Buddhist nun) were infinitesimal in their number and role as members of the Buddhist denomination. By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the number of Bhikkhunis gradually increased, which based on hermitages in the mountains developed by Bhikkhu monks in the provinces. As a result, the performance of the bhikkhuni gradually increased, and the practice asceticism style and training execution environment were established. However proper evaluation or treatment of Bhikkhunis had not been conducted within Buddhist organization even though their roles had been gradual expended in various fields such as education, Buddhist monks, missionary work, and welfare. Thus, this study considered Seon practice and its culture,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bhikkhuni as member of the Jogye Order of Korean modern Buddhism and explored its role and progression in forward.
    While Japanese Buddhism was flooding into Joseon after the enlightenment period, Korean Seon Buddhism has been great revival. However, there were tendency some part of Korean Buddhist tradition has become similar to Japanese Buddhism. So Mangong and other ancient monks arose the movement in order to protect the legitimacy of the Korean Buddhism, and Seonhakwon was established in 1921, which became center of Buddhist tradition in present.
    In this background history, Bhikkhunis were also participated in this movement for Buddhist tradition. Under the guidance of a monk, the Seon training environement for Bhikkhunis has been developed and transmission of the SeonMac. Hermitages of Haeinsa Temple, Kyunseongam of Sudeoksa Temple, Jijangam of Woljeongsa Temple, and Yunpilam of Daeseungsa Temple are representative Bhikkuni sailors who are well equipped with the conditions of Seon Practice.
    In era of diverse changing, it is hoped that Bhikkuni re-establish their identity, and need to get faith and wisdom through the training from the predecessors.
    Based on this, they will strengthen for their practice and have progress in various aspects in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文化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