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뮤지컬 공연을 위한 프로시니엄 형식의 무대공간 구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scenium Type Stage Space Composition for Musical Performance)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7 최종저작일 2016.10
13P 미리보기
뮤지컬 공연을 위한 프로시니엄 형식의 무대공간 구성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5권 / 5호 / 42 ~ 54페이지
    · 저자명 : 전용석

    초록

    본 연구는 뮤지컬 전용 공연장의 무대공간 계획에 있어서 무대시설 사용자와 관련 업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기초자료 구축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서 무대공간 및 시설을 분야별 감독들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 별로 요구되거나 유의하여야 하는 사항들을 문헌과 인터뷰를 통해서 수합 및 정리하였다. 이와 함께 공연장 18곳의 무대공간 실측을 통한 현황자료를 가지고 종합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최근 뮤지컬 연출의 화려함과 속도감을 기대하는 관객의 기대를 충족시키고 공연장마다 차이가 나는 하부무대 전환시설에 의존하지 않기 위해서, 제작사가 자체 제작한 쇼데크를 설치 및 사용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기존의 하부무대 전환장치는 불필요하며, 그보다는 주무대 전체를 트랩으로 설치해서 보다 자유롭게 주무대와 하부 공간을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쪽이 선호된다. 반면에 상부무대 전환시설은 대관한 공연장의 시설에 의존하게 되므로, 다양한 연출 의도에 부합할 수 있도록 장치봉의 개수, 간격, 허용하중, 가능속도 등에 대한 확보가 필요하다.
    구동부실에 할애되어야 하는 공간은 면적, 높이, 위치 모두 신중하게 결정되어야 한다. 상부무대에 설치되는 장치봉의 수와 간격에 따라서 구동기계의 개수 및 배치방법에 따른 실의 면적이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되며, 구동부실의 바닥과 그리드간의 레벨차는 실의 용적과 관련을 가진다.
    무대세트가 대형화되고 복잡해지면서 그리드에서 행해져야 하는 작업들이 증가하고 있다. 그리드를 구성하는 철골구조의 강성은 물론이고 바닥 역할을 하는 그레이팅의 허용하중에 있어서 1,000kg/m2 이상이 요구되는 추세이다. 체인모터나 포인트 호이스트 등의 자유로운 배치가 가능한 환경이 요구되므로 그레이팅의 허용하중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한다.
    음향 및 조명 관련 작업은 뮤지컬의 특성상 FOH에서의 작업에 무게가 더 실리는 추세이다. 관객들과 동일한 환경에서 음향과 조명을 듣고 보며 작업하는 것이 선호되고 있다. 특히 투어공연팀이 사용하기 수월하도록 FOH는 콘솔 등의 설치가 용이한 규모에 효율적으로 구축된 관련 인프라를 제공해야 한다.
    1층 갤러리는 투어팀의 무대조명 설치시 전원공급 및 관련장비 설치에 사용되며, 장치봉과 무대세트 및 막들의 체결상태를 점검하는 장소이고 필요에 따라 장치봉 또는 무대 세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평하중을 견디어내야 하는 설비이다. 이를 위해서 충분한 유효폭 확보 및 고강도 난간구조 계획이 요구된다.
    끝으로 장비반입구의 경우 계획 초기에 공연장 배치단계에서부터 반드시 유의해야 한다. 우선적으로 무대와 장비반입구가 동일한 레벨에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승강기를 이용해야 하는 경우, 특히 길이가 긴 장비 또는 무대세트 등의 운반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추가로 화물차의 진출입 시 높이제한이 없도록 구성하고 충분한 회차공간을 갖추어서 원활한 차량 순환이 가능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reference for stage planning by analyzing current state of major theaters' stage space and understanding feedback from directors belonged to theaters. Each room in total 18 theaters' stage facilities was measured and their usage and requirements were analyzed on the spot. In addition, each director provided their experiential knowledge about appropriate stage composition for musical performance. The findings are as follow: under stage machinery is not needed for musical. Tour teams prefer to use their own show-deck for set conversion. On the other hand, over stage flying system needs to be able to deal with dense, fast, and accurate scene change.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motor room needs to be carefully considered. The number of set battens is directly linked up with the size of the motor room, which should be located lower than the gridiron. As stage sets get bigger and complicated, the number of works at the gridiron is also increasing. The grating floor has to have enough strength coping with machines lifting heavy sets. Most sound control for musical performance is being done at F.O.H. these days rather that in the sound control room. It should equip enough work area and related infra especially for tour teams. 1st gallery needs to have enough effective width, power infra for lighting fixture, and strong guardrail. Lastly, the whole process of parking-unloading-transporting equipments and sets from loading dock to stage and vice versa needs to be efficient, and this has to be carefully considered from early stage of plan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