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뮤지컬의상과 영화의상의 표현방식 연구-‘스위니 토드’를 사례로- (A Study on Expression Method of Musical Costume and Movie Costume -Case by ‘Sweeney Todd’-)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7 최종저작일 2018.06
15P 미리보기
뮤지컬의상과 영화의상의 표현방식 연구-‘스위니 토드’를 사례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4권 / 2호 / 215 ~ 229페이지
    · 저자명 : 노은영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희곡이나 소설에서 출발하여 뮤지컬, 연극 등의 무대공연용 예술로 재가공되고 영화 같은 영상상영용 예술로 재가공되는 작품의 의상을 비교하여 뮤지컬의상과 영화의상의 디자인 표현방식의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국내에서 공연및 상영된 ‘스위니 토드’의 주요 등장인물들의 뮤지컬의상과 영화의상이다. 연구의 범위는 두 장르에 등장하는 동일 인물들 중 주요 배역들로 한정하였다. 연구방법은 고찰과 사례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 요소 중 형태와 소재에 비해 색상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형태는 아이템과 실루엣에서유사하게 표현되었고, 소재는 영화의상이 뮤지컬의상보다 고급 소재를 많이 사용하였으며, 색상은 뮤지컬의상이 영화의상보다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둘째, 두 장르 모두 역사적 고증에 기초한 시대의상으로 디자인되었다. 뮤지컬의상은 완벽한 재현이 아닌당대를 극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영화의상은 대체로 정확하게 고증되어 디자인되었으며경우에 따라 현대적 해석도 가미되었다.
    셋째, 뮤지컬의상은 인물의 캐릭터를 표현하기 위해주로 색상의 차이와 변화를 이용하였고, 영화의상은 아이템, 실루엣, 소재의 사실적인 표현 방법을 이용하였다.
    넷째, 뮤지컬에서는 연출가의 개성보다 무대상영이라는 공연의 특성이 부각되었고, 영화에서는 감독의개성이 영화 전체에 영향을 주었으며, 이는 의상의 표현에도 드러났다.
    다섯째, 뮤지컬은 공연의 원활한 진행과 배우의 움직임 및 안전을 위해 최소한의 의상을 사용하여 퀵체인지의 수를 줄인다. 이를 위해 시대 고증보다는 공연에 적합한 의상디자인을 추구한 것으로 보인다. 영화는 카메라의 근접 촬영을 통해 사실적인 촬영이 가능하므로 의상디자인 제약이 적고 장면에 어울리는 의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시대 고증을 통해 재현된 다양한 의상디자인이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종합하면, 뮤지컬의상과 영화의상은 시대적 배경과공간적 배경을 표현하고 등장인물들 각각의 캐릭터를표현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시각적 요소이자 이야기를이끌어가는 비언어적 도구이다. 장르별로 의상을 표현하는 방법에 차이가 있으며, 표현양식에 따라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표현 특징에 차이가 있다.
    장르별 의상디자인 기획 및 제작 과정에 대한 부분을다루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관련 분야의 의상디자이너 전공자 및 실무자의 교육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characteristic of a design expression mode of musical costume and movie costume by comparing the costume of works which are reprocessed as the art for a stage performance like musicals and theatricals, etc., and the art for an imagery performance like a movie starting from a drama, or a novel. The study subjects include the musical costume and movie costume of the main characters of ‘Sweeney Todd’ which has been performed and screened in Korea. The range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main cast members among the same characters appeared in both genres. Consideration and case analysis were used as the methods for this study.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efinite difference in color in comparison with forms and materials among design elements. Also, this study result showed that a form was expressed similarly in items and silhouettes while fine quality materials were more used in movie costume than in musical costume; in addition, color was used more diversely in musical costume than in movie costume.
    Second, both of the two genres were designed as period costume based on historical research. Musical costume was created by the method which makes it possible to express the time dramatically other than a flawless reproduction. Movie costume was designed through accurate historical research on the whole, and in some cases, modern interpretation was also added to movie costume.
    Third, musical costume used mainly the difference and variations of color to express personalities of characters while movie costume used a graphical expression technique of items, silhouette and materials.
    Fourth, in musicals,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stage showing were highlighted rather than a director’s personality, and in movies, a director’s personality had an influence on the whole of a movie, which was exposed even in the expression of costume.
    Fifth, musicals were found to reduce the number of quick changes using the minimum costume for the sake of smooth progress of a performance, actors and actresses’ movements and safety. It seems that a musical might pursue costume design suited for a performance rather than background research to meet its purpose. In contrast, it’s possible for a movie to do realistic filming through the close-up of a camera, so there are fewer restrictions on costume design, and the costume fit for a scene is available. Accordingly, it seems that diverse costume designs, which are reproduced through background research, are feasible for its purpose.
    Putting the above things together, musical costume and movie costume are important visual elements for expressing time setting, and spatial background as well as respective personalities of characters, and also non-verbal tools leading a narrative. There is the difference in the method of costume expression by genre, and also in expression characteristics which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according to an expression mod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30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