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동기 자녀를 둔 기독교인 아버지의 아동기 아버지와의 관계경험이 부모역할지능에 미치는 영향 - 종교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Christian Father’s Childhood Experiences and Parental Intelligence: The Mediating Effects of Religious Well - Being)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7 최종저작일 2016.06
23P 미리보기
아동기 자녀를 둔 기독교인 아버지의 아동기 아버지와의 관계경험이 부모역할지능에 미치는 영향 - 종교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기독교학문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신앙과 학문 / 21권 / 2호 / 125 ~ 147페이지
    · 저자명 : 배은주

    초록

    본 연구는 아동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아동기 아버지와의 관계경험과 부모역할지능 및 종교적 안녕감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을 갖는다. 특히, 아버지의 아동기 아버지와의 관계경험이 부모역할지능에 미치는 영향에서 종교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며, 교회에 등록하여 정기적으로 예배에 출석하고 있는 기독교인으로서, 아동기 자녀를 키우고 있는 아버지 202명이었다. 설문조사를 위해 연구대상자에게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는 아버지와의 관계경험을 측정하기 위해 Epstein(1983)이 개발한 부모-또래척도를 김정주(2009)가 타당화한 것을 사용하였다. 부모역할지능은 현미숙(2004)이 개발한 것이며, 종교적 안녕감은 Paloutzian과 Ellison(1982)의 영적 안녕감 척도를 이진화(2012)가 타당화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SPSS 22.0,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신뢰도,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에 대해 간접효과 및 직접효과에 대한 유의확률을 구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ing)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아동기 아버지와의 관계경험에 따라 부모역할지능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아동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아동기 아버지와의 관계경험에 따라 종교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아동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종교적 안녕감에 따라 부모역할지능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아버지와의 관계경험이 부모역할지능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접효과의 경우에 =-.008로 아버지와의 관계경험과 부모역할지능의 관계가 없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간접효과를 살펴보면, .179로 나타나, 유의수준 p<.01수준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아버지의 아동기 아버지와의 관계경험이 부모역할지능에 미치는 영향에서 종교적 안녕감은 완전매개효과를 갖는다. 이러한 결과는 아버지의 종교적 안녕감이 부모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증명한 것이며, 아버지가 자녀를 독립적인 존재로 양육하고, 자녀에게 수용적인 양육태도를 보일수록 자녀의 종교적 안녕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뜻한다.
    본 연구는 기독교(목회)상담, 청소년상담 및 가족상담과 개연성을 갖고 아버지-자녀 관계 및 기독교신앙과의 연관성을 구조적으로 탐색하여 그 모형에 대한 이론적 기틀을 마련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관련 주제를 바탕으로 이에 대한 이론 연구 및 적용적 연구를 수행할 기독교(목회)상담학 분야에 학문적 자극을 주고, 향후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childhood relational experience with the father of the children’s father, parental intelligence, and religious well-being.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religious well-being in the influences that a father’s childhood relational experience with his father had on parental intelligence. The subjects of the study included 202 fathers who liv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raised children as registered as Christians and attended church services regularly. The survey was conducted by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targeting the subjects. The Mother-Father-Peer Scale(MFPS) developed by Epstein(1983) to measure the relational experience with the father validated by Kim Jeong-Ju(2009) was used as the measurement tool. Furthermore, we used Parental Intelligence Scale by Hyun Mi-Sook(2004) and Spiritual Well-being Scale by Paloutzian & Ellison validated by Lee Jin-Hwa(2012) to measure religious well-being.
    In order to verif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 analyzed the frequency, percentage, reliability, and factor-analysis using SPSS 22.0 and AMOS 22.0 programs, and conducted Bootstrapping to estimate the p-values of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the mediating effect. The outcom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al intelligence according to father’s childhood relational experience with his father was observed. Seco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ligious well-being according to the father’s childhood relational experience with his father was observed. Thir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al intelligence according to religious well-being of the father with children was observed. Fourth, in the case of direct effect in the influences father’s childhood relational experience with his father had on parental intelligence, it showed no relation between the father’s childhood relational experience and parental intelligence with =-.008. However, indirect effect was .179 showing significance of p<.01. Therefore, it is viewed that religious well-being has a full mediating effect in the influences father’s childhood relational experience with his father had on parental intelligence. This result proved that father’s religious well-being to be an influential factor on parenting indicating that fathers raised their children to be independent and had more receptive parenting attitude, it would have more positive effect on the religious well-being of their children.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 between father-child relationship and the Christian faith structurally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model with the relevance to Christian (pastoral) counseling, youth counseling, and family counseling. Finally, the results acquired through this study will be an academic impetus to Christian (pastoral) counseling area which will perform theoretical and applied researches based on related subjects presenting a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앙과 학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