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악치료교육이 정서지능과 사회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Korean Music Therapy Education on the Improve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ity)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7 최종저작일 2019.02
44P 미리보기
국악치료교육이 정서지능과 사회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악교육연구 / 13권 / 1호 / 95 ~ 138페이지
    · 저자명 : 우덕상, 손윤영, 남현우

    초록

    본 연구는 집단 국악치료 수업이 병행 가능 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과정안을 다양하게 재구성하여 국악치료교육이라는 새로운 장르의 수업모델을 제시하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2015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5~6학년군 생활화 영역 내용요소에 ‘음악과 건강’이 처음으로 도입되어 2019년부터 적용됨을 파악하고, 국악 요소를 활용한 국악치료교육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해 정서지능과 사회성증진 영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미리 알아보려 했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10여 년간의 음악치료와 국악치료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였고, 울산의 동대초등학교 5~6학년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정서지능 증진영역에서는 나의 노래 만들기, 국악과 글, 국악과 춤, 노래심리치료, 국악 긴장 이완법, 국악유희기법, 호흡유지 연장활동, 느린 장단, 부드러운 세기 등을 활용하여 정서지능 증진을 위한 국악치료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사회성 증진 영역에서는 집단 악기연주활동하기, 소리 모방 기법, 신체리듬 전달, 즉흥리듬연주법, 동작악기연주법, 치료난타, 구음으로 합주하기, 장단 릴레이로 장단 익히기 등을 활용하여 사회성 증진을 위한 국악치료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학교 음악정규 시간에 적용해봄으로써 수업 전과 수업 후에 달라진 정서지능과 사회성 증진 영역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이번 실험연구를 통하여 국악치료교육이 아동․청소년의 정서지능과 사회성 증진 영역에 매우 긍정적 치유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기대할 수 있었다.
    그동안 주로 음악교과 시간 외나 창의적 체험시간을 활용해 다문화가정, 특수아동, 중증 장애 등 소수의 특정 대상에게만 적용하여 진행하던 국악치료교육을 본 연구를 통하여 모든 일반학생에게도 평소 국악 수업에 적용해 진행할 수 있다는 것에 커다란 의의가 있으며, 국악치료교육으로 인성교육과 정서․심리 치료를 함께 할 수 있는 교육적․치료적 효과를 동시에 기대할 수 있다는 것에 그 의의가 크다 하겠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new classroom model of Korean music therapy education by reconstructing lesson plans of teaching-learning in various ways, thus employing group Korean music therapy classes in practice. The study recognized that 'music and health' was first introduced to the curricular elements in the domain of ‘music in daily life’ for 5th and 6th graders under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was applied to school practice from 2019. It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orean music therapy education on the improve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ity by developing teaching and learning lesson plans using traditional music elements. To this, previous studies related to music therapy and Korean music therapy for the past ten years were reviewed for analysis. The program for the study was designed targeting fifth and sixth graders of Dongdae elementary school in Ulsan.
    To improve ​​emotional intelligence, the teaching and learning plans developed for Korean music therapy included creating one’s own songs, Korean music and writing, Korean music and dance, vocal psychotherapy, Korean music and relaxation, Korean music and recreation, respiratory retention and deep breathing, slow tempo and softness in dynamics. To promote ​​sociality, the teaching and learning plans developed for Korean music therapy included playing a musical instrument in groups, imitating sounds, transferring physical rhythms, improvising rhythms, playing motion musical instruments, therapy Nanta, playing together in gueum, and learning jandan in jangdan relays.
    By applying the instructional measures above to regular music class, the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 in enhanc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bility before and after the lessons. Through this experimental study, it can be expected that Korean music therapy education can have a very positive therapeutic effect on enhanc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o be able to apply Korean music therapy education to all general students while it has been applied only to a few special subjects such as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with special needs,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typically during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or any other time but music class. It is also meaningful that Korean music therapy education can have educational and therapeutic effects at the same time that can allow character education and emotion-focused therapy and psychotherap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