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昌陵의 왕과 왕후 능의 위치 再考 (Reassessment of the Arrangement of the Royal Tombs at Changneu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7 최종저작일 2010.09
28P 미리보기
昌陵의 왕과 왕후 능의 위치 再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67권 / 267호 / 49 ~ 76페이지
    · 저자명 : 김이순

    초록

    西五陵에 위치한 昌陵은 조선 8대왕 睿宗(1450-1469)과 계비 安順王后(?-1498)의 능으로, 소위 ‘同原異岡陵’형식으로 조성되어 있다. 조선시대 왕릉에서 합장릉, 쌍릉, 동원이강릉 형식으로 조성될 경우에 ‘右上左下’의 원칙, 즉 ‘西上東下’ 원칙에 따라 서편에 왕의 능을, 동편에 왕후의 능을 조성하는 것이 원칙이었다. 이 원칙은 조선시대 내내 지켜졌고, 현재 서오릉에 위치한 德宗(1438-1457)과 昭惠王后(1437-1504)의 敬陵만이예외적으로 동쪽에 왕의 능이 위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고에서는 경릉과 비슷한 시기에 조성된 예종의 창릉 역시 이러한 규범을 따르지 않았음을 밝혔다. 그 근거로 석물의 조형적 특징, 문헌기록, 능 주변의지형 등을 분석하였다.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석물조각이다. 조선 왕릉 석물은 조성 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능 조성자의 의지에 따라 석물의 크기, 양식, 화강암의 품질 등이 결정되기 때문에 각각의 능에 조성되어 있는 석물은 서로 다르다. 게다가 우리나라 석물은 화강암으로 조성되어 쉽게 파손되지 않는 장점이 있을 뿐 아니라,조선시대에는 무덤을 신성시하는 전통이 있어 능의 조성 및 改修를 기록해 두었기 때문에 각 능의 역사 연구에 있어 기초 史料가 될 수 있다. 창릉과 같이 임진왜란 이전에 조성된 왕릉의 경우, 기록문헌이 분명하지않은 상황에서 석물은 능 조성의 先後나 陵主를 추정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창릉의 왕과 왕후 능의 조성 시기는 29년의 차이가 나기 때문에 석물조각 양식에 차이가 발생했다. 이러한 석물 양식의 차이를 근거로 조성시기의 先後를 밝혔는데, 덕종과 소혜왕후의 경릉 석물을 그 기준으로 삼았다. 덕종과 예종은 세조의 두 아들이었으며 조성 시기도 비슷할 뿐 아니라, 경릉의 왕과 왕후 능의조성연대가 47년이나 차이나기 때문이다. 또 예종 창릉과는 불과 1-2년 시차를 두고 조성된 세조 광릉과 세종 영릉의 석인상과도 비교했다. 요컨대, 예종 창릉의 석물은 덕종 경릉, 세조 광릉, 세종 영릉의 석물과 같은 유형이어야 하며, 안순왕후 창릉과 소혜왕후 경릉의 석물이 같은 유형이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문무석인, 석수, 장명등, 개체석의 섬돌, 고석 등 모든 석물을 분석할 결과를 보면, 예종릉으로 알려진 서쪽에 위치한 능의 석물이 소혜왕후의 석물과 같은 유형이고 조선 왕릉 석물의 양식 흐름에서 1500년 즈음에 나타나는 요소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것과 달리, 서쪽에 위치한 능이 안순왕후의 능일가능성이 매우 높다.
    현재 창릉의 왕과 왕후의 능 위치의 근거는 비문과 『창릉지』에 두고 있다. 하지만 이 내용은 지금까지알려진 것과 달리, 능이 조성 당시의 기록이 아니라 능이 조성된 지 250년이 지난 18세기 중엽의 기록으로서 능의 위치를 규명하는 자료가 될 수 없음을 밝혔다. 그 대신 『선조실록』에서 임진왜란 직후에는 창릉의왕과 왕후의 능의 위치를 지금과는 반대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있어 이 점을 논의했던 사실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창릉의 왕과 왕후의 능의 위치가 현재 알려져 있는 것과 다를 가능성과 함께, 조선 초기에는 ‘西上東下’ 원칙의 적용에 유연성이 있었음을 시사한다.
    앞으로 창릉 조성 당시의 기록문헌이 발견되거나 봉분 앞에 묻혔을 지석, 혹은 현재 위치로 옮기기 전에 원래 왕릉 앞에 건립되었던 정자각의 터나 神路의 발굴과 같은 실증적인 작업이 이루어진다면 문제는간단히 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실증적인 발굴 작업에 앞서, 본고에서는 석물의 양식분석에 의거한 미술사방법론으로 문헌사의 오류 여부를 검토하고, 아울러 조선 왕릉에서 석물의 미술사적 가치를 환기시키고자했다.

    영어초록

    Changneung, located within Seooreung, the graveyard park with five royal tombs, belongs to King Yejong (1450-1469), the 8th ruler of Joseon and his second wife, Queen Ansun (?-1498).
    The remains of the royal couple were buried inside separate mounds, in the so-called style of dongwon igangneung . In Joseon, royal spouses were buried, after their death, either in a couple tomb (hapjangneung ) or in two separate tombs. The two tombs may lie side-byside (ssangneung ) or be placed in a position known as dongwon igangneung . In the latter case, the king’s tomb is in the west side. Currently, the only royal graveyard in dongwon igangtnueng style that is known to be not in conformity with this rule are Gyeongneung,belonging to King Deokjong (1438-1457) and Queen Sohye (1437-1504), where the king’s tomb is placed east of the queen’s tomb which faces it from the west. Changneung, however,is another example in which the positions of the king’s and queen’s tombs are inverted.
    This paper explores possible reasons why the tombs of this royal couple were arranged opposite to their customary positions by examining tomb sculptures, surviving records and the landscape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rounding area. Special attention was paid to stone monuments placed around the two tombs. Stone monuments in a royal graveyard varied in size, style and type of granite used, depending on when a graveyard was constructed, who initiated its construction as well as many other circumstantial factors.
    In Changneung, the queen’s tomb was built in 1499, which was twenty-nine years after the king’s tomb was built in 1470, and their stone monuments are quite different in style. In Joseon’s royal graveyard, tomb sculptures tend to have the same style for both spouses’tombs,if they were built at the same time. In this paper, to determine the dates of the tomb sculptures of King Yejong and his queen, Ansun, I compared them with those in the graveyard of King Deokjong (1457) and Queen Sohye (1504). King Deokjong and King Yejong, two sons of King Sejo, died not long after one another, with the dates of construction of their tombs separated by slightly more than ten years. So was the case with the tombs of their spouses,Queen Sohye and Queen Ansun. Also compared were the tomb sculptures in Gwangneung belonging to King Sejo and those in Yeongneung belonging to King Sejong, as their dates of construction are separated by merely a year or two. Based on the well established tradition of Joseon’s royal house regarding tomb sculptures, it seems possible to assume that the tomb sculptures of Changneung were normally be in a style similar to those in Gyeongneung,Gwangneung and Yeongneung, belonging to King Deokjong, King Sejo and King Sejong respectively, and that those of Queen Ansun should be similar to those of Queen Sohye.
    This analysis, however, revealed that the stone monuments surrounding the tomb attributed to King Yejong were similar in style to those of Queen Sohye’s, rather than those of the three other kings’tombs. The stone monuments of these two tombs both showed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first observed around the year 1500. What this means is that the western tomb of Changneung, contrary to the current belief, may not be the tomb of King Yejong, but that of Queen Ansun.
    The eastern and western tombs of Changneung have been attributed respectively to King Yejong and his queen, based on the information provided in the inscription on the graveyard stele and Changneungji , a record detailing the circumstances of construction of this graveyard. In this paper, I explain how this record, dating from the mid-18th century and not from the 15th century when the graveyard was created, cannot be considered entirely reliable concerning the positions of the two tombs. More direct documentary or archaeological evidence such as a record dating from the time of construction of this graveyard or the jiseok , the stone tablet buried inside the mound should greatly facilitate the correct attribution of the two tombs. The discovery of the former site of the pavilion which used to stand in front of the king’s tomb, before it was relocated to its current place, or the sillo, the passage known as the spirit’s path associated with the graveyard, for example,could also shed light on the issue. At a time when such archaeological discoveries are yet to be made, and empirical evidence is still largely lacking, this paper tests the validity of some of the widely-accepted assumptions surrounding Changneung derived from documentary sources, by means of a stylistic analysis of tomb sculptures, or in other words, art historical approach. Underscoring the significance of Joseon royal tombs in Korean art history is another goal of this pap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