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찰스 스펄전과 레슬리 뉴비긴의 선교적 교회론의 통합과 그리스도의 삼중직으로 그리스도의 지상 위임을 실현하는 교회론 확립* (Integration of Missional Ecclesiology of Charles Spurgeon and Lesslie Newbigin and Establishment of Ecclesiology that Fulfills The Great Commission of Christ with the Threefold Office of Christ)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7 최종저작일 2023.09
49P 미리보기
찰스 스펄전과 레슬리 뉴비긴의 선교적 교회론의 통합과 그리스도의 삼중직으로 그리스도의 지상 위임을 실현하는 교회론 확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 수록지 정보 : 복음과 선교 / 63권 / 3호 / 129 ~ 177페이지
    · 저자명 : 이재윤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찰스 스펄전과 레슬리 뉴비긴의 교회론 연구를 통해 도출된 통합적 교회론을 교회와 성도가 삶 속에서 실질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그리스도의 삼중직(선지자, 제사장, 왕)을 사명으로 실행하여 그리스도의 지상 위임을 수행하는데 있다. 교회의 본질과 사명의 목적은 그리스도의 지상 위임을 실천하는 ‘선교’이고, ‘선교’는 교회와 그리스도인의 정체성이다. 이에 연구자는 교회론 개념 안에 선교적 교회론의 의미가 포괄적으로 내포되어 있음을 밝힌다.
    찰스 스펄전은 19세기 영국의 복음주의자로서 사역자를 양성하여 교회를 개척하고 사회 참여(장애인과 빈민들을 돌아보는 사역, 과부를 위한 사역, 고아원과 양로원 사역, 구제와 자선 사역)와 사회 정치 개혁(노예제도 반대, 제한된 선거권 확대, 보편적 교육권 보장), 그리고 교회 개혁(하강 논쟁, 침례교 연맹 개혁, 침례교 선교회 개혁) 등으로 교회론을 선교 사명으로 실천한 인물이다. 레슬리 뉴비긴은 20세기 영국의 비성서적 사상 이념으로 물들어버린 현실을 반영하여 복음으로 대화와 조합을 시도한 에큐메니칼 복음주의자이다. 본 논문은 두 인물의 교회론의 특징을 오늘날 교회에 접목하기 위해 ‘선교적 교회의 기준’을 정립하고, ‘선교적 교회와 그리스도의 삼중직’과의 관계성을 파악하여 그리스도의 삼중직의 교리를 다룬다. 또한 ‘그리스도의 삼중직을 수행하는 선교적 교회’의 모델을 제시하기 위해 ‘그리스도의 선지자직으로 본 선교적 교회’, ‘그리스도의 제사장직으로 본 선교적 교회’ 그리고 ‘그리스도의 왕직으로 본 선교적 교회’를 연구한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스펄전과 뉴비긴의 교회론을 토대로 그리스도의 삼중직을 성서적으로 실천하는 교회론을 9가지로 통합 정리하여 제시한다. 또한, 스펄전과 뉴비긴의 정신으로 뻗어 나온 복음주의 진영과 에큐메니칼 진영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극복하고자 ‘복음주의와 에큐메니칼의 대화를 통한 교회론의 진보’를 제언하고 ‘교회론의 균형적 실현을 위한 제언’을 제시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les Spurgeon and Lesslie Newbigin’s missional ecclesiology and to establish ecclesiology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threefold office of Jesus Christ(Prophet, Priest, and King). The purpose of the church’s essence and calling is to practice the great commission as missionary ministries, and the ‘mission’ is the identity of the church and believer. Accordingly, the researcher reveals that the meaning of missional ecclesiology is comprehensively included in the concept of biblical ecclesiology.
    Charles Spurgeon was a 19th-century British evangelical who practiced ecclesiology by training ministers to plant churches. He was also at the forefront of social reform (disabled, poor, widows, orphanage, nursing home ministry, relief, and charity ministry), political reform (abolition of slavery, expansion of limited voting rights, rights of education), and church reforms (Down-Grade Controversy, Baptist Union, the Baptist missionary society), etc.
    Lesslie Newbigin was an ecumenical evangelical who attempted dialogue and combination with the gospel, reflecting the reality that was tainted by non-biblical ideology in England in the 20th century.
    In order to apply their ecclesiology to the church today, this study establishes the ‘standards of missional church’ and ident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ssional church and the threefold office of Christ.’ In addition, in order to present a model of ‘the missional church that performs the threefold office of Christ,’ ‘the missional church viewed as the prophetic office of Christ,’ the missional church viewed as the priesthood of Christ,’ and ‘the missional church viewed as the kingly office of Christ.’ Based on this, the researcher integrates and presents the core of nine ecclesiology that practices the threefold office of Christ. In addi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conflict between the evangelical camp and the ecumenical camp influenced by Spurgeon and Newbigin, it proposes the ‘advancement of ecclesiology through dialogue between evangelical camp and ecumenical camp’ and ‘the balanced realization of ecclesi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