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페레스트로이카와 포스트소비에트 희곡의 뉴웨이브 - 전환기 러시아희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Perestroika and the New Wave of Post-Soviet Plays : With a focus on a new paradigm in Russian plays during the tumultuous time)

5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3 최종저작일 2021.12
52P 미리보기
페레스트로이카와 포스트소비에트 희곡의 뉴웨이브 - 전환기 러시아희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연극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연극학 / 1권 / 79호 / 297 ~ 348페이지
    · 저자명 : 전정옥

    초록

    포스트드라마 연극을 진화론적 관점에서 볼 수 없다는 레만의 의견은 포스트소비에트 연극을 설명하는 데도 필요하다. 희곡의 경우, 우리에게도 알려진 페트루쉡스카야(Л. Петрушевская : 1933~)의 희곡과 파벨 프랴시카(П. Пряжко, 1975~) 국립국어원의 외래어표기법에 따르면 П. Пряжко는 로마자 P. Pryazhko로 병기 가능하고 국어에 동화된 대로 ‘프랴즈코’로 적을 수 있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외래어표기법에서 허용하는바 러시아어 원음에 가깝게 ‘프랴시카’로 표기한다. 가령, В. Ерофеев(V. Yerofeyev)를 예로페예프가 아니라 예라폐예프로, В.Сорокин(V.Sorokin)을 소로킨이 아니라 사로킨으로 표기하는 식이다.
    나 이반 비리파예프(И. Вырыпаева. 1974~)의 희곡을 어떤 연속성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은 무의미하며, 불가능하다. 그러나 포스트소비에트 희곡이라는 범주 안에 구획 지을 수 있는 동시대 러시아희곡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양상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그것의 생성과 전개의 과정을 살필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페레스트로이카라는 정치 사회적 대전환기에 러시아연극의 새로운 ‘시작’을 마련하고자 했던 포스트소비에트 희곡의 출발 지점을 확인하고자 한다. 정치적 사회적 전제조건으로서의 페레스트로이카가 작동시킨 포스트소비에트 희곡의 뉴웨이브를 파악하고,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포스트소비에트 1세대 희곡이 정치적 사회적 변혁으로서의 페레스트로이카를 어떻게 수렴했는지를 목도하였다. 포스트소비에트 1세대 희곡을 2000년대 이후 등장한 포스트드라마적 연극과의 직접적인 연속선상에서 살필 수는 없지만, 이 작품들은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동시대 러시아희곡이 어떠한 방식으로 새로운 연극 개념을 선보여 갔고 또 인접 문화와 어떻게 융합되며 전통적 금기의 영역을 해체해 나갔는지를 살피는 과정에서 목도하는 첫 ‘장면’들이다. 역사의 순간마다 예술적 지향점을 상정하며 실험과 혁신을 지속시킬 수 있는 축적된 경험들을 물려준 그들 선배만큼은 아닐지라도 페레스트로이카를 전후로 전환기 러시아 희곡이 관습화된 연극의 전통을 극복하고 동시대 사회를 근심하며 다시금 희곡의 부활을 가져오고자 다양한 방법을 강구했다는 것은 포스트소비에트 연극사에서 주목해야 할 사실이다.

    영어초록

    Following the Russian Revolution in the early 20th century, another reformist movement that shed light on the issue of ‘a new beginning’ in modern Russian history was perestroika. Described as a “revolution without shots,” it was hardly a conventional sense of reform, but nonetheless fueled a widespread popular desire for a new start. If history was any guide, perestroika was about to bring a renaissance to Russian theater. After all, the first century of the history of modern theater had come to an end, and the expectation of a turning point was well founded. It has been well over a quarter century since perestroika. In retrospect of developments in post-Soviet theater, playwrights who, based on their self-reflection on Russian plays of the time, wished to reform theater by reforming plays took the lead in spreading the desire for a new beginning. The advent of new playwrights triggered new phenomena that could neither be defined by traditional standards nor explained with a director-driven approach, which had dominated Russian theater for the past 100 years.
    This paper examines a new paradigm in the first generation of post-Soviet Russian plays which was hoped to be a watershed in Russian theater before and after the restructuring of the Soviet system. The first generation of post-Soviet playwrights created new repertoire for Russian theater, emerging as the key driver of the development of post-Soviet plays. They not only honored the traditions of their predecessors, but also explored a new world of playwriting to differentiate their works from those from Soviet period. The sanctified authority of playwrights in the Soviet-era was enough to encourage introspection of the theater community, with a goal of charting a path through the uncertainties of post-Soviet society and building a new discourse in post-Soviet theater. The idea of reforming theater by reforming plays stemmed from the experience of older generations of theater professionals, and playwrights did not hesitate to take the lead in the development of post-Soviet theater. These are the foremost facts one should be aware of about the history of post-Soviet thea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연극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