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설화를 통한 외국인과의 소통과 치유 가능성 연구 -뉴질랜드 현지인을 대상으로-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and Healing among Foreigners through Korean Folktales)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3 최종저작일 2021.04
40P 미리보기
한국설화를 통한 외국인과의 소통과 치유 가능성 연구 -뉴질랜드 현지인을 대상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학치료연구 / 59권 / 183 ~ 222페이지
    · 저자명 : 송영림

    초록

    본 논문은 외국인들이 한국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하는 궁금증에서 비롯되어, 그들에게 한국설화를 알리고 그것에 대하여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한국설화에 특별한 관심을 보인 2명의 참여자와 부정적인 인식을 가졌던 1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소통과 공감 그리고 시 창작으로 치유의 가능성까지 타진해 보고자 하였다.
    총 43명의 참여자가 설문지에 답해 주었으며 그중 약 78%의 현지인들이 한국에 대하여 알지 못한다고 대답했다. 총 23개의 한국설화 중 <The Lazybones Who Turned into a Cow소가 된 게으름뱅이>와 <The Green Frog Who Never Listened to His Mom말 안 듣는 청개구리>를 가장 많이 선택하였고, 선택한 이유로는 제목이 흥미로웠다는 대답이 주를 이루었다. 외국인들이<Yeonorang and Saeonyeo연오랑과 세오녀>, <Kongji and Patji콩쥐 팥쥐>와 같은 한국적이고 낯선 제목에 관심을 보이지 않았던 점은 그들에게 한국설화를 소개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지점이다.
    <Cowherd and Weaver Girl견우와 직녀>에 대한 참여자A의 답변을 통해 그가 이별의 고통과 괴로움을 갖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으며, 그로 인하여 그와 가족을 잃은 데 대한 깊은 공감을 할 수 있었다. 참여자B와 관련해서는 처음 본인이 선택했던 설화가 아니라, <Halfy반쪽이>에 대하여 답한 것에 주목했다. 장애인 아들을 둔 그가 반쪽이의 엄마에게 자기서사를 투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그래서 장애인 아들을 독립시키기 위해 애쓰고 있는 그에게 위로와 힘을 줄 수 있었다. 참여자C는 한국설화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교통사고의 트라우마를 안고 사는 30대의 여성으로, 아직 부모로부터 정신적인 독립을 이루지 못하고 있었다. 그런데 설화를 통한 시 창작의 과정에서 내적인 힘과 서사적 가능성을 발견하게 되었으며, 그 결과 유의미한 치유적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한국설화의 원형성과 보편성, 공통의 가치관, 서사적 코드 등은 국적과 인종, 지역 등의 경계를 넘어 소통과 공감을 이끌어낼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설화와 창작시의 작품서사에 투사된 참여자의 자기서사를 통해 그들의 문제를 진단하여 치유의 가능성으로까지 나아갈 수 있었다.본 논문은 외국인들이 한국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하는 궁금증에서 비롯되어, 그들에게 한국설화를 알리고 그것에 대하여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한국설화에 특별한 관심을 보인 2명의 참여자와 부정적인 인식을 가졌던 1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소통과 공감 그리고 시 창작으로 치유의 가능성까지 타진해 보고자 하였다.
    총 43명의 참여자가 설문지에 답해 주었으며 그중 약 78%의 현지인들이 한국에 대하여 알지 못한다고 대답했다. 총 23개의 한국설화 중 <The Lazybones Who Turned into a Cow소가 된 게으름뱅이>와 <The Green Frog Who Never Listened to His Mom말 안 듣는 청개구리>를 가장 많이 선택하였고, 선택한 이유로는 제목이 흥미로웠다는 대답이 주를 이루었다. 외국인들이<Yeonorang and Saeonyeo연오랑과 세오녀>, <Kongji and Patji콩쥐 팥쥐>와 같은 한국적이고 낯선 제목에 관심을 보이지 않았던 점은 그들에게 한국설화를 소개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지점이다.
    <Cowherd and Weaver Girl견우와 직녀>에 대한 참여자A의 답변을 통해 그가 이별의 고통과 괴로움을 갖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으며, 그로 인하여 그와 가족을 잃은 데 대한 깊은 공감을 할 수 있었다. 참여자B와 관련해서는 처음 본인이 선택했던 설화가 아니라, <Halfy반쪽이>에 대하여 답한 것에 주목했다. 장애인 아들을 둔 그가 반쪽이의 엄마에게 자기서사를 투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그래서 장애인 아들을 독립시키기 위해 애쓰고 있는 그에게 위로와 힘을 줄 수 있었다. 참여자C는 한국설화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교통사고의 트라우마를 안고 사는 30대의 여성으로, 아직 부모로부터 정신적인 독립을 이루지 못하고 있었다. 그런데 설화를 통한 시 창작의 과정에서 내적인 힘과 서사적 가능성을 발견하게 되었으며, 그 결과 유의미한 치유적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한국설화의 원형성과 보편성, 공통의 가치관, 서사적 코드 등은 국적과 인종, 지역 등의 경계를 넘어 소통과 공감을 이끌어낼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설화와 창작시의 작품서사에 투사된 참여자의 자기서사를 통해 그들의 문제를 진단하여 치유의 가능성으로까지 나아갈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foreigners in New Zealand perceive Korea and how they view Korean folktales. In the process, we examined the intended communication, empathy, and possibility of healing through Korean folktales by creating poetry with two participants who showed special interest and a participant who had a negative perception of Korean folktales.
    Forty-three participants answered the questionnaire, 78% of whom indicated that they did not know about Korea. Among 23 Korean folktales, the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chose "The Lazybones Who Turned into a Cow" and "The Green Frog Who Never Listened to His Mom". The main reason for choosing these two folktales was that the titles were interesting. The foreigners were not interested in Korean or unfamiliar titles such as "Yeonorang and Saeonyeo" or "Kongji and Patji" as a point of reference when we introduced Korean folktales to them.
    The researcher sensed pain and suffering in the response of Participant A to "Cowherd and Weaver Girl". As a result, we could deeply sympathize with each other's loss of family members. Participant B gave answers on "Halfy", instead of the first tales she had chosen. Having a disabled son, she projected her narrative to Halfy's mother; thus, I was able to comfort and empower her as she worked to make her disabled son independent. Participant C was a woman in her 30s who had a negative perception of Korean folktales and lived with the trauma of traffic accidents. She had not yet become mentally independent from her parents. However, she found her inner strength and narrative potential in the process of creating poetry. The result was a significant healing transformation.
    In conclusion, the originality, universality, common values, and epic codes of Korean folktales enable communication and empathy across the borders of nationality, race, and coun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학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