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뉴잉글랜드 회중교회의 교회론 ‐ 『케임브리지 강령』(Cambridge Platform, 1648)의작성 배경과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 (Ecclesiology of the New England Congregational Church: Focusing on the background and content analysis of The Cambridge Platform(1648))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3 최종저작일 2022.09
34P 미리보기
뉴잉글랜드 회중교회의 교회론 ‐ 『케임브리지 강령』(Cambridge Platform, 1648)의작성 배경과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장신논단 / 54권 / 3호 / 37 ~ 70페이지
    · 저자명 : 이상조

    초록

    본 논문은 아메리카 식민지 뉴잉글랜드 회중교회의 교회 정치체제를 기술한 『케임브리지 강령』(The Cambridge Platform, 1648)에 나타난 회중교회의 교회론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케임브리지 강령』은 잉글랜드 장로파의 비판에 대한 응답으로 1648년에 작성되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매사추세츠의 종교 헌법으로 간주 되었다. 이 강령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에 나온 교리를 대부분 승인하면서도 뉴잉글랜드 에서 실행되고 있는 회중주의 교회 정치를 옹호한 공식 문서이다.
    『케임브리지 강령』은 서문과 17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존 코튼(John Cotton)이 쓴 서문은 뉴잉글랜드 교회에 대한 다양한 비판에 맞서고 그들의 정통 성을 옹호하고 있다. 17개의 장으로 구성된 『케임브리지 강령』은 회중교회가 장로 교회와 어떻게 다른지를 기술하면서 ‘회중들이 교회’요 ‘오직 회중들이 하나님과의 거룩한 언약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구성된 가시적인 교회’임을 천명하였다.
    이러한 『케임브리지 강령』은 법적 구속력 없이 단지 교회 정치체제에 대한 설명만을 목적으로 했지만, 곧 목사와 평신도 모두가 이를 매사추세츠의 종교 헌법으로 간주하여 교회와 교인의 권리를 보장하게 되었다.
    한국의 장로교회는 헌법과 신학은 장로교회의 모습을 지니고 있음에도 실제로 교회를 운영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지도자 중심의 교권주의와 개교회주의 모습을 띠고 있다. 이는 신학과 헌법은 장로교회의 틀을 유지하고 있으나 실제로 교회의 운영이나 정치 방식은 회중교회의 모습을 띠고 있기에 그러하다. 따라서 한국 장로교회의 모습을 보다 온전히 파악하기 위해서라도 미국 회중교회의 뿌리인 뉴잉글랜드 회중교회의 정치구조를 서술한 『케임브리지 강령』에 대한 연구는 충분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ecclesiology of the Congregational Church in The Cambridge Platform(1648), which describes the church political system of the Congregational Church in New England in the American colonies. The Cambridge Platform was written in 1648 in response to criticism from the Presbyterians of England, and over time was regarded as the religious constitution of Massachusetts.
    It is the official document of the Congregational Church politics practiced in New England, while approving most of the doctrines found in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The Cambridge Platform consists of an introduction and 17 chapters. The foreword by John Cotton counters various criticisms of the New England Church and defends their orthodoxy. The 17-chapter Cambridge Platform describes how the Congregational Church differs from the Presbyterian Church, declaring that “the congregations are the church” and that “only the congregations are visible churches formed by voluntary participation in the holy covenant with God.” Although this Cambridge Platform was for explanatory purposes only without being legally binding, it was soon regarded by both pastors and lay people as the religious constitution of Massachusetts, guaranteeing the rights of the church and its members.
    Although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has the appearance of a Presbyterian Church in its constitution and theology, it has a leader-centered ecclesiastical authority and local churchism in the way it actually runs the church. The theology and constitution maintain the framework of the Presbyterian Church, but in reality, the fundamental roots and process of establishment of the Church take the form of a Congregational Church.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appearance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more fully, the study of the Cambridge Platform, which describes the political structure of the New England Congregational Church, the root of the American Congregational Church, has sufficient signific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장신논단”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