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뉴미디어가 대중들의 서사적 사고를 추동하는 방식에 대한 서사교육적 탐색 (A Narrative Educational Inquiry into How New Media Drives the Public’s Narrative Thinking)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3 최종저작일 2024.10
24P 미리보기
뉴미디어가 대중들의 서사적 사고를 추동하는 방식에 대한 서사교육적 탐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초등국어교육 / 79호 / 247 ~ 270페이지
    · 저자명 : 김태호

    초록

    뉴미디어의 생산 주체가 허위 정보, 조작 정보를 의도적으로 전파하여 대중들을 선동 하고 경제적 이득을 취하는 세태가 만연하고 있다. 대표적인 뉴미디어 유튜브의 경우, 유튜브 저널리즘이란 용어가 생길 정도로 기성 언론의 역할을 대체하고 있지만, 실상을 들여다보면 허위⋅왜곡⋅과장 정보를 전시하여 대중들의 이목을 끌고 수익을 올리려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한강 대학생 사망 사건’을 두고 일부 유튜브 콘텐츠 생산자들이 어떻게 허위 정보를 전시하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신뢰할 수 없는 정보가 유포되 는 데에 서사적 사고의 작용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일부 유튜버들은 수용자들의 서사적 사고를 추동하여 사건을 그럴 듯하게 해석하도록 전시한다. 그리하여 근거가 없고 확인 되지 않은 정보도 ‘서사적 진실’처럼 오인하게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한 방안은 서사적 사고에 대한 메타적 인식 교육이다. 학습 자들에게 인간이 서사적 존재이고 서사적 사고를 기반으로 경험을 해석함을 교육하는 것이다. 그러면 학습자들은 특정 사건을 이해할 때, 그것이 객관적 사실이 아니라 개연 성 있는 가설적 추론임을 자각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뉴미디어 시대 유튜브의 비판적 읽기를 위해 서사적 사고에 대한 메타적 인식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영어초록

    The phenomenon of new media producers intentionally spreading misinformation and manipulated information to incite the public and gain economic benefits is becoming widespread. In the case of YouTube, a representative of new media, the term “YouTube journalism” has emerged, indicating that it is taking over the role of traditional media. However, upon closer examination, it reveals a strong tendency to display false, distorted, or exaggerated information to attract public attention and generate profits.
    This study analyzes how some YouTube content creators presented false information regarding the “death of a university student at the Han River.” The findings confirm the influence of narrative thinking in the dissemination of unreliable information. Some YouTubers stimulate the audience’s narrative thinking to interpret the event in a plausible manner, leading to unsubstantiated and unverified information being mistaken for “narrative truth.” One proposed solution to this issue is education on meta-awareness of narrative thinking. By educating learners that humans are narrative beings who interpret experiences based on narrative thinking, they can become aware that their understanding of specific events is not objective fact but a plausible hypothetical inference. Thus, this study discusses the need for meta-awareness of narrative thinking for a critical reading of YouTube in the new media e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초등국어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