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뉴미디어 영상 광고에서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위한 디자인씽킹 적용 광고 사례분석 (Case Study of Applying Design Thinking for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in New Media Video Advertisements)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3 최종저작일 2019.12
12P 미리보기
뉴미디어 영상 광고에서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위한 디자인씽킹 적용 광고 사례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5권 / 4호 / 519 ~ 530페이지
    · 저자명 : 조희경

    초록

    뉴 미디어 환경은 디지털 기술이 발전하는 현대사회에서 소비자들에게 더욱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는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의 특성상 소비자들은 과거의 일방적인 광고를 통한 소비 환경에서벗어나 능동적으로 참여를 할 수 있는 소비경험을 원하게 되었으며, 기업 또한 보다 다양한 경험을 제공할수 있는 광고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광고를 통한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으로 뉴 미디어 환경에서 활용가능한 디자인 씽킹 접근법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뉴 미디어 광고에서 디자인 씽킹 활용하여 전략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은 문헌중심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뉴미디어 환경, 뉴미디어 광고, 디자인 씽킹 접근법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디자인 씽킹 전략 요소로써 스토리텔링(Storytelling), 센스 메이킹(Sense making), 경험디자인(Experience design) 및 세부 요소를 도출하였다. 사례분석 시 뉴미디어 환경에서 현재 각광받고 있는 통합플랫폼의형태를 고려하여 이를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유튜브 채널에서의 광고를 선택하였으며 세부적으로는2019년 상반기 소비자에게 가장 많은 조회 수를 기록했던 광고인 동원참치 광고와 애플 에어팟(Apple Airpod)광고를 선택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사례는 마찰이 없는 형태로 소비자를 협력자로 인식하여 광고를 제공하고, 소비자에게 현실과의 연결을자연스럽게 이어줄 수 있는 센스 메이킹과 광고에서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와 현대의 문화적, 역사적 연속성을 반영하여 조화를 이루고 있었으며, 제품의 기능과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지를 일관적으로 유지하면서 광고를 제공하고 있다는 공통점을 알아볼 수 있었다. 그러나 동원참치는 온오프라인의 경계를 넘어서소비자가 능동적 참여가 가능한 스토리텔링을 제공하고 소비자와 다양한 상황적 인터렉션을 가능하게 해줄 수 있는 것에 비해 애플 광고는 이러한 점이 다소부족하고 차이점이 나타났다. 따라서 광고 조회 수 기준으로 분석 결과를 살펴보았을 때 2019년 국내 상반기 가장 높은 조회 수를 기록한 동원참치의 광고와같이 뉴미디어 환경에서 디자인 씽킹 접근법을 기반으로 한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의 경우 현대 소비사회의 문화와 환경을 적절하게 반영하고, 소비자의 능동적인 참여와 다차원적인 경험 제공이 성공 요인으로작용하는 것으로 보여 진다.

    영어초록

    The new media environment is changing from a modern society in which digital technology is developed to provide more diverse experiences to consumer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is environment, the consumers want to have a consumption experience that can actively participate away from the past. The companies also need advertisements that can provide various experiences. As an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through advertising, peopl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design thinking approaches that can be used in the new media environment. The research method examined the new media environment, new media advertisement, and design thinking approache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based on this, storytelling, sense making, experience design and detailed elements were derived as design thinking strategies. In this study, I selected advertisements on YouTube that actively reflects the form of integrated platform that is currently gaining popularity in the new media environment. And I compared and analyzed Dongwon Tuna ads and Apple Airpod ads(the top view ratings on the Youtube). As a result, the two ads have the common features of consumer as a collaborator in a frictionless form to provide advertisements, and the message to deliver in the sense making and advertisement that can naturally connect the consumers to the reality. Those two ads also reflected cultural and historical continuity of modern times. Moreover I could see the commonality of providing advertisements while maintaining the function and meaning of the product consistently.
    However, the Dongwon Tuna ads goes beyond the on-line and off-line, providing consumers with active participation in storytelling and enabling a variety of contextual interactions with consumers but not Apple ads have. Thus, when looking at the analysis results based on the view ratings of advertisements, and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based on the design thinking approach in the new media environment, such as Dongwon Tuna ads, which revived the highest number of views in the first half of 2019, is appropriate for the culture and environment of the modern consumer society. In this regard, the active participation of consumers and the provision of multi-dimentional experiences appear to be factors of succ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9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