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뉴미디어 공간에서 훌리거니즘(Hooliganism)의 양상과 정체성에 대한 경험적 고찰 (An Empirical Study on the Phenomena and Identity of Hooliganism in New Media Space)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3 최종저작일 2020.05
15P 미리보기
뉴미디어 공간에서 훌리거니즘(Hooliganism)의 양상과 정체성에 대한 경험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체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체육학회지 / 59권 / 3호 / 197 ~ 211페이지
    · 저자명 : 정영남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뉴미디어 공간에서 훌리거니즘 양상과 정체성을 경험적으로 검증하고 뉴미디어 훌리거니즘에 대한 사회적 관 심을 불러일으키며, 관련 연구와 정책 방안 구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2019년 3월부터 2019 년 8월까지 약 5개월 동안 단순무작위 방법(Simple random sampling)으로 온라인 커뮤니티(포털사이트나 대중매체 홈페이지, 구 단 홈페이지, 그리고 동호회 커뮤니티 등)를 이용하는 18세 이상 성인 962명을 대상으로 포털사이트에서 온라인 서베이(Online survey)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뉴미디어 공간에서 스포츠 팬의 훌리거니즘 실태 조사’ 설문지를 응답자가 자기평가기입법 (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작성 후 메일로 회신받았다. 956명 유효 표본에 대한 빈도분석, 교차분석 등을 시행하였다. 주 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자 대부분은 뉴미디어 공간에서 훌리거니즘을 목격한 것으로 나타났다. 뉴미 디어 공간에서 이용 중인 커뮤니티 유형과 연령에 따른 훌리거니즘 목격 경험과 상대 팀에 대한 폭력 행동 자극 및 조직화 연계 목격 경험 그리고 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10대와 20대의 연령대는 뉴미디어 공간에서 훌리거니즘을 목격한 경험 사례 수는 적지만 응답 비율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verify the hooliganism patterns and identity that appear in the New Media space. Through this, the government aims to raise social interest in new media hooliganism and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research of new media hooliganism and policy measures. To that end, for about five months from March 2019 to August 2019, a simple random sampling program is provided for 962 adults over the age of 18 who use online communities (such as portal sites or mass media websites, club websites, and club sites). The questionnaires ‘A Survey on the Hooliganism of Sports Fans in New Media Space’ were sent back by e-mail to the respondent using a self-assessment method. Frequency and Cross Analysis were conducted on 956 valid samples. It turns out that community users and people of all ages witnessed hooliganism in the new media space are very high. The experience of witnessing hooliganism has been shown to vary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type and age of the community being used in the New Media space.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xperience of seeing violent behavior stimuli and organizational links to the opposing teams, depending on the type and age of the community being used in the New Media space. Teens and 20s saw fewer cases of hooliganism in the new media space, but the rate of experience was very hig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체육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