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대 모뉴멘트 전시공간에 나타나는 밈 적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Memetic Expression in Modern Monument Space)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3 최종저작일 2018.10
12P 미리보기
현대 모뉴멘트 전시공간에 나타나는 밈 적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3권 / 5호 / 177 ~ 188페이지
    · 저자명 : 윤은경, 남선영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문화콘텐츠를 통해 융합 트렌드가 확산되면서 창조와 융합을 통한 새로운 형태의 문화산업이 탄생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로 현대 건축에서는 버려지고 잊혀져가는 건축물의 역사성과 상징적 가치를 재현하는 시도를 하며도시와 건축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밈(Meme)은 이러한 현상을 분석하는 대표적인 개념 중 하나이며, 이러한 문제점 극복하기 위해서는 밈(Meme)을 통한 새로운 문화적 접근과 건축의 재해석을 통해 기존 건축물을 현대 모뉴멘트 전시시설로 탈바꿈시켜 공간에 나타나는 밈(Meme)적 표현특성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이전과는 다른 방식의 공간적 접근이 필요하다고판단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모뉴멘트 공간의 잠재성이 드러나는 현대 메모리얼의 장소성을 대표하는 사례를 중심으로 10년이내의 해외사례를 대상으로 선정하고, 밈(Meme)의 특성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표현특성을 구분함으로써 밈(Meme)적의미와 요소를 도출하여 제안한 분석틀을 기준으로 대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도출된 표현특성 요소에 따라 공간을 구성하는 구축적·연출적 요소를 분석요소로 분류하여 밈(Meme)의 진화단계에 따라 표현특성과의 관계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미메시스는 장소성을 전시의 대상 및 주체로 치환하여 재해석하거나 장소의 상징성과 공간형성의 매개체적인 역할을 하는 건축공간으로분류하여 공간의 본질적 이해를 먼저 필요로 하는 단계로 정의하며, 구·신요소의 복제, 결합에 의해 복합성과 변이의 가능성을나타났다. 메타밈은 변이의 배경이자 주체로 요소와의 관계로 인해 지역·문화적 맥락으로 지속적인 진화가 이뤄지며, 확산적성향과 함께 사람과 공간이 소통하는 상호 관계적 특징을 띠며 공유성과 잠재성을 지닌 상징적 공간의 형태로 정의할 수 있는 공유공간으로 분류된다. 이는 밈(Meme)의 구조를 뒷받침하는 근거가 되었다고 판단된다. (결론) 이상의 연구를 통해 현대 모뉴멘트 공간과 같은 잠재적 의미와 상징성을 갖는 현대 메모리얼의 장소성을 대표하는 공간을 계획함에 있어 전시공간계획 시 밈(Mene)적 표현특성이 전시시나리오의 전개 및 공간연출의 표현요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공간과의 긴밀한 관계성과적용가능성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As the fusion trend spreads across cultural contents, a new type of cultural industry is being created through creation and fusion. These social changes have led to a new paradigm of city and architecture being presented by attempts to reproduce the history and symbolic value of buildings abandoned and forgotten in the face of modern architecture. Meme, a X,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concepts for analyzing this phenomenon. To overcome the related problems, there is a need for a new cultural approach through Meme, as well as a spatial approach different from previous on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Meme appearing in the spaces after the existing buildings were transformed into modern monument exhibition facilities, through a reinterpretation of architecture. (Method) This study selected overseas cases in the last 10 years, with a focus on those representing modern memorials, to reveal the potential of monument spaces. We then derived the meaning and elements of Meme and then classified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through the analysis of preceding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Meme. According to the derived expressive characteristics, we classified the constructive and directive elements that constitute space as the analysis elements, and then analyzed the relationship with expre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tage of evolution of Meme.
    (Results) We reinterpreted Mimesis by replacing the place with the object and subject of the exhibition or defining an essential understanding of space as a necessary step. First, we categorized it as an architectural space that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symbolism of place and space formation. Second, we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of complexity and variation by cloning and combining old and new elements. Meta meme is a background, subject to mutation and constantly evolving into a local and cultural context owing to its relationship with elements. It is classified as a shared space that can be defined as a form of symbolic space with mutual relations to the characteristics of people and space, and communicating diffusive tendency, sharing, and potential. It is judged to be the basis for supporting the structure of Meme. (Conclusions) In designing a space representing a place for modern memorials and with potential meaning and symbolism, such as a Modern Monument space, it is expected that Meme expressing the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space planning can be utilized as an expression element for the development of exhibition scenarios and space presentations. The study demonstrated the close relation between space and applicabi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