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의지의 자유: 조나단 에드워즈와 뉴잉글랜드 신학 비교 연구 (Freedom of the Will: Jonathan Edwards and New England Theology)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3 최종저작일 2024.10
31P 미리보기
의지의 자유: 조나단 에드워즈와 뉴잉글랜드 신학 비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성경과 신학 / 112권 / 45 ~ 75페이지
    · 저자명 : 전희준

    초록

    조나단 에드워즈의 후예들은 전통적 칼빈주의와 구별되는 뉴잉글랜드 학파를 형성하고 미국 교회사에 큰 영향을 끼쳤다. 학자들은 뉴잉글랜드 신학의 중요한 특징들이 에드워즈의 『의지의 자유』에서 파생되었다고 평가한다. 본 논문은 먼저 에드워즈가 제안한 의지의 자유에 대한 견해를 살펴보고, 뉴잉글랜드 신학에 대해 소개한다. 뉴잉글랜드 학파는 자신들이 에드워즈주의 자라고 주장했지만 다른 이들은 그들이 에드워즈의 신학을 계승했다는 사실에 이의를 제기했다. 이에 대한 당대의 논의 중에서 본 논문은 전통적 칼빈주의를 대표하는 프린스턴 신학자들이 에드워즈의 신학과 뉴잉글랜드 신학에 대해 어떤 평가를 내렸는지에 집중한다. 프린스턴 신학자들은 에드워즈의 신학에 대해서 동의하지 않는 영역도 있었지만 대체로 호의적인 태도를 보인 반면에, 뉴디비니티 신학에 대해서는 조심스러운 태도를 취했고, 뉴헤이븐 신학에 대해서는 명백하게 반대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뉴잉글랜드 신학 중에서도 비교적 에드워즈의 신학과 가깝다고 할 수 있는 뉴디비니티 신학이 에드워즈의 신학과 차이가 나는 부분을 실제적인 회심의 촉구 방법 면에서 고찰한다. 뉴디비니티 신학자들은 에드워즈가 제안한 ‘도덕적 무능력’과 ‘자연적 능력’의 구분을 유지하면서도 즉각적인 회심을 요청하는 신학을 제시했다. 반면에 에드워즈는 죄인들에게 즉각적인 회심을 요청한 것이 아니라, 회심을 할 수 있는 은혜를 구하라고 요청했다. 에드워즈는 ‘도덕적 무능력’이 너무 강력하다고 믿었기 때문에 죄 인이 할 수 있는 것은 회심의 은혜를 열심히 구하는 일이었다.

    영어초록

    Jonathan Edwards’s descendants established the New England Theology, which was distinct from traditional Calvinism and significantly influenced American church history. Scholars have attributed key aspects of New England theology to Edwards’s seminal work, Freedom of the Will. This paper commenced by examining Edwards’s view of the freedom of the will, followed by an introduction to New England theology. The New England School claimed adherence to Edwardsian principles, yet this claim was contested by some who argued that their theology diverged from Edwards’s original doctrines. With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theological debates, this paper focused on the perspectives of Princeton theologians, who represented traditional Calvinism, regarding Edwards’s theology and New England theology. Despite areas of contention, Princeton theologians generally held Edwards’s theology in high regard, albeit with caution towards New Divinity theology and explicit opposition to New Haven theology. Finally, this paper analyzed the divergence of New Divinity theology from Edwards’s theology, particularly in terms of its approach to conversion. While New Divinity theologians maintained Edwards’s distinction between ‘moral inability’ and ‘natural ability,’ they promulgated a theology advocating for immediate conversion. In contrast, Edwards did not advocate for immediate conversion from sinners but rather urged them to seek the grace for conversion. He maintained that ‘moral inability’ was so formidable that the only course of action available to a sinner was to diligently seek the grace of conver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