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패션 테라피를 적용한 뉴 시니어 여성 스타일링 제안 (Suggestion of New Senior Women Styling Applying Fashion Therapy)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3 최종저작일 2020.09
17P 미리보기
패션 테라피를 적용한 뉴 시니어 여성 스타일링 제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 20권 / 3호 / 53 ~ 69페이지
    · 저자명 : 김민아, 박선희

    초록

    현대사회는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노년기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중 뉴 시니어 세대(1955-1964년)는 오늘날 소비시장의 주도층인 블루 슈머로 급부상하고 있으며, ‘고령화 집단’으로 인식되어왔던 기존 시니어 세대와의 차이를 보인다. 본 연구는 패션 스타일링을 통한 외모 개선을 바탕으로 심리적· 신체적 문제 해결법을 모색하여 착용자가 패션 테라피를 보다 쉽게 경험할 수 있는 스타일링을 제안하는데목적이 있다. 이에 이론적 고찰을 통해 패션 테라피의 개념을 정리하고 특징과 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뉴시니어 세대를 위한 스타일링 제안을 위해 선행연구와 문헌 고찰을 통해 뉴 시니어 세대의 특징과 라이프스타일을 종합하여 핵심 가치인 ‘건강’을 키워드로 추출하였다. 그 결과 뉴 시니어 세대의 여가활동과 선호도에적합하면서 패션 테라피로서의 효과가 기대되는 스타일링을 기획하여 이미지맵과 일러스트로 시각화하였다.
    뉴 시니어 세대 중 외모 민감도가 높은 여성을 논문의 연구 대상으로 한정했으며 뉴 시니어 세대의 스타일링을 고찰하여 선호하는 스타일과 아이템, 컬러 및 스타일링 연출 기법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이론적 고찰에서 연구한 결과를 바탕으로 스타일링 콘셉트를 ‘액티브’로 설정하여 뉴 시니어 여성의 여가활동에 적합한패션 스타일링을 3가지 유형으로 신체적 건강 추구 제안하였다. 스타일링은 ‘액티브 캐주얼 룩’으로 정신적건강 추구 스타일링은 ‘액티브 이지룩’으로 사회적 건강 추구 스타일링은 ‘액티브 시크룩’으로 나누어 총 9벌의 시안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스타일링의 착장은 외모 개선을 통해 자존감 및 자아 효능감을 향상하고 여가활동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도와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스트레스를 저하시켜 궁극적으로 우울감 해소 및 자아 탄력성과 같은 심리적 문제 해결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한다. 본 연구는 스타일링을 통한 패션 테라피의 가능성을 모색하여 패션 테라피의 저변 확대에 의의가 있으며 향후 스타일링을활용한 뉴 시니어 세대의 패션 테라피에 대한 관심과 관련 시장이 증대되기를 바란다.

    영어초록

    In a modern society, the percentage of old population is increasing due to the extension of average lifespan.
    Nowadays, the new senior generation(1955~1963) is rapidly rising as blue-sumer that is the leading group of a consumption market,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senior generation that has been perceived as an ‘aging group’.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tyling for wearers to be able to more easily experience the fashion therapy, by seeking for solutions of psychological/physical problems based on the improvement of appearance through fashion styling.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fashion therapy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lso, to suggest styling for the new senior generation, the ‘health’ as a core value was extracted as a keyword by putting together the characteristics and lifestyles of the new senior generation through preceding researches and literature review. As a result, this study planned styling with the expected effects of fashion therapy, suitable for leisure activities and preference of the new senior generation, and then visualized the styling into image map and illustration. At this point, the research subjects of this thesis were limited to women with high sensitivity to appearance of the new senior generation. Also, after understanding the preferred style, item, color, and styling representation technique by considering styling of the new senior generation, this study suggested three types of fashion styling suitable for leisure activities of new senior generation women by setting up the concept of styling as ‘active’ based on the results of theoretical consideration. This study drew a draft of total nine suits of clothing in division of ‘active casual look’ for physical health-pursuit styling, ‘active easy look’ for mental health-pursuit styling, and ‘active chic look’ for social health-pursuit styling. Wearing such styling is expected to improve their self-esteem and self-efficacy through the improvement of appearance, and also to help them more actively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ies. It would als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solution of psychological problems like relief of depression and self-resilience by lowering stres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base of fashion therapy by seeking for the possibility of fashion therapy through styling. Hopefully, there should be more interest in fashion therapy of the new senior generation using styling with the expansion of relevant market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