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체현감각 : 뉴미디어 예술의 경험에 대한 고찰 (Embodied Sense : An Approach to Experience of New Media Art)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3 최종저작일 2014.06
11P 미리보기
체현감각 : 뉴미디어 예술의 경험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초조형학연구 / 15권 / 3호 / 163 ~ 173페이지
    · 저자명 : 송원진, 윤준성

    초록

    본 논문은 뉴미디어 예술을 경험할 때 인간의 신체와 정신, 뉴미디어가 서로 긴밀하게 연관되어 나타나는 경험을 ‘체현감각(Embodied Sense)’이라 부를 수 있음을 제안하고, 동시대 뉴미디어 예술작품들을 사례로 분석하여 체현감각의 이해를 구체화 한다.
    현상학자 모리스 메를로 퐁티(Maurice Merleau-Ponty)와 인지 언어학자인 조지 레이코프(George P. Lakoff)는 인간의 감각이 단순히 물리적 신체에 국한된 것이 아님을 주장했고, 미디어 이론가 마샬 맥루언(Marshall McLuhan) 은 새로운 미디어의 등장으로 인해 인간의 감각이 확장됨을 주장했다. 이러한 인간의 감각과 미디어에 관한 두 가지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뉴미디어 예술에서 인간의 신체, 이성, 미디어를 구분하는 것보다 긴밀한 관계와 상호작용에 더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논구하고, 이를 체현감각으로 부르고자 한다. 또한 뉴미디어 예술의 경험에서 이러한 체현감각의 특성을 ‘행위자와 환경의 구조적 결합(structural coupling of actor-environment)’, ‘사회․문화적 맥락의 체현감각(the embodied sense of social and cultural context)’, ‘정보․가상세계의 체현감각(the embodied sense of information and virtual space)’의 세 가지로 나누고, 그에 해당하는 동시대의 뉴미디어 예술작품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해 뉴미디어 예술작품에서 신체를 통한 감상이 물리적인 반응이라는 우려를 넘어 기존의 감각과는 다른 체현감각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보이고, 다양한 현상을 포함하며 확장되고 있는 뉴미디어 예술에서 상호작용성에 대한 새로운 해석적 틀을 제공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proposal of this paper is about a new term of ‘Embodied Sense.' It is the aesthetic experience that can be experienced when new media art is closely related to human body, spirit and new media. By analyzing of some cases of new media art works of contemporary, it will be concretized.
    Phenomenological philosopher Maurice Merleau-Ponty and George P. Lakoff, cognitive linguist claimed that human senses are not simply created by the physical body. Also, philosopher of communication theory, Marshall McLuhan argued human have already extended their senses and nerves by the various media. Based on those theories, I argue that we’d better to focus on various phenomena of human senses by interactions that can be experienced through new media art than dividing to human body, spirit and technology. The character of Embodied Sense in new media art works would be divided three parts; Structural coupling of actor-environment, The embodied sense of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nd The embodied sense of information and virtual space. I analyze these cases of contemporary new media art works. This study shows the appreciation through body is not physical reaction but the approaching to embodied sense differentiated as standard one. Moreover, this will provide new analytic frame of interaction that contains variety of phenomen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초조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