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뉴 노멀 시대, 초등 국어과 교육의 방향 (In the new normal era, the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3 최종저작일 2021.10
19P 미리보기
뉴 노멀 시대, 초등 국어과 교육의 방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초등국어교육 / 71호 / 333 ~ 351페이지
    · 저자명 : 최규홍

    초록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은 국어과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국어과 교육과정은 교육 현상을 바탕으로 만들어진다. 교육 현상은 생활환경과 교육 환경의 변화 속에서 나타난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코로나 19로 인해 급격히 변화된 교육 환경과 새로운 교육을 요구하고 있다. 새로운 시대의 교육 현상을 잘 담아낸 교육과정과 교실 수업의 변화가 필요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미래 시대 초등 국어교육의 방향을 살펴보기 위해 우선 미래 사회의 담론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연결과 공유의 시대, 포스트 휴먼의 시대, 개인화와 즐거움의 시대, 자기 주도성의 시대로 나누어 교육 환경의 변화, 인간의 인지와 정서, 교육의 주체성에 초점을 두고 다양한 논의들을 살펴보고 교육적 의의를 찾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 국어과교육의 방향을 교육 내용 측면에서 갈등 해소와 포용 중시, 교육 방법 면에서 학습자 주도성 강조, 학습 자료 측면에서 선별과 활용 능력 향상, 본질 측면에서 기초 문해력 강화로 제시하였다.
    교육의 본질을 사회의 변화에 적응하기보다 새로운 사회를 만들어갈 인재를 양성한다는 측면으로 접근한다면 문제 해결력보다 문제 발견력을 가질 수 있게 수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런 측면으로 보면 초등 국어과 교육은 스스로가 언어 및 생활 현상에 대해 고민하고, 그 속에서 새로운 문제의식을 가질 수 있게 하고, 의사소통 능력 및 매체 활용 능력을 바탕으로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교육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s based o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s made based on educational phenomena. The educational phenomenon appears amid changes in the living environment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COVID-19, the rapidly changed educational environment and new education are required.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curriculum and classroom instruction that well captures the educational phenomena of the new era.
    In this paper, we first looked at the discourses of future society to examine the direction of elementary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future era. To this end, it was divided into the era of connection and sharing, the era of posthuman, the era of personalization and enjoyment, and the era of self-direction, focusing on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human cognition and emotion,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Based on this, the direction of elementary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suggested as resolving conflicts and emphasizing inclusion in terms of educational content, emphasizing learner initiative in terms of educational methods, improving screening and utilization ability in terms of learning materials, and strengthening basic literacy.
    If the nature of education is approached in terms of cultivating talented people to create a new society rather than adapting to changes in society, classes should be conducted so that they can have problem-solving skills rather than problem-finding skills. In this respect, elementary Korean language education needs to consist of education that allows one to think about language and life phenomena, have a new awareness of problems, and find ways to live together based on communication skills and media utilization skil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초등국어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