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뉴 노멀(New Normal) 시대의 교육목회 (Educational Ministry in the New Normal)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3 최종저작일 2020.11
29P 미리보기
뉴 노멀(New Normal) 시대의 교육목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72호 / 487 ~ 515페이지
    · 저자명 : 채혁수

    초록

    전 세계가 코로나 바이러스로 몸살을 앓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와 비대면이 지속되면서, 개인 자아는 심리적으로 점점 더 불안해하고, 모일 수 없는 공동체는 그 존재적 정의에 수정을 가해야 할 형편이다. 이러한 위기는 새로운 표준과 기준을 요구하고 있다. 교회도 예외는 아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교회는 이전의 예배와 목회 등에 새로운 기준을 가지지 않으면 안 된다. 또한 신앙 공동체인 교회는 이전과는 달라진 개인과 공동체의 관계를 정립해야 하기도 한다. 이것은 말씀에 비추어, 항상 개혁해야 하는 개혁교회에게는 당연한 과제인 것이다. 어쩌면 말씀 속에 그 본질을 회복해야 하는 교회에게는 이 코로나의 위기가 순전함을 회복하는 좋은 기회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독교교육적 관점에서 뉴 노멀(new normal) 시대의 교육목회를 위한 제언을 시도하려 한다.
    이를 위해 먼저 II장에서는 코로나 시대의 교육목회에 있어서 뉴 노멀의 필요성에 관하여 살펴 볼 것이다. III장에서는 뉴 노멀 시대의 교육목회의 과제를 개인 자아와 공동체의 기능 회복을 중심으로 알아 볼 것이다. 결론격인 IV장에서는 뉴 노멀시대의 교육목회적 대안을 디트리히 본회퍼(Dietrich Bonhoeffer)의 공동체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제시해 보려고 한다.
    아무쪼록 마리아 해리스(Maria Harris)와 하비콕스(Harvey Cox)가 강조한 사도행전에 나타난 초대교회의 다섯 가지 직능들이 존 웨스터호프 3세(John Westerhoff III)와 레슬리 뉴비긴(Lesslie Newbigin), 그리고 본회퍼의 교회, 신앙공동체 이해에 의해 회복되어져, 오늘날 교육목회의 뉴 노멀을 위한 작은 디딤돌이 되기를 바란다.

    영어초록

    The world is suffering from the COVID-19. As social distancing and non-face-to-face communication continue, individuals become more anxious, and communities that cannot be gathered are required for redefinition of their existences. This crisis requires new normal. The church is no exception. As a community of faith, the church must establish a new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and communities in this situation. Maybe, it is not wondered that the reformed church must always be reformed. The COVID-19 crisis is a chance to restore the purity for the church. Thus, this study attempts to offer several suggestions for educational ministry in the new normal from a Christian educational perspective.
    The structure of the study is as follows. Chapter I is an introduction part. In chapter II, I find the necessity of a new normal of the educational ministry in the COVID-19 era. Chapter III examines the task of educational ministry in the new normal, focusing on the recovery of the function of the individual self and the community. In the conclusion part, chapter IV offers several suggestions for the educational ministry in the new normal, focusing on Dietrich Bonhoeffer's understanding of the community.
    I really hope that five functions of the early church in Acts emphasized by Maria Harris and Harvey Cox, should be restored for the educational ministry by the understandings of the faith community as a new normal by John Westerhoff III, Leslie Newbigin, and Dietrich Bonhoeffer. I also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a help for suffering people in the COVID-19.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