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연화된 ‘가족’의 서사와 ‘가족’이라는 굴레 : 구전이야기 〈오뉘 힘내기〉와 〈나무꾼과 선녀〉 속 ‘어머니의 음식’ 모티프를 중심으로 (“Mother’s Cooking” in Korean Oral Narratives and the Bondage of the “Family“)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3 최종저작일 2022.06
39P 미리보기
자연화된 ‘가족’의 서사와 ‘가족’이라는 굴레 : 구전이야기 〈오뉘 힘내기〉와 〈나무꾼과 선녀〉 속 ‘어머니의 음식’ 모티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65호 / 41 ~ 79페이지
    · 저자명 : 김시연

    초록

    이 글은 자연화된 ‘가족’이라는 범주에 관한 서사로서 ‘어머니의 음식’이라는 모티프가 나타나는 구전이야기를 분석한다. 사회적 구성물로서 ‘가족’은 인구 정책과 통치, 젠더와 섹슈얼리티 및 재생산, 장애와 정상신체주의 등 ‘정상성’의 규범이 (재)생산되는 제도적 기반이 되어 왔다. 이러한 ‘가족’ 범주의 규범적 속성에 주목하여, 구전이야기를 통해 ‘가족’의 성립과 유지에 관한 사회적 상상력이 형상화된 양상을 탐구한다.
    ‘오뉘 힘내기’와 ‘나무꾼과 선녀’ 이야기에 등장하는, 자식들이 자신의 문제에 열중하고 있는 가운데 갑자기 등장해 음식을 권하는 어머니의 존재는 해당 이야기를 ‘부모-자식’이라는 가족 관계 구도에 대한 상징적 서사로 해석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야기 속 어머니는 그가 자식들에게 권하는 ‘음식’과 동일시된 존재로, 오로지 자식들이 갈등 끝에 그 음식을 받아먹게 하는 것으로 기능을 다한다. 이때 어머니와 어머니의 음식은 자식들을 피할 수 없는 딜레마에 빠트리는데, 어머니가 권하는 음식을 먹으면 파멸하리라는 것을 알면서도 거절할 수 없다는 사실이다. 결국 어머니의 권유를 뿌리치지 못한 자식들이 음식을 받아먹고 좌절함으로써 이야기는 비극으로 갈무리되고, 어머니가 아니었더라면 이루어질 수도 있었던 이들의 미래의 가능성은 해소되지 않은 채로 남겨진다.
    이러한 딜레마는 자식들이 어머니로부터 정서적으로 ‘독립’하지 못하게 하는, 그리하여 어머니가 제시하는 가족 역할에 대한 종속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하게 하는 부채감의 정서와 결부되어 있다. 이 부채감의 정서는 어머니의 요구가 강제나 강요가 아닌 자신이 만든 음식을 먹어보라고 애원하는 일, 즉 희생과 헌신이라는 ‘어머니’ 역할의 전면화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사실로부터 비롯된다. 자식들에게 어머니가 내미는 음식은 역할과 존재를 구분할 수 없는 ‘어머니’의 상징으로 다가와, 그들이 이 음식을 도저히 거절할 수 없는 정서적 압박으로 기능한다.
    서사적으로 다른 선택지가 주어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등장인물 누구도 이 ‘가족’의 굴레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어머니의 음식’이라는 소재를 경유하여, 구전이야기 속 가족 관계를 ‘가족’이라는 ‘정상성’의 규범에 복무하기를 요구하는 폭력의 은유로 읽어낼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an analysis of oral narratives that contain the motif of “mother’s cooking.” In the stories “The Trial of Strength between Brother and Sister” and “The Woodcutter and the Fairy,” the mother of the main character appears at a crucial moment and tells him/her to eat the food she has made. The main character is conflicted about whether to accept the mother’s cooking, but in the end cannot refuse the mother’s invitation, so they eat the food and end up in ruins.
    This tendency of narratives raises the need to interpret the narrative of the family in oral narratives as a symbolic narrative in which the concept of “family” is maintained and continued. The reason that children cannot refuse their mother’s cooking even though they foresee their own tragic ending is because of their sense of debt to their mother. The burden on their heart due to their mother’s sacrifice and devotion to them makes them unable to resist. This shows that this scene is not just about “food,” but a question about whether or not to conform to the norm of a “child” which their mother requires of them.
    The fact that the children in the narratives choose to die after eating their mother’s cooking shows that they have failed to become psychologically independent from their mother. In conclusion, the narratives can be analyzed as narratives of children who cannot escape the emotional control of their mother and have no choice but to return to the bondage of the “fami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