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여성 신성’의 배제와 남성 주체의 불안 - <오뉘힘내기> 이야기를 중심으로 - (The Study on Image of ‘the Elimination of the Sacred Female’ as Projection of the Anxiety Neurosis of the Male-Subject - on the Oral Narrative of Brother Having a Trial of Strength with his Sister-)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3 최종저작일 2013.06
50P 미리보기
‘여성 신성’의 배제와 남성 주체의 불안 - &lt;오뉘힘내기&gt; 이야기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6호 / 5 ~ 54페이지
    · 저자명 : 김영희

    초록

    이 글은 젠더정체성의 내용을 지시하는 구전서사의 연행이 연행과 전승에 참여한 이들을 ‘남성’과 ‘여성’으로 호명(interpellation)함으로써 젠더화된 주체를 생산하는 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오뉘힘내기>는 신성하고 초월적인 여성의 존재속성이 비극적 파국을 초래하는 결함으로 작용하고 이 비극적 파국으로 인해 남성이 치명적 결핍과 한계를 안게 된다는 정체성의 시나리오를 구현한다. 본 논문은 이 시나리오의 이면에서 여성의 존재속성을 ‘불길한’ 것으로 맥락화하고 이를 통해 남성의 불안과 우울을 은폐하거나 방어하는 기제를 분석함으로써 젠더화 전략의 골간을 파헤쳐 보고자 한다.
    <오뉘힘내기>는 쌍둥이 장수로 태어난 오누이 가운데 누이가 실제로 더 뛰어난 능력을 갖고 있었으나 바로 그 때문에 죽음을 맞이하고, 이 죽음으로 인해 남동생이 치명적 결함을 안은 채 성장하여 결국 비극적 좌절과 죽음을 맞이하는 내용의 이야기다. 근친이 공모한 간접 살해의 희생양이라는 점에서, 또한 자신과는 상관없는 남성적 권력 의지와 욕망을 대리하기 위해 자신의 딸을 배반한다는 점에서 누이와 어머니도 모두 비극의 주인공이라 할 만하다. 그러나 서사적으로 강조되는 것은 남동생의 좌절과 죽음이며 누이의 죽음은 이 비극적 파토스의 원인을 설명하는 사건으로서 의미를 드러낼 뿐이다.
    누이는 죽음을 통해 남동생의 내부에 영원한 구멍으로 남는다. ‘여성 신성’의 배제와 축출을 통해 완전한 주체가 되려 했던 ‘남성’은 이 배제와 축출을 환기하는 ‘누이의 죽음’을 통해 결코 극복할 수 없는 한계와 결핍을 안게 된다. 또한 ‘누이의 죽음’은 ‘남성’ 주체가 주체화 과정에서 무엇을 상실했고 또 그 상실로 인해 어떻게 우울증적 주체로 거듭나게 되었는지 환기하는 사건이기도 하다. 결국 <오뉘힘내기>에서 ‘여성 신성의 배제’를 표상하는 ‘누이의 죽음’은 주체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무의식적 상실을 경험하는 남성 주체의 불안과 결핍이 투사된 대상이자 그의 상실과 우울을 심리적으로 방어하는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Once upon a time a sister and a brother were very strong and mighty heroes. In fact the sister was stronger and wiser than her brother. As they were still children, he has often shown off his strength to others and his sister has been concerned about his vanity. One day she dressed up like a man and took part in Korean wrestling arena for her brother. The brother competed with his sister for the best prize without even knowing her identity and went down to his sister. After coming back home he still was filled with anger that he had been defeated, so his sister told him the truth.
    Then the angry brother proposed her to have a trial of strength. In accordance with a proposal, he has built a castle and she has built a pagoda. When she was about to win a bet, her mother made her daughter to eat very hot soup for her son. At last she got the worst of it, she had to die because they promised that a loser ended it all. Time after time he broke out in revolt and was defeated for he has been a person to have a fatal lack because of his sister’s death.
    This study is an analysis and criticism on the story of <Brother Having a Trial of Strength with his Sister(“Onuyhimnaegi”(오뉘힘내기)>. The story is called as ‘tragic oral-narrative’ which is defined the narrative transmitted by oral- performance possessing a tragic plot and a tragic theme, and creating tragic effects in this article. The objects of this research are the oral-narrative in which ‘hamartia(tragic flaw)’ is composed of the attributes of ‘the female’, the will or the act of ‘the male’ is collapsed and defeated heinously.
    The gender-border of the male which is made by objectifying the female exclusively, depends on the gender-border of the female logically, since its category cannot be constructed without establishing the boundary of ‘female’. Most of all the factors deviating from normalization are necessarily to be incorporated into the boundary as essential components again. Thus it is very important that all these objects abjected are represented as the female image.
    The male is nothing but a melancholic subject with the loss to be unable to be mourned for, supposing that the initiation effect of tragic oral-narratives is to suppress and deny things except what the social order and rules permit, through internalizing a mechanism of normalization. The male's lack is melancholy itself from the aspect of showing the nervous and the anxiety because he cannot be conscious of what he has lost and he himself unconsciously denies the fact itself that he lost someth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