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석 김종대(1873~1949)의 1926년 작 ≪밀양십경도≫ 고찰- 소눌 노상직(1855~1931)의 밀양 강학 공간의 시각적 형상화 - (A Study on by Aseok Kim Jong-dae in 1926: Visual shape of the Miryang lecture space of the Sonul No Sang-jik)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22.03
35P 미리보기
아석 김종대(1873~1949)의 1926년 작 ≪밀양십경도≫ 고찰- 소눌 노상직(1855~1931)의 밀양 강학 공간의 시각적 형상화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 수록지 정보 : 석당논총 / 82호 / 377 ~ 411페이지
    · 저자명 : 강영주

    초록

    이 글은 아석 김종대가 1926년 제작한 가회민화박물관 소장 ≪밀양십경도≫의 내용과 성격을 고찰한 것이다. 그는 조선 말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국내외적으로 역동의 시기를 살았던 문인서화가로 전통의 단절과 서구 문명의 유입에도 불구하고 영남지역의 유교문화를 전통적인 글씨와 그림으로 지키려 했던 인물이었다. 김종대의 사상과 학문, 예술에 영향을 준 인물은 그에게 ≪밀양십경도≫를 그리게 했던 노상직, 그림과 글씨에 영향을 준 외종조부 배전, 흥선대원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김종대는 서화 제작 및 금강산을 비롯한 명승지 유람 등의 활동을 통해 실경산수화 및 문인서화의 전통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밀양의 명승지를 그림으로 그리는 풍조와 거주지를 명승에 담아 그리는 유행은 김종대의 ≪밀양십경도≫에 영향을 미친다. 즉 노상직이 자신의 조상과 유거지를 기록한 「제가세십천도병」의 제작과 성격을 살펴보면 밀양의 명승지와 자신의 강학 공간인 자암서당 등을 노래한 「제자암서당십곡도병」의 제작 목적이 일치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를 그림으로 제작한 김종대의 ≪밀양십경도≫는 노상직의 의도를 정확하게 반영하면서도 화법은 당시 지방의 전통적인 실경산수화풍을 취하였다.
    결론적으로 근대기 문인들이 밀양 명승지 및 자신의 주거지를 그리는 풍조가 노상직에게 영향을 주었으며 노상직은 1926년 자암서당의 중건을 기념하기 위해 밀양의 명승지와 자신의 강학 공간에 대한 시를 썼고, 동향이며 제자인 김해의 문인서화가 김종대에게 그림을 부탁하여 ≪밀양십경도≫가 탄생하게 된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a study of Ten Scenes of Miryang(密陽十景圖), the collection of the Gahoe Folk Painting Museum, produced in 1926 by Japanese colonial era Aseok Kim Jong-dae(我石 金鍾大, 1873~1949).
    Therefore, first, we looked into the life of Kim Jong-dae, a literary calligrapher who lived in a period of dynamic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Japanese colonial era. Despite the disconnection of tradition and the influx of Western civilization, he tried to protect the Confucian culture of the Yeongnam(嶺南) region with traditional writing and painting. The people who influenced Kim Jong-dae's thoughts, studies, and arts were Noh Sang-jik(盧相稷, 1855~1931), who made him draw Ten Scenes of Miryang, Baejeon(裵婰, 1843~1899), a relative who influenced paintings and writings, and Heungseon Daewongun(興宣大院君). Next, we looked into the calligraphy activities of writers who maintained the tradition of real-scenery landscape painting(實景山水畵) through a tour of scenic spots such as himself, his family's residence, and GeumgangMountain during the modern period. The trend of painting Miryang's scenic spots and the trend of painting one's residence in scenic spots influence Kim Jong-dae's Ten Scenes of Miryang.
    Finally, Noh Sang-jik recognized 「Jaegasesipcheondobyeong(題家世十遷圖屛)」, which recorded his ancestors and residences. In addition, Noh Sang-jik considered 「JejaamseodangSipgokdobyeong(題紫巖書堂十曲圖屛)」 in which he sang a scenic spot in Miryang and his lecture space, Jaamseodang. In addition,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Kim Jong-dae's Ten Scenes of Miryang, which produced this painting, were examined.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trend of Miryang scenic spots and writers painting their residences influenced street workers. And in 1926, Noh Sang-jik wrote 「JejaamseodangSipgokdobyeong(題紫巖書堂十曲圖屛)」 to commemorate the reconstruction of ‘Jaamseodang(紫巖書堂)’, and asked Kim Jong-dae to paint and Ten Scenes of Miryang was bor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석당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