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후방 척추 수술 환자에서 ‘PF-72와 0.75% 로피바카인염산염 혼합액’과 ‘0.75% 로피바카인염산염 단독사 용’ 및 ‘무처치’ 대조군간 유효성 및 안전성 비교평가-전향적, 단일기관, 피험자 단일 눈가림, 무작위 배정, 탐색 임상시험 (Comparison of the Efficacy and Safety Profiles of a Mixed ‘PF-72’ and ‘0.75% Ropivacaine HCl’ Versus a ‘0.75% Ropivacaine HCl’ and No Treatment Group: A Randomized, Single-Blind, Single-Institution Pi)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19.03
10P 미리보기
후방 척추 수술 환자에서 ‘PF-72와 0.75% 로피바카인염산염 혼합액’과 ‘0.75% 로피바카인염산염 단독사 용’ 및 ‘무처치’ 대조군간 유효성 및 안전성 비교평가-전향적, 단일기관, 피험자 단일 눈가림, 무작위 배정, 탐색 임상시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척추외과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척추외과학회지 / 26권 / 1호 / 11 ~ 20페이지
    · 저자명 : 최성우, 장해동, 강덕원, 방청원, 이재철, 이재준, 황창순, 오근상, 신병준

    초록

    연구 계획: 전향적 연구(탐색 임상시험) 목적: 후방 척추 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PF-72’와 0.75% 로피바카인염산염(Ropivacaine HCl) 국소마취액의 혼합액을 통해 수술 후 급성통증 완화에 대한‘PF-72’의 초기 유효성과 안전성을 ‘0.75% 로피바카인염산염(Ropivacaine HCl) 단독사용’ 및 ‘무처치’ 대조군과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수술 후 급성통증은 재원 기간의 증가, 만성 통증, 삶의 질 저하 등을 유발하는 주요 수술부작용 중 하나이다. 전통적인 방식의 통증 조절 방법은 다양한 부작용을 초래하며, 최근 이에 대한 대안으로 다중요법이 추천 되고 있다. 수술 부위 국소마취제 투여는 12시간 미만의 짧은 작용시간이 단점이며, 통증조절약물 전달 시스템으로서 온도 반응성 하이드로겔(Hydrogel) 제품의 경우 아직까지 그 효율성과 안정성에 대해 논란이 있다.
    대상 및 방법: 후방 척추 수술이 예정된 환자 중 선정 기준을 통해 대상군을 선정하였다. PF-72는 수술부위에 약물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고분자화합물로서 시험군에서는 수술부위를 봉합하기 직전에 PF-72와 로피바카인염산염(Ropivacaine HCl) 혼합액을 주입하고, 대조군1에는 PF-72없이 0.75% 로피바카인염산염(Ropivacaine HCl) 만을 주입하였으며, 대조군 2에서는 약물 주입 없이 일반적인 수술 절차에 따라 수술부위를 봉합하였다. 각 군에 10명의환자가 균등하게 무작위 배정되었다. 수술 후 피험자의 통증 관리를 위하여 기관 표준 절차에 따라 피험자 모두에게 표준화된 약물을 적용하였으며, 필요시 구제약물을 사용하였다. 1차 평가 변수는, 수술 후 통증 평가 점수를 기록하고, 각 관찰 시점까지의 총합(area under the curve, AUC)을 비교하였다. 각관찰 시점마다 무통상태(통증점수 3점 이하)의 피험자 비율도 조사하였다. 2차 평가 변수는 구제 약물이 처음 투여된 시점과 총 투여량을 조사하였다. 안전성 평가는 수술 후 구역 및 구토 증상에 대해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PONV) 분류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총 30명의 환자가 등록되었으며, 남자 13명, 여자 17명이었고, 평균 나이는 62.3(27-79)세였다. 각 군에서 피험자의 성별, 연령 등의 인구학적 기초자료 및 기본 병력 등의 자료 분석 결과 시험군과 대조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1차 평가 변수의 경우 모든 관찰시점에서 시험군의 통증점수의 합이대조군 1, 2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무통상태환자의 비율은 시험군이 대조군2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비율을 보였다(p=0.0108). 2차 평가변수인 구제 약물의 첫 투여 시간과 총 사용량은 세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모든 관찰시점에서 PONV 척도 별 환자 비율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세 군의 이상 사례 발현율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모두 경증의 이상 사례로 시험기기와의 인과관계에서 관련성이 없었다.
    결론: 후방 척추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의 수술 후 통증 관리를 위해 PF-72와 로피바카인염산염(Ropivacaine HCl) 혼합액을 수술 부위에 투여하여 수술 후 72시간까지 효과적인 통증조절이 가능함을 확인했으며, 안전성 면에서도 치명적인 이상 사례가 발생하지 않았다.


    약칭 제목: 후방척추수술에서 PF-72 전달체를 이용한 통증조절

    영어초록

    Study Design: Prospective pilot study Objectives: The efficacy and safety of ‘PF-72’ for management of postoperative acute pain through a mixed ‘PF-72’ and 0.75% ropivacaine hydrochloride solution in patients with posterior spine surgery was evaluated as ‘0.75% ropivacaine’ and ‘untreated’ control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Postoperative acute pain is major surgical side effect that lead to the deterioration of the quality of life. Traditional pain control results in variable side effects, and multimodal pain management has been recommended as an alternative.
    Local anesthetics is a short-acting time lower than 12 hours. There is controversy about the efficiency and stability of thermoreactive hydrogel products as a drug delivery system.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scheduled for posterior spine surgery were enrolled by the inclusion criteria. In the treated group, PF- 72 and ropivacaine mixture was injected to the surgical wound before closure. In control group 1, only 0.75% ropivacaine hydrochloride was injected. In the control group 2, the surgical site was without injection. Ten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ach group and standardized drugs for pain control were applied postoperatively and rescue regimens were applied when necessary. Postoperative pain score and the cumulative area under the curve (AUC) of pain score were compared. The percentage of subjects who were painless (pain score ≤ 3) was examined at each observation point. The first time of injection and the total dose of the rescue regimen were examined.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PONV) were also evaluated.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emographic data.
    The sum AUC of pain scores in the treated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1 and 2 at all observation times. The proportion of painless pati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reated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dministration time and the total usage of the rescue regimen, and the percentage of patients with PONV at all time poin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cidence of adverse events.
    Conclusion: PF-72 and ropivacaine mixture showed significant effects for pain management up to 72 hours postoperatively for the patients who underwent posterior spinal surgery without fatal complic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