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90년대 주류 소설에서 민주화 운동과 노동의 의미 - 최윤의 「회색 눈사람」과 백민석의 「내가 사랑한 캔디」를 통한 비운동권 소설과 노동 문학의 관계에 대한 재고 (Significance of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Labor in Mainstream Fiction in the 1990s -Revisi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on-labor Movement Fictions and Labor Fictions Concentrating on Choi Yoon and)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23.08
44P 미리보기
1990년대 주류 소설에서 민주화 운동과 노동의 의미 - 최윤의 「회색 눈사람」과 백민석의 「내가 사랑한 캔디」를 통한 비운동권 소설과 노동 문학의 관계에 대한 재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민족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논집 / 98호 / 87 ~ 130페이지
    · 저자명 : 양가영

    초록

    본 논의는 90년대 주류 소설에 대한 논의가 사회적 담론과 분리되거나 특히 노동 문학과는 양분되어 분석된 관습으로 인해, 노동 운동과 시민 사회 그리고 문학이 중심이 되는 이를 둘러싼 문화에 대한 이해가 제한되고 있다고 보고 이를 해명하고자 하였다. 최윤과 백민석의 소설에서 인물의 정동과 서사의 관계를 통해 생산 과정이 인물의 삶에 미치는 유물론적 상황을 분석하고 민주화 운동이 서사에서 갖는 의미를 밝힘으로써 1990년대 소설에서 민주화 운동과 노동의 의미를 살피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비운동권 소설과 노동 소설의 관계를 재고하여 1990년대 소설사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최윤의 「회색 눈사람」에서는 극빈층 무산 계급의 모호하지만 강렬한 에로스 정동이 서사를 이끌어 가고 있음을 밝히고, 극빈층 무산 계급 노동자의 유물론적 상황이 노동에 대한 집착에 가까운 애착으로 드러나며, 동시에 민주화 운동이 전면에 배치되는 서사를 통해 지식인 주류의 모순이 드러남을 밝혔다. 또한, 그 강렬함에도 불구하고 강하원의 노동에 대한 에로스 정동과 민주화 운동에 대한 에로스 정동은 노동의 과정과 민주화 운동에서 이중으로 소외됨을 보였다. 이러한 이중의 소외는 군부에 저항하는 민주화 운동의 시민 사회의 자유에 대한 지향과 모순되며 안의 모순을 보여준다. 민주화 운동 주도의 지식인으로서의 안의 이러한 모순은 민주화 운동이 배태한 민주화 운동과 노동 운동의 간극으로 볼 수 있음을 밝혔다.
    백민석의 「내가 사랑한 캔디」에서는 프레카리아트 노동자의 절제되고 물질적인 동성애 정동이 서사를 이끌어가고 있음을 밝히고, 주변부 노동의 유물론적 상황을 보여주는 생산과정과 그에 따른 주변부 노동의 정동이 드러나고 있으며, 동시에 민주화 운동 출몰 서사를 통해 이성애 주류의 폭력성을 폭로함을 밝혔다. 주변부 노동에 대한 “나”의 목도는 주변부 노동자들의 생산 과정의 불합리와 폭력성을 보여주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대의 노동 운동에서 소외되고 있음을 살폈다. 이 과정에서 동성애 정동은 노동 운동과 민주화 운동에서 이중의 소외를 보여주며, 이것은 노동 운동의 모순과 민주화 운동과 노동 운동 사이의 균열을 보여주었다.
    최윤의 「회색 눈사람」과 백민석의 「내가 사랑한 캔디」는 경제적으로 그리고 사회적으로 다른 집단에 속하는 노동자에 주목한다. 그러나 노동자의 정동을 유물론적으로 주목하는 서사를 보여주며 그러한 서사를 통해 민주화 운동과 노동 운동의 균열을 보여준다는 공통점은 유의미하다. 또한, 전자는 정동의 모호함을 특성으로 함으로써 후자는 정동에 대한 물질적 전달을 특성으로 함으로써 이념에 따른 이해에 저항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념으로 분석되지 않았던 두 소설에서, 민주화 운동과 노동의 주요한 담론이 이념에 저항하면서도 서사의 중심에 놓임 살폈다. 이는 노동 문학과 주류 문학에 대한 연구가 경계를 두고 이루어졌던 90년대 문학에 대한 재고의 필요성을 촉구한다. 주류 문학과 노동 문학이 서로 분리되어 진행된 논의는 한계를 가지며 서로의 경계를 흐트리고 간섭하는 작품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의의를 갖는다.
    나아가서는 본 논의는 노동 문학과 주류 문학의 경계에서 일어나는 간섭 현상에 대한 연구를 시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마련함으로써, 문학성과 문학에 대한 권위를 재고할 수 있는 기회의 제공으로 볼 수 있다. 노동 문학이 문학적 성취도의 미흡함을 근거로 주류 문학에서 배제되었던 현상에 대한 재고의 근거가 될 수 있는 것이다. 「회색 눈사람」과 「내가 사랑한 캔디」의 주요인물이자 서술자가 모두 글을 쓰고자 하는 욕망은 이러한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으로, 민주화 운동과 노동 운동의 균열을 목도한 노동의 에로스 정동이 수행하는 유물론적 증언임을 밝혔다. 이것은 소외된 노동자가 보여주는 민주화 운동 중심의 지식인과 노동자의 경계, 정치와 예술 즉 아름다움에 대한 경계에 대한 질문으로 자본주의의 식인적이고 매끈한 구조에 대한 균열임을 밝혔다.

    영어초록

    This discussion argues that due to the custom of analyzing mainstream novels in the 1990s as being separated from social discourse, or in particular from labor literature, understanding of the labor movement, civil society, and the culture surrounding them, where literature is the center, is limited. I looked at it and tried to explain it. In the novels of Choi Yoon and Baek Min-seok, the meaning of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labor in the novels of the 1990s is analyzed by analyzing the materialistic situation in which the production process affects the characters' lives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s' emotions and the narrative, and by revealing the meaning of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in the narrative. I wanted to take a look. Based on this, we attempted to re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non-activist novels and labor novels and raise the need for a new perception of the history of novels in the 1990s.
    In Choi Yoon's “Grey Snowman,” it is revealed that the vague but intense Eros affect of the extremely poor proletariat class is driving the narrative, and the materialistic situation of the extremely poor proletarian class workers is revealed as an attachment bordering on obsession with labor, while at the same time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is brought to the fore. It was revealed that the contradictions of mainstream intellectuals were revealed through the deployed narratives. In addition, despite their intensity, Kang Ha-won's Eros affect toward labor and Eros affect toward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showed that he was doubly alienated from the labor process and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This double alienation contradicts the democratization movement's resistance to the military and its orientation toward freedom in civil society and shows internal contradictions. It was revealed that these contradictions within Ahn as an intellectual leading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can be seen as a gap between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that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spawned and the labor movement.
    In Baek Min-seok's “Candy I Loved,” it is revealed that the restrained and materialistic homosexual affect of precariat workers leads the narrative, and the production process that shows the materialistic situation of peripheral labor and the resulting affect of peripheral labor are revealed. It was revealed that the violence of mainstream heterosexuality was exposed through the narrative of the emergence of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I” witnessed the labor of the periphery, showing the irrationality and violence of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peripheral workers, and observed that they were nevertheless alienated from the labor movement of the time. In this process, homosexual affect showed a double alienation from the labor movement and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which showed the contradictions of the labor movement and the cracks between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the labor movement.
    Choi Yoon's “Grey Snowman” and Baek Min-seok's “The Candy I Loved” focus on workers belonging to economically and socially different groups. However, the commonality of showing narratives that focus on the emotions of workers in a materialistic manner and showing the cracks between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the labor movement through such narratives is significant. In addition, the former is characterized by the ambiguity of affect, while the latter is characterized by material transmission of affect, thereby resisting understanding based on ideology. In this way, in the two novels that were not analyzed in terms of ideology, we examined how the main discourse of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labor was placed at the center of the narrative while resisting ideology. This calls for a reconsideration of the literature of the 1990s, when research on labor literature and mainstream literature was conducted along a borderline. The discussion conducted separately between mainstream literature and labor literature has limitations and is significant in raising the need for discussion on works that blur and interfere with each other's bounda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