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운보 김기창의 예수의 생애 속 양반 예수에 반영된 18세기 조선의 남성중심주의와 엘리트주의: 마이클 박산달의 시대의 눈 이론의 관점에서 (A Study on Unbo Kim Ki-chʻang’s Korean Jesus and Korean Male Chauvinistic Elitism in The Life of Jesus Considered by Michael Baxandall’s Period Eye Theory)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21.06
39P 미리보기
운보 김기창의 예수의 생애 속 양반 예수에 반영된 18세기 조선의 남성중심주의와 엘리트주의: 마이클 박산달의 시대의 눈 이론의 관점에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논단 / 104권 / 195 ~ 233페이지
    · 저자명 : 송치선

    초록

    1978년 출판된 운보의 한국 최초의 기독교 성화 시리즈인 『예수의 생애』에는 성경에 기록된 예수의 이야기들이 한국인의 시각으로 재해석되어 30점의 성화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 그림들 속에는 예수를 비롯한 모든 등장인물들이 모두 조선 시대 사람들로 표현되는 등, 사복음서에 기록된 예수의 일생을 18세기의 조선시대로 묘사하고 있다. 예수의 이야기가 한국의 정취를 만나 아름답게 그려진 그림들을 바라보고 있으면, 한국인으로서 마치 성경의 텍스트들을 직접 경험하는 듯한 감동을 느낀다. 그러나 작품들을 감상하며 떠오르는 한 가지 의문은, 예수가 큰 갓을 쓰고 비단 두루마기를 두른 전형적인 조선(1392-1910)의 선비로 그려졌다는 점이다. 그의 빛나는 옷차림과 범상치 않은 풍채는 마치 일반인들이 범접할 수 없는 비범함과 권위마저 느끼게 한다. 2천 년 전 팔레스타인 지방에서 목수의 아들로 자라 30대에 생을 마친 성인 남성이었던 예수는, 대한민국의 문화적 배경과 사회정치적 역동을 만나 운보의 그림 속에서 조선시대의 사대부 양반이 되었다. 왜 하필 양반이었을까? 운보가 예수의 구속사를 한국인의 시선으로 상황화하는 데에 있어서 굳이 예수를 조선시대의 지배계층으로 묘사한 까닭은 무엇이었을까? 혹시, 운보가 살던 그 시대의 역사적 배경과 사회적 요소들의 복합적인 영향으로 인해 높은 신분의 양반 예수가 형성된 것은 아닐까? 만약 그렇다면, 그 배경과 요소들은 구체적으로 무엇이었을까? 또한, 그렇게 형성된 양반 예수를 오늘날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 것일까? 『예수의 생애』 속 양반으로 그려진 예수에 대한 다층적인 분석을 위해, 본고는 먼저 김기창 화백이 지녔던 삶에 대한 태도와 『예수의 생애』가 제작된 시대적 배경에 주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체적인 장애를 그림으로 극복하고자 했던 운보의 개인적인 삶의 태도와 일제 강점기 및 한국 전쟁과 같이 혼란스러웠던 시국을 지내온 작가의 특정한 시대적 경험을 짚어보며, 이것이 운보로 하여금 사회적 지배계층이었던 양반으로 예수를 묘사하도록 이끌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그런 다음, 미술작품의 구체적인 시대적 맥락을 강조한 미술사학자 마이클 박산달(Michael Baxandall 1933-2008)의 이론과 서양의 기독교 회화들이 시대와 문화에 따라 예수의 모습을 다르게 그리고 있는 현상을 확인하여, 본고의 논지를 뒷받침할 이론적 배경을 세울 것이다. 마지막으로, 『예수의 생애』에 실린 성화들과 이 작품들의 실제 배경이 된 후기 조선 사회의 문헌과 회화들을 비교함을 통해 『예수의 생애』 속 양반 예수가 유교적 남성중심주의와 엘리트주의를 담고 있음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예수의 생애』가 ‘최초의 한국적 기독교 성화’라는 표면적인 위치에서 멈추지 않고, 보다 객관적인 평가와 폭넓은 가능성을 제시하는 작품이 되길 기대해본다.

    영어초록

    In 1986, Unbo Kim Ki-chʻang (1914-2001), one of the most famous contemporary Korean painters, published the first Christian painting series of the sacred subject in Korean style. Jesus, in the paintings, is described as a Confucian scholar and yangban, which means that Jesus seems like a highly educated nobleman. Given the images of the yangban Jesus in the pictures, it is obvious that they are telling us that Jesus is an apt figure not only as a religious leader, but also as a socio-political one. The high-quality gat and durumagi, instead of carpenter’s clothes, make Jesus a perfect Korean leadership, whose origin was limited within the upper class during the period of the Chosŏn dynasty. Unbo created Korean Jesus and tried to deliver the legitimacy of the high-class Jesus by succumbing to the Korean Confucian hierarchy and elitism in his artworks.
    This paper focuses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Life of Jesus and the way of Unbo’s usage of his artistic talent in order to analyze the significance of the yangban Jesus. Unbo experienced the darkest period of modern Korean history,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Korean War, and lost his ability to hear and speak when he was seven. These obstacles spurred him to overcome them through his artistic gift and led him to draw a heroic leader who was able to defeat the chaotic upheavals of his country. As a result, his pictures of sacred subjects present the elite Jesus, whose authoritarian and patriarchal image could be accepted as a socio-political leader in the Korean Confucian society. This argument is clearly supported by the fact that the Confucian scholars in the late Chosŏn dynasty criticized and denied that Jesus is the son of God because of his status, which was a carpenter and sinner. Jesus, who was not reached to the hierarchical system of Chosŏn, eventually put on the image of an intellectual upper-classman at the tip of Unbo’s brus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논단”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