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탈원근법의 역사와 시각성 연구(1): 자볼로츠키와 필로노프의 눈(Глаз)과 시각성(Видимость)을 중심으로 (A Study on History of Deperspectivism and Visuality (1): Eye and Visuality of Zabolotsky and Filonov)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13.06
26P 미리보기
탈원근법의 역사와 시각성 연구(1): 자볼로츠키와 필로노프의 눈(Глаз)과 시각성(Видимость)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러시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슬라브硏究 / 29권 / 2호 / 105 ~ 130페이지
    · 저자명 : 장혜진

    초록

    ‘본다’는 것은 사물을 인식하는 중요한 감각 경험이며, 이를 통해 그 차이를 알 수 있다. 본다는 것은 알기 위한 사고의 원천이다. 르네상스 이후 19세기 말까지 서구문화의 중심을 이룬 관점은 데카르트 원근법주의라고 할 수 있으며, 절대적인 시각 중심주의적 관념을 내포한다. 반면 그에 대한 대안으로 바로크의 시각적 전통은 재현 불가능한 것, 실현할 수 없는 것을 현전하기 때문에 숭고의 미로 대표할 수 있다. 20세기 초 러시아 아방가르드 예술가들은 데카르트 원근법 주의에서 벗어난 ‘보기’의 문제에 관심을 갖는다. 특히 자볼로츠키와 필로노프에 의한 ‘눈’과 ‘시각성’의 개념을 통해 새로운 미학적 사유로 거듭나고 있다.
    필로노프는 ‘눈’을 모티브로 자신의 예술적 체계를 이론적으로 언급한 대표적인 아방가르드예술가이다. 그에게 새로운 예술적 방법은 보는 태도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것이며, 직관적이며 선입견 없는 분석적 시각으로 대상을 관찰한다. 필로노프의 예술은 ‘보는 눈과 아는 눈’의 개념에 서 다른 예술가들과 차별성을 갖는다. 그는 ‘분석예술’을 통해 세계의 현상을 ‘과학적이고, 분석적이며, 직관적인 자연주의’와 ‘대상에 모든 속성을 직관’으로 파악해야 함을 강조한다. ‘육안’(벗은눈)을 통해 보이지 않는 실재의 세계를 현실화하며, 작품을 유기적 구조물로 인식한다. 필로노프의 ‘보는 눈과 아는 눈’은 자볼로츠키와 오베리우에게도 영향을 준다. 자볼로츠키의 사물보기는 언어를 정화시키고 확장시켜 의미를 강화시키는 시도이다. 자볼로츠키는 선언문의 2부인 “오베리우들의 시”에서 시각적인 ‘눈’을 강조한 바 있다. 그는 “벗은 눈으로 사물을 보는” 예술 방법을 통해 ‘대상성’의 개념으로 사물을 묘사한다. ‘장인성’으로 대표되는 필로노프와 이에 대해 ‘대상성’의 개념으로 계승하는 자볼로츠키의 시각성은 탈원근주의적 속성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두 예술가의 독특한 ‘시각성’을 통해 예술은 자기만의 논리학으로 진화하며, 유기체로서 생명력을 받는다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bout History of Deperspectivism and Visuality in Russian avant-garde’s art. ‘Seeing’ is important sensory to perceive objects, and we can see the difference between things. Up to now we have looked at perspectivism in center of Western culture since the Renaissance until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at is, Cartesian perspectivism. It implies an notion of absolute view point in art. As an alternative,visual tradition of the Baroque will be represented object that can not be realized.
    Also the Russian avant-garde artists ideas are quite similar to visuality of Baroque.
    Since the 20th century, the Russian avant-garde artists work experimental methods in painting and literature. Especially it is important that the concept of ‘eye’ and ‘vision’ by Nikolai Zabolotsky and Pavel Filonov to understand aesthetics in Russian avant-garde.
    In 1912, Filonov published an essay “The Canon and the Law” in which he expounded his ideas on analytical realism. According to Filonov, “analytical realists” should represent objects using elements of their inner soul. Filonov’s artistic philosophy revolved around the desire to reveal the inner soul of the objects in the painting,a belief system he remained devoted to his entire life. The concept of ‘eye of the viewer and eye of the knower’ is referred to as the theoretical system. And Zabolotsky’s poem have been influenced by painting of Filonov whom he much admired. Like Filonov, Zabolotsky attempt to express in the inexorable passage of time, eternal suffering, endless movement through his art. Through their theory of visuality,perspective of Russian avant-garde art expands. What stands out most from this study is understanding the phenomena of the world through the art of analysis with the naked eye (the naked ey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슬라브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