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마이클 박산달의 ‘시대의 눈’ ― 시각문화연구의 선구적 개념이라는 평가에 대한 비판적 고찰 (Michael Baxandall's 'Period Eye' ― Critical understanding of that concept, evaluated as a pioneer of the Visual Culture Studie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1 최종저작일 2011.09
27P 미리보기
마이클 박산달의 ‘시대의 눈’ ― 시각문화연구의 선구적 개념이라는 평가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학회
    · 수록지 정보 : 美學(미학) / 67호 / 1 ~ 27페이지
    · 저자명 : 김승환

    초록

    영국의 미술사가 마이클 박산달은 시각문화연구의 선구자로 평가된다. 특히 그가 1972년에 출판한 『15세기 이탈리아 회화와 경험』은 바로 그러한 태도를 잘 보여주는 저서로 평가된다. 출간 이후 이 책은 수많은 언어로 번역되는 등 다양한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박산달에 대한 연구논문이 단 한 편도 없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박산달에 대한 소개와 함께 그의 『15세기 이탈리아 회화와 경험』에 등장하는 ‘시대의 눈’ 개념을 고찰하고자 한다. 1972년 전후의 미술사를 포함한 학문적 지형에서 ‘시대의 눈’ 개념의 정확한 의미와 그러한 개념이 나온 사상적 배경과 그것이 지닌 방법론적 가치를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이 개념에 대한 다양한 학문적 반응 ― 문화사, 마르크스주의 등 ― 을 통해 박산달의 ‘시대의 눈’ 개념과 그의 책을 비판적으로 이해해 본다.

    영어초록

    Art historians have often examined the critical reception of works of art, but few have evaluated art history's reactions to some of its own products. In that sense, this study examines some aspects of the intellectual history and scholarly responses to Michael Baxandall's Painting and Experience in Fifteenth-Century Italy, seen as a pioneer of the Visual Culture Studies to some scholars. In fact, during the early 1970s when this book was written, there were some tensions in that discipline's identity, resulted in the appearance of the New Art History. It extended the subject of discipline and searched new methods in comparison to the traditional Art History.
    The reasons for choosing Painting and Experience ― and more particularly Baxandall's concept of the Period Eye ― is to present him to our academic circle where no interpretations of his book nor simple article about him were done,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book is, even after forty years, an art-historical bestseller, having gone through numerous printings and having been translated into several language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wofold: to examine aspects of the intellectual heritage of the central theoretical concept of Painting and Experience, the Period Eye, and to trace some of the various academic responses to the concept. In doing so, we can understand critically the reason why he is evaluated as a pioneer of the Visual Culture Studies. Furthermore that understanding leads us to one of the main topic of the Visual Culture Studies, the visu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9 오전